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소명의식의 영향

Title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소명의식의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Self-compassion and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직무 관련 스트레스가 높은 소방공무원들은 우울, 불안 등을 호소하는 비율이 높으며, 자살율도 일반국민의 자살율과 비교할 때 3배 정도 높은 수치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도 일반인의 유병율에 비해 6배까지 높게 나타나는 등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경기, 경북에 위치한 소방서(119안전센터 포함) 및 중앙119구조본부 소방공무원 3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25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직무환경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를 감소시키는 매개변인으로써의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소방공무원의 직무환경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집단별 빈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환경 중 근무기간과 외상사건 경험은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방공무원으로 재직기간이 길수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외상사건의 경험빈도가 많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의 하위요인인 자기친절, 보편적 인간성, 마음챙김 같은 요인들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다.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방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외상사건 경험과 상호작용의 효과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기 힘들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소방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보호요인으로 자기자비가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소방공무원의 직무훈련과정이나 심신건강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함양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Fire officials with high levels of work-related stress have a higher rate of complaining of depression, anxiety, etc. They also show a higher rate of suicide, three times as high as a suicide rate of the general public.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lso, their prevalence is reportedly higher than the prevalence of the public, six times higher. Accordingly, they have a higher rate of complaining of mental health problems as a ru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ake advantage of self-compassion and calling to prevent firefight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self-compassion and calling affect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0 firefighters recruited from fire stations (including 119 Safety Centers) and from National 119 Rescue Service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Among those 300 respondents, 253 firefighters returned their questionnaires, which were thus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main analytical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is made to identify what influence firefighters' work environments have as a risk factor increasing the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econd, self-compassion is examined whether it is influential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ird, a calling is investigated to confirm whether it works as an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firefighters' work environment and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group-specific corre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 of self-compas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i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a calling.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ing firefighters' work environments, their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in service peri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is implies that the longer their service period as a firefighter is, the higher their rate of complaining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In this regard,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r their frequency of traumatic events in the field was, the higher their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according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elf-compass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or effect. These results thus confirm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elf-compassion may have an impac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or effect of a calling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elf-compassion worked as a mediator effect on firefight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fostering firefighters' mental health by helping to strengthen self-compassion for firefighters' job training courses or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