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Whiteness와 Blackness의 인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Whiteness와 Blackness의 인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Cognitive Evaluation of Whiteness and Blackness
Authors
이혜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색채가 부각되고 색채의 중요성이 널리 인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에만 치중하고 있는 듯하다. 색을 사용하고 디자인하고 제품에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업성이 짙은 방향으로만 연구하기보다는 색채 그 자체에 관한 근본적인 연구도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유채색 영역에 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무채색 영역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편이 아니다. 사실 무채색으로 인지되는 것이 유채색 영역 내에 있기도 하며, 객관적인 측정값에 의해 범주화되어 있는 White, Black을 포함한 무채색 영역은 인간이 인지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White와 Black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들(Lightness, Chroma, Hue 등)과 그 위에 추가로 포함된 요소들(펄, 광택)이 환경과 조건에 따라 Whiteness(White의 정도)를 평가하고 Blackness(Black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White와 Black의 범주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White와 Black은 절대적, 이상적인 존재로써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인간은 수많은 것들에 대해 White, Black으로 명명하고 있다. 인간의 눈을 통해 인지된 White와 Black의 범위를 인간이 생활하는 주요환경에 맞추어 알아내고자 한다. 색채 뿐 만이 아니라 물체의 표면에 가공된 펄, 광택과 같은 요소들이 Whiteness, Blackness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부가적으로는 감성과의 영향성에 대한 관련 연구들을 통해 비교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White와 Black을 포함한 무채색과 관련된, 유채색과 무채색의 지각특성을 밝혀내고 무채색의 범주경계 규명을 위한 문헌조사 및 선행 연구 사례를 통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연구 사례를 살펴보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해낼 수 있는 자료 및 다양한 실험 방법, 고려해야할 요건들에 대한 사전 연구를 하였다. 둘째, 이론적 조사를 바탕으로 Whiteness와 Blackness를 평가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가 미세하고 세밀한 감각을 요구하므로 FGI를 통해 실험자극물을 선정하고 실험자극물 외에 주변 환경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색채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시켜 진행하였다. 셋째, 실증 연구 결과를 범주적 판단(Categorical Judgement)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환경적 요인(조도)이나, 실험자극물의 조건(샘플의 크기), 색채(측정값)와 그 표면에 나타난 요소(광택, 펄)들의 영향을 찾아내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 연구 결과 분석을 토대로 Whiteness와 Blackness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추가적으로 감성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고 어떤 감성 이미지를 나타내는지 선행 연구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도와 샘플의 크기에 의한 평가 조건에 따른 Whiteness와 Blackness 각각의 평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Whiteness는 조도와 크기의 영향에 의해 평가되는데 크기보다는 조도의 영향이 크며 Blackness는 조도와 크기가 평가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자극물을 측정한 결과 Whiteness와 Blackness평가에 있어서 영향이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ightness의 영향을 더 받는 것은 Whiteness이며, Chroma의 영향을 더 받는 것은 Blackness이다. Hue에 있어서 Black은 대부분이 PB계열로, White는 대부분 Y계열로 나타난다. 셋째, 휘도는 Whiteness와 Blackness평가 모두에 영향이 있다. 휘도가 높을수록 White에 영향을 주고 휘도가 낮을수록 Black에 영향을 주며, 크기가 작으면 White는 휘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넷째, 표면에 나타나는 광택, 펄은 각도나 속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데, Blackness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광택은 85˚에서 영향을 미친다. Whiteness평가는 저광택의 경우 해당되며 조도에 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다. 펄은 속성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펄이 없거나 펄의 밀도가 낮고, 펄의 크기는 큰 것이 Whiteness, Blackness가 높게 평가된다. 다섯째, Whiteness와 Blackness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감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White와 Black은 명도가 상반되면서 그에 따른 감성의 정도 또한 반대로 나타나기도 한다.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바탕으로 White와 Black에 해당되는 감성 이미지를 적용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hiteness, Blackness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를 하는지, 그 과정에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더 나아가 그것들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감성 이미지를 나타내는지 규명, 예측하였다. 같은 색 속성을 가진 자극물이 여러 요소들의 작용과 영향으로 다르게 평가되는 것으로 미루어 색채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색채를 명명하거나 표현하는데 있어 환경이나 조건 등 고려해야할 필수요소들이 있다는 것을 참고로 삼을만한 연구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Although colors are stressed and their importance is widely recognized, it seems to focus on new studies only. It's important to use and design colors and apply them to products but fundamental studies on colors in themselves should be made rather than studying in commercial ways only. The area of chromatic colors is actively studied but it's true that achromatic colors are not much studied relatively. In fact, being cognized as achromatic colors is in the area of chromatic colors, and the area of achromatic colors including white and black is different from what humans perceive, which is categorized by