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꽃의 군집 미를 응용한 실내도벽 연구

Title
꽃의 군집 미를 응용한 실내도벽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interior ceramic art wall applied through clustered flowers
Authors
박종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석영
Abstract
비록 사소한 것이라도 모이면 의미를 가진다. 누구나 평소에는 그냥 지나쳤을 만한 빈 병이나 박스들이 쌓여있는 모습에 색다름을 느끼고 다시 한 번 고개를 돌렸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렇듯 무리지어 있는 사소한 것 혹은 주변의 일상적인 것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적 감흥을 제공한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꽃은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불리며 주변 환경을 장식하는 소재로서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실내 공간의 장식에 있어서 꽃이란 우리에게 새롭거나 신선한 소재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무리 지어있는 꽃에서 색다른 아름다움을 발견하였고, 이를 응용한 실내도벽을 제작하여 실내에 ‘익숙한 새로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꽃의 군집 미를 응용한 실내도벽에 대한 연구이다. 단순히 실내벽면에 걸리는 장식품이 아닌 하나의 조형작품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이다. 그 목적은 첫째, 꽃의 군집 미에 대해 재해석하여 이론적으로 정리한다. 둘째, 꽃 이미지를 소재로 한 작품선례들을 조형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단위체(unit)로 표현한다. 셋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실내도벽의 제작기법 및 설치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넷째, 기성품과 작품으로서 도벽의 차이점과 차별성을 두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보는 사람마다 각자의 심상에 따른 이미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꽃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미지는 무한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꽃의 아름다움’이란 형태를 구성하는 유기적인 선과 색의 조화 그리고 흐름에 있다. 이러한 미적요소들은 꽃 한 송이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꽃들이 무리 지어있는 꽃다발 혹은 꽃밭에서 발견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를 ‘군집의 미(美)’로 발전·해석하였다. 이러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꽃이 가지는 외형적인 특성과 구조적 특징에 대해 관찰하고 이해하는 조형적 과정을 통해 자유로우면서도 규칙적인 형상을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꽃의 조형적 표현에 있어서는 한 송이에서 나오는 미적 감흥이 아닌 무리지어 가득하게 핀 꽃다발 혹은 꽃밭에서 오는 통일감과 리듬감에 주목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감성적으로는 풍성함이 느껴지는 꽃에 대한 안락함과 편안함을 나타내려고 한다. 실내 공간을 예술품으로 장식하는 일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오늘날 대중적인 문화가 되었다. 회화나 조각품등 다른 예술장르에 비교하면 도벽은 아 직 수요적인 측면이나 인식적인 측면에서 대중적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도벽은 실외에 대형으로 설치되거나 실내 공간의 타일 장식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내공간을 캔버스 삼아 서 도자 유닛을 재구성하고 배치한 도벽작업은 회화적 아름다움과 조형적 아름다움 모두를 제시한다. 실내 도벽은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공간예술이며 동시에 장식성이 강조된 장식예술로서 대중적인 예술로 확대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자는 꽃의 군집미를 조형적으로 표현한 실내도벽 연구를 통해 도벽이 대중적 예술로서 실내공간의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한다.;Has it ever occurred to you that a simple object could be viewed differently, if the object were in a group with the same exact other objects, such as a box of empty soda bottles. A few times, I was amazed to rediscover the effects of patterns and unities, which were simply created by arranging a multiple of simple objects. These simple and trivial objects can be easily found in our everyday lives, and when these objects are arranged in a group, it could be visually inspiring to us. Flowers are a good representation of beauty, and it could be seen anywhere near us. Floral decorations have been steadily used for enhancing our surroundings, especially for interior spaces. All though, flowers are not really strange to any of us for decoration purposes, I have found different side of flowers’ beauty from a group (bundle) of flowers. And, by applying this new side of flowers’ beauty, I intend to provide a familiar newness into our interior space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application of a group of flowers in a ceramic interior wall.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ceramic made flower decorations are derivatives of formative art work, which could be only viewed as artistic pieces. First of all, I began to study the past art works that are based on images of flowers to understand fundamental shapes of flowers. Thus, I was able to express flowers in a form of ceramic art. Secondly, I made new interpretation on my perspective on a recreated beauty from groups of flowers, which helped me to make coherent connection between my research and my art works. Thirdly, I researched theoretic side of installation methods of ceramic interior wall. Lastly, I discussed my concern, which was caused between a factory produced ceramic interior wall decoration product and a distinctive ceramic wall art piece. There could be infinite ideas on a single beautiful flower, because everyone takes different views on a same subjective matter. My own interpretation of a beautiful flower is a shape made out of organic lines and well balanced colors, these artistic elements naturally flow one point to the other point by creating perfect harmony. Better yet, these artistic elements can be shown in a flower garden or a bouquet, which amplifies the effects of these artistic elements drawn from a single beautiful flower. To express beauty of flowers, I have observed physical and structural uniqueness of flowers. And, the observations enable me to reinterpret shape of well-regulated freeness of a group of flowers. Expressing formative flowers is not the enjoyment from one single beautiful flower. Perhaps, it is giving attention to rhythmic unity of a flower garden or a bouquet. Nowadays, using artistic art pieces to decorate interior spaces has become the part of mainstream art culture, which enhances our living quality. Compare to some of the popular drawings and sculptures, ceramic wall is yet to be demanded in decorative art industry. Usually, people think of ceramic wall as commercial tiles that are installed in interior spaces or big scaled art works that are displayed on outside areas. But, displaying reconstructive ceramic units in interior spaces suggests pictorial and formative attractions. Ceramic wall is the new way to recreate interior spaces,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on decoration purpose, which has enough potential to be in the mainstream art culture. Therefore, I hope that ceramic wall becomes important part of the mainstream art culture, and people begin to appreciate it as a form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