View : 1035 Download: 0

대금협주곡 <타래> 분석 연구

Title
대금협주곡 <타래>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Daeguem Concerto
Authors
채화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본 논문은 2010년 조원행에 의해 작곡된 <타래>의 분석 연구를 통해 대금의 현대적 어법과 곡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금협주곡 <타래>의 악곡구성을 살펴보고 주제선율의 변화 따라 크게 3악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악장에 나타나는 조성, 템포, 박자 등을 조사한 뒤 Solo대금 선율과 관현악의 관계, 특수주법, 리듬 등을 알아보았다. 전체악곡구조를 살펴보면 제1악장은 제1~62마디, 제2악장은 제63~112마디, 제3악장은 113~273마디로 나뉘었다. 조성은 제1~77마디는 Fm, 제78~112마디는 E♭M, 제113~204마디는 Cm, 제205~273마디는 Fm로 나타났다. 템포는 제1~51마디는 ♩=56, 제52~77마디는 ♩=60, 제78~81마디는 ♩=60, 제82~112마디는 ♩=56, 제113~273마디는 ♩=152로 느림과 빠름이 교차되어 나타났다. 박자는 제1~51마디는 4분의 4박자, 제52~77마디는 8분의 12박자, 제78~273마디는 4분의 4박자로 변화하였다. 본 작품의 분석 결과를 악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악장은 Solo대금이 주제선율을 제시할 때 관현악이 반주를 하는 형태와 관현악기들이 주제선율을 제시할 때 Solo대금과 관현악이 함께 반주를 하는 형태가 나타났다. 제1악장에서는 트릴이 C(미)에서 총 3번 등장하며 지속음에 화려함을 더하였다. 리듬은 3연음의 동형진행이 주로 나타나며 3연음으로 진행되다가 6연음의 동형진행으로 축소시켜 리듬의 반복진행이 밀도 있게 나타났다. 기존 조원행의 작품은 관현악이 선율을 제시하고 solo악기가 나타나지만, <타래>는 Solo대금이 선율적인 부분을 제시한 뒤 관현악과 더불어 곡을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제2악장에서 주제선율은 Solo대금과 관현악이 주고받는 형식으로 반복하여 나타났으며 메조피아노부터 포르테시모까지 상반되는 아티큘레이션을 통해 서정적인 느낌과 웅장한 느낌이 대비되어 나타났다. 특수주법으로는 트리플 텅잉과 트릴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전통적 표현법인 꺾는음과 함께 출현하여 전통적인 느낌과 현대적인 느낌이 동시에 나타났다. 제2악장의 시작부분은 악장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제1악장 도입부의 리듬이 확대진행 되었으며 CadenzaⅡ에서는 3연음이 반복되며 점차적으로 상행되어 나타났다. 제2악장은 선율적인 전개가 두드러졌다. 셋째, 제3악장은 Solo대금이 주제선율을 제시하고 관현악은 반주의 역할만을 하여 역할이 확실하게 구분되어졌다. Solo대금이 주제선율을 연주할 때 관현악기는 타악기와 함께 리듬을 연주하였다. 고음역에서 특수주법인 플러터 텅잉을 사용하여 음을 진행시키고 지속음에서 트릴로 음을 뻗어 기교적인 면에서 화려함을 나타냈다. 제3악장은 정박인 ♩♩♩♩리듬과 헤미올라인 ♪♩♩♩♪ 리듬이 반복되며 헤미올라 리듬은 제3악장의 주요 리듬형태이다. 제153마디부터는 장고가 휘모리장단을 반복하며 연주되었다. 제3악장의 Cadenza는 Solo대금과 장고의 휘모리장단과 함께 연주되었다. 이는 산조와 같이 장고와 악기가 함께 흘러가는 느낌을 내려는 작곡가의 의도가 나타나는 부분이었다. 이상과 같이 분석한 결과, 대금협주곡 <타래>는 새로운 주제나 악장이 시작하기 전에 Cadenzaㆍ관현악반주ㆍ연결구 등에서 주제선율, 리듬 또는 장단이 미리 제시되었다. 관현악과 Solo대금은 이분법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각 악기와 악장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연결되어 하나의 악곡으로 완성되어 나타났다. 이는 <타래>라는 제목처럼 한 타래의 실을 한 올씩 풀어내듯 대금의 멋스러운 음색, 기교들을 관현악과 더불어 풀어내려는 작곡가의 의도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본고의 분석 연구를 통해 곡의 이해를 돕고 대금협주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paper i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music used in , composed by Cho Won-haeng in 2010, through analytical study. After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Daeguem concerto called and for further analysis, I sectionalized into three different movements based upon the part where a major change occurs in a subject melody line. Then, I studied tonality, tempo, beat, etc. of the each movement. Finally, I analyz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melody of Daeguem solo and orchestra, special playing techniques, rhythm, and so on. Speaking of the overall structure of ,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measures from 1 to 62, the second movement consists of measures from 63 to 112, and the third movement consists of measures from 113 to 273. In terms of tonality, measures from 1 to 77 are Fm, measures from 78 to 112 are E♭M, measures from 113 to 204 are Cm, and measures from 205 to 273 are Fm. Moreover, a slow and a fast tempo have shown up in turns as follows: measures from 1 to 51 have ♩=56 tempo, measures from 52 to 77 have ♩=60 tempo, measures from 78 to 81 have ♩=60 tempo, measures from 82 to 112 have ♩=56 tempo, and measures from 113 to 273 have ♩=152 tempo. Lastly, beats have changed throughout the play as follows: measures from 1 to 51 have 4/4 time, measures from 52 to 77 have 12/8 time, and measures from 