objective measured valu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and consequent categories of white and black in evaluating whiteness (levels of white) and blackness (levels of black) according to properties (lightness, chroma, hue etc.) white and black basically have, environment and conditions related to elements (pearl, gloss) included additionally, and investigate categories of white and black. White and black do not exist actually as they are absolute and ideal things, but humans call numerous things as White and Black. We are to find out the range of White and Black perceived by human eyes according to key environments where humans live. It's necessary to investigate effects of elements of pearl and gloss processed on the surface of objects as well as colors on evaluating Whiteness, and Blackness, and to compare them through relevant studies on their correlations with sensitivity additionally. The progress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lucidated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s associated with achromatic colors including White and Black and made theoretical stud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ca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tegory boundary of achromatic colors. We examined research cases which have been conducted until now and made preliminary research on data to be obtained through empirical study, a variety of experimental methods, and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Second,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evaluate Whiteness and Blackness. As the research range is minute and requires detailed senses, we selected experimental stimuli through FGI and minimized stimuli by colors that can affec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xcept for experimental stimuli. Third, empirical study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ategorical Judgement, and we fou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illumination), conditions of experimental stimuli (size of sample), colors (measured value) and elements on the surface (gloss, pearl) and analyzed correlations. Fourth, based on analysis of empirical study results, w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preceding study cases regarding what effect elements exerting an effect on evaluating Whiteness and Blackness additionally have on sensitivity and what emotional images hav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assessment of Whiteness and Blackness according to evaluation conditions by illumination and sample size showed distinction. Whiteness is evaluated by effects of illumination and size: The effect of illumination is higher than size and for Blackness, illumination and size does not affect evaluation as the study found.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experimental stimuli, it was found that they have a big effect on evaluating Whiteness and Blackness and that more than 2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It is Whiteness that is affected more by Lightness, and it is Blackness that is affected more by Chroma. For Hue, Black is mostly PB series, and White is mostly Y series. Third, brightness has an effect on evaluation of both Whiteness and Blackness. The higher brightness is, the more effect it exerts on White. And the lower brightness is, the more effect it has on Black, and if the size is small, White is affected more by brightness. Fourth, gloss on the surface and pearl is shown differently by angles or properties, and when evaluating Blackness gloss has an effect at 85˚. The evaluation of Whiteness is relevant in the case of low gloss and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y illumination. Pearl has an effect depending on properties. If there's no pearl, or its density is low, and its size is big, Whiteness, and Blackness is evaluated highly. Fifth, elements affecting evaluation of Whiteness and Blackness exert an effect on sensitivity as well. The lightness of White and Black is contrary and as a result levels of sensitivity are also contrary. Based on elements affecting sensitivity, it is possible to apply emotional images which White and Black have. This study examined how Whiteness and Blackness is perceived and evaluated, and which elements have effects in the process, and further investigated and predicted which emotional images their interaction has. If we consider that stimuli with the same properties are evaluated differently by action and effects of many elements, it can be said that colors are not fixed ones. Therefore, it will be useful if we admit that there are essential elements to be considered including environments or conditions etc. in naming or expressing col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