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3 Download: 0

전인평 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전인평 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musical elements shown in Chun In Pyong’s works
Authors
이로운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world of composer Chun In Pyong and the flow of his works by analyzing “Wang San Ak Fantasia,” “Geomungo Fantasia,” and “Silk Road, Flute on the Road,” and to identify the musical elements shown in these works for use in future composition activities or analysis. First, we will discuss the composer's works and analyze the explanations for each of them, as well as their musical structures. Finally,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elements shown in Chun In Pyong’s works and present the obtained results. First, in terms of formality, free form is based on the concept of Man·Jung·Sak. The no-rhythm format was often shown and program music began to appear;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musical materials as well as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to individual works. Second, as for components, improvisation, which was left to the player’s discretion, appeared frequently and composers borrowed themes from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or Asian folk songs. Additionally, as the beat was formed by the addition of Korean rhythmic structure, mixed beats and changed beats appeared frequently, signaling the emergence of free form. Due to repetition in melodic progression and rhythm, contrasts in movement and movement, and parts and parts were shown. Third, as for melody, 2nd progression and descending progression, identical repetitions and grace notes appeared frequently. In the case of second melodic progression, minor seconds were mainly shown and it was evident that the composer valued the fineness and horizontal flow of the melod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rough the progression of minor second sequential descending and then minor second sequential ascending again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note. Augmented second progression of the melody was shown, revealing the exotic tone of Asian music. In the case of the direction of melodic progression, sequential descending progression was apparent and descending progression, including sequences and leaps, was partially shown. On the other hand, tautophony often appeared, the style of repeating the same note or sustaining one long note emerged, and various forms of grace notes, such as appoggiatura and after notes, materialized. Fourth, traditional Korean Sanjo rhythm and Samulnori rhythm were used, resulting in varied and free rhythms. In some cases, Chun In Pyong composed using Sanjo rhythm or borrowed only partial rhythm. In part, Joogmori rhythm, Joongjoongmori rhythm, and Jajinmory rhythm appeared. Various Sanjo, Samulnori and Chilchae rhythms emerged and the composer created various types of free rhythms. Chun In Pyong’s works, “Wang San Ak Fantasia,” “Geomungo Fantasia,” and “Silk Road, Flute on the Road” were accompanied by modern music skill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ethods and in his works, he showed that through tangible materials, Indian music, and Asian musical history, his field of study was sublimated into the intangible material of music. Through this paper, the author hopes to play a leading role in widening the potential for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ranges when composers create, enhance players’ understanding of several musical elements in composers’ works, and explore direction in orde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usical performance.;본 논문은 작곡가 전인평의 작품 <왕산악 환상곡>, <거문고 환상곡>, <실크로드, 길 위의 피리>를 분석함으로써, 작곡가 전인평의 음악적 세계와 작품의 흐름을 이해함과 동시에, 이 작품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를 파악하여 추후 작곡 활동이나 해석에 활용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작곡가의 작품세계에 대해 알아보고 각 작품의 해설, 악곡 구조, 작품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인평의 세 작품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형식은 만·중·삭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형식이 바탕이 되었다. 무장단의 형식이 자주 나타났으며 표제음악의 형식도 일부 출현하고 그 과정에서 음악적 소재뿐만이 아니라 지역적 특성이 작품의 소재로 연결됨이 나타났다. 둘째, 구성요소는 연주자의 재량에 맡기는 즉흥연주가 자주 나타났고, 우리나라의 전통 민요나 아시아의 민요의 주제를 차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부가 리듬 구조로 박자가 형성됨에 따라 혼합박자와 변박이 빈번히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자유 형식이 부각되었다. 선율진행의 반복과 리듬 반복으로 악장과 악장, 부분과 부분의 대비가 나타났다. 셋째, 선율은 2도진행과 하행진행, 동음반복과 꾸밈음이 자주 출현하였다. 선율의 2도진행은 주로 단2도가 나타났고, 단2도 순차하행 진행 후 다시 단2도 순차상행하여 원음으로 돌아오는 진행은 작곡자가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선율의 미세함과 수평적 흐름을 중시함을 보였다. 선율의 증2도 진행도 보였고 이를 통해 아시아 음악의 이국적 색채가 나타났다. 선율의 진행방향은 순차하행 진행이 두드러졌고, 부분적으로 순차와 도약을 포함한 하행진행도 나타났다. 한편, 동음 반복이 자주 나타났고 같은 음을 반복하거나, 한 음을 길게 지속하는 유형이 나타났으며, 앞꾸밈음, 뒤꾸밈음 등 다양한 꾸밈음의 형태가 나타났다. 넷째, 장단은 우리나라 전통의 산조 장단,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하면서 그에 따른 변형장단과 자유장단이 나타났다. 산조장단의 형식을 사용하여 작곡되거나, 부분적인 장단만 차용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부분적으로는 중모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 그리고 자진모리장단이 출현하였다. 산조 장단의 변형장단과 사물놀이 장단 칠채의 변형장단이 나타났고, 작곡자가 창작한 자유장단의 유형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인평의 작품 <왕산악 환상곡>, <거문고 환상곡>, <실크로드, 길 위의 피리>는 우리나라 전통방식을 바탕으로 현대적 음악 어법이 수반되었고, 작품을 통해 전인평의 연구 분야인 인도 음악 및 아시아 음악사라는 유형적 소재가 음악의 무형적 소재로 승화됨을 보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곡가들에게는 창작할 때 사용되는 작품의 다양한 소재에 대한 가능성과 그 사용 범위를 넓히는 데에 견인 역할을 하기를 바라며 더불어 연주자들은 작곡가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여 연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