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

Title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
Authors
이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인간은 고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인간은 왜 고통스러워하는가?’ ‘모든 인간의 고통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고통은 무엇인가?’ 와 같은 물음에 대한 탐구는 인류역사 이래로 종교, 철학, 예술 등 모든 문화 전반에서 계속되고 있다. 우리는 살면서 필연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사람뿐 아니라 동식물, 생물에 국한되지 않고 공간이나 사물과 같은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것과 교류한다. 고통은 관계 맺는 모든 것에서 발생하며 삶과 생활에서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고통을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어떠한 가치판단에 의거해 다룰 수 없으며 그 자체로 공존해 나가는 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통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위해 철학과 불교에 나타난 고통에 주목하였다. 철학자인 니체는 서양의 철학자 중 고통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던 종전의 철학자들과는 달리 본질적인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하였으며, 따라서 그의 견해는 귀 기울일만하다. 불교에서 고통은 이론의 가장 중심에서 다루어진다. 불교의 해탈 개념은 인생의 본질적인 고통을 다루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고통의 본질이 그냥 존재하는 맹목적인 것이라는 전제 아래 그것이 어떻게 인간 사회에 긍정적인 기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을 짚어보았다. 특히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기대어 문화, 예술 부분에서의 기여를 중점적으로 살피었다. 고통의 특수한 형태인 정신질환과 창조의 관계를 다루고, 정신적 고통과 신체간의 관계를 기술함으로써 예술 창작에 있어서 고통의 역할은 무엇인가, 고통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예술로 승화되는가를 보다 가깝게 이해하려 하였다. 그 결과 예술가들은 숙명적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 것이라든지 또는 정신적으로 특별할 것이라는 대중의 편견에 관한 의문을 풀 수 있었다. 본인의 평면작업은 크게 개 연작과 인물 연작으로 나뉜다. 아울러 본인은 퍼포먼스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본인이 고통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내리려 노력하고 고통을 예술창작의 힘으로 변용하고자 한 시도이다. 개와 인물의 내면을 탐구함으로써 고통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이는 본인이 갖고 있는 고통을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단이다. 그러나 두 대상을 바라보는 본인의 심리상태에는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자연히 사용한 재료와 표현한 형식도 다르게 나타난다. 작업들에 나타나는 본인의 심리와 해결 방법을 비교해 보는 것은 앞으로의 작업방향 제시에 유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작품 분석에서는 개별적 작품에 사용된 조형적 요소들을 정리하고 앞서 언급한 재료와 표현기법들이 어떻게 대상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였는지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통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보다 명확히 하고, 효율적인 예술적 표현을 점검하여 앞으로의 작업에 반영하고자 한다.;Human beings cannot be free from suffering. Th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son ‘why do human beings experience suffering’? The investigation of question on ‘what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which every human being has had’ has been still going on in all the aspects of the whole culture, such as religion and philosophy and art and so on, since human history had begun. While living, we inevitably hav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we make interaction with everything around us. Our interaction is not only with human beings, but every animal, plant or a lifeless object or space. ‘Suffering’ must result from everything related with human beings and therefore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real live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for human being to co-exist with suffering itself, for it cannot be treated by some negative or positive valuation. This thesis has focused on suffering in philosophy and Buddhism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 of suffering. Philosopher Friedrich Wilhelm Nietz´sche mentioned essential part of the suffering, whose argument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hilosophers as before who defined the suffering as negativity. Therefore it is proper for us to pay attention to Nietzsche’s view on the suffering. The suffering is the central theory in Buddhism. The nirvana in Buddhism might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handle the essential suffering. Until now we have examined how the nature of suffering has positive function for human society under the premise that it has just existed. Especially the author has surveyed contribution of many philosophers o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author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mental diseases which are kind of special type of the suffering and creation and also describes th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suffering and physical one, by which this author tries to understand what the function of suffering is in the creation of art and how suffering has been developed into art in detail. As a result, we can get an answer about the question on ‘why the general public has the prejudice that artists fatefully cannot but to live suffering lives or they are so unique in their psychological state.’ The canvas work is largely divided into canine sequences and human figure sequences. At the same time this author also runs parallel with performance work. Through these works, this author is to try to define the suffering and to transform the suffering into the power of artistic creation. The research about the inner being of dog and human figure is an attempt to reach into the nature of the suffering and to make an effort to resolve suffering in my inner being. However, these two objects might be revealed to another shape in conformity to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According to these perspectives, the works must be different. If the works are different, then used-materials and expressed-types are different. Comparing between the author’s mentality and method of solution which are expressed in works will be useful for future works. Based on these studies, in the analysis of works this author arranges the molding factors used in each work and explains how the object are imaged in the sense of sight by already mentioned materials and expressed methods. Through this process, this author will make the attitude clear about the suffering. And also, I am sure that examining effective artistic expression will be helpful for my futur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