78 to 273 have 4/4 time. The conclusion of the analytical study on can be summarized as below: To begin with, the first movement has a structure that Daeguem solo is accompanied by orchestral accompaniment. When Daeguem solo plays the subject melody, orchestra plays the accompaniment, and vice versa. The first movement contains three trills applied to C note and these trill techniques add variations to the continuant sound. In terms of rhythm, mostly has three-scale sequence; and then, later on, it reduces the scale sequence down to six-scale sequence. This demonstrates that a number of repeated rhythm sequence can be found in . Composer Cho Won-haeng’s other existing musical pieces generally have a composition that an orchestra leads a subject melody first and then a solo instrument follows the lead. However, has the opposite formation. In this case, Daeguem solo leads the subject melody first, and then orchestra follows the lead of the Daeguem solo. Furthermore, in the second movement, Daeguem solo and orchestra alternately play the subject melody. Also, with distinctively different usage of articulations from mezzo forte to fortissimo, the second movement could successfully give a contrasting sense of both lyrical and grandioso vibes. Speaking of the special playing techniques, triple-tonguing and trill techniques are used in . As these special techniques are mixed with traditional vibration style, the second movement could be played with both traditional and modernistic vibes. For smooth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s, the rhythm used in the beginning of the first movement shows up again in the beginning of the second movement with lengthened sound. Additionally, in CadenzaII, three-prolonged sound gets repeated and then it gradually goes up in scale. The second movement shows a remarkable melodious development. Lastly, the third movement shows a distinction between the role of Daeguem solo and that of orchestra. In this movement, Daeguem solo has a role of playing subject melody while orchestra has a role of playing accompaniment. While Daeguem solo plays subject melody, orchestra plays accompaniment to a rhythm with other percussion instruments. Additionally, when the music hits the upper register, a flutter-tonguing technique is used in order to carry on the note and a trill technique is used for a continuant sound to stretch the note.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techniques have successfully added splendor to with remarkable technical skills. Hemiola rhythm is the main rhythm structure of the third movement. The third movement repetitively plays on-beat rhythm(♩♩♩♩) and hemiola rhythm( ♪♩♩♩♪) back and forth. Starting from the 153-measure, Janggu continues playing Hwimori beat. Cadenza of the third movement is played with Daeguem solo and Janggu’s Hwimori beat play. And composer’s intention to make a harmony between Janggu and other instruments as if it were a Sanjo was clearly reflected in this part. In conclusion, before the start of a new subject and/or a movement, Daeguem concerto called presents subject melody, rhythm and beat at Cadenza, orchestral accompaniment, and connecting phrase. In , orchestra and Daeguem solo are not dichotomously distinguished, and each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respective movements are properly harmonized with one another to create one musical piece. The title creates an image of unraveling a thread one by one. As the title suggests, the composer tried to unravel Daeguem’s remarkable tone and techniques along with orchestra. As a result, I truly wish that this analytical study can increase understanding of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aeguem concert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