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황호준 작곡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에 관한 분석

Title
황호준 작곡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에 관한 분석
Other Titles
The Musical Analysis on for Geomungo and Gayageum composed by Hwang Hojoon
Authors
구연모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국악 창작곡의 악기구성은 최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주자들은 여러 현악기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현악앙상블 초콜릿’과 같은 실내악 연주단체를 만들어 곡들을 연주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악앙상블 초콜릿의 위촉으로 초연된 황호준 작곡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의 단락별 선율 및 거문고 연주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곡은 총 164마디로 거문고 1, 거문고 2, 가야금의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악곡은 박자, 조성, 빠르기 및, 선율의 흐름에 의해 A~F까지 6단락으로 나뉘며, 악곡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의 거문고 두 대의 선율은 서양음악의 선적인 화성진행과는 다른, 화음조합으로의 화성적 공간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이 곡의 거문고 두 대의 선율은 왼손의 짚는 방법에 의해 각각 다른 색의 화성적 공간감을 보이며, 3도 화성을 배제한, 4도, 5도의 화음을 반복, 확대, 유사, 상∙하행, 병진행의 연주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화성적 공간감을 내포하는 거문고 두 대의 선율은 거문고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가 잘 드러나며, 곡의 주요한 표현효과로 음악의 전반에 빈번히 나타난다. 또한, 이 곡의 거문고 두 대는 주선율을 연주하거나 동일한 선율을 진행하고, 서로 교차 선율의 진행을 보이며, 메기고 받는 형식의 연주형태를 보인다.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의 가야금은 거문고 두 대의 화성적 공간감이 나타나는 선율을 반주의 형태로 감싸주거나, 화음을 뜯는 연주형태로 악곡의 강세를 풍성하게 한다. 가야금은 거문고 1과 메기고 받는 형식의 연주형태로 나타나고, 곡의 주선율을 연주한다. 가야금의 주선율 연주 시 거문고 두 대는 4도로 병진행의 연주형태를 보이며 두 마디 단위로 가야금의 주선율을 반주한다. 단락의 마지막 마디는 리타르단도와 페르마타의 출현으로 곡의 분위기가 이완되거나, 느린 박으로의 전환으로 곡의 선율이 이완된다.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의 거문고 연주법은 전통적인 거문고 연주법인 스르렁, 개방현울림, 살갱, 추성의 활용을 통해 빠른 속도의 거문고 연주를 용이하게 하며, 선율의 음향적 밀도를 높이고, 거문고 선율의 셈여림이나 강세표현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불규칙적, 연속적으로 문현과 스르렁 주법을 사용하여 곡의 입체감과 박진감을 더한다. 강한 셈여림의 싸랭 주법은 거문고 소리의 매력을 한 껏 드러나며, 스르렁 주법으로 힘 있는 선율의 시작을 표현하고, 살갱 주법은 선율진행 중 화성을 흐트러트리지 않는 범위 안에 문현을 사용하여 선율진행의 안정감을 준다. 작곡가가 유도한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연주법은 문현 다음의 유현 음정으로 이어지는 거문고의 살갱 주법이다. 이상의 황호준 작곡 ‘거문고와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는 거문고, 가야금의 음악적 색채와 거문고의 전통적인 연주법을 잘 이해하고 표현한 작품이다. 전통의 색을 포함한 새로운 것의 창작은 앞으로 거문고 연주곡의 창작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생각하며, 필자는 본 고를 통하여 연주자들의 ‘거문고, 가야금을 위한 <낯설게 말하기>’ 작품에 대한 이해와 실제 연주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Instrument organization for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tting more diverse. Recently, some groups like ‘String Ensemble Chocolate’ were organized to play the musical works composed for string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tional melody and the Geomungo playing method of ‘ for Geomungo and Gayageum’, which String Ensemble Chocolate commissioned Hwang Hojoon to compose and themselves played first. This music has 164 measures in total, and is performed by Geomungo 1, Geomungo 2 and Gayageum. It is divided into 6 sections A~F according to the rhythm, composition, pitch and melody progression of music. The analysis result of this music is as follows: In ‘ for Geomungo and Gayageum’, the melodies of two Geomungos have a peculiar harmonic spatial effect, not of linear harmonic progression, as in the western music, but of harmonic combination. The melodies of two Geomungos in this music show the harmonic spatial effec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ouching methods of left hand. They have the performing patterns that 4-degree and 5-degree harmonies except 3-degree one are repeated, expanded, simulated and proceeded one-after-another or in parallel. With this harmonic spatial effect, the melodies of two Geomungos well reveals the peculiar musical color of the instrument, frequently showing the main expression of the music in the whole parts of the work. And, in this music, the two Geomungos play the main melody at the same time or alternately, showing the give-and-take pattern of playing. In ‘ for Geomungo and Gayageum’, Gayageum has the role of accompaniment to embrace the melodies of two Geomungos with harmonic spatial effect or to enrich the accents of the music by playing the harmony. Gayageum shows the performance pattern of give-and-take with Geomungo 1, playing the main melody. When Gayageum plays the main melody, two Geomungos accompany the Gayageum by two measures by playing parallel to it in 4 degrees. Last measure of each section has a ritardando and fermata to relax the atmosphere of the music or to convert to a slower rhythm. The playing methods of Geomungo in ‘ for Geomungo and Gayageum’ are the traditional playing methods such as Open-string reverberation, Salgaeng(살갱), Ssaraeng(싸랭), Sreureong(스르렁) and Chuseong(추성) to make the fast performance easier, the acoustic density of melody higher and the expression of its accent more effective. Furthermore, by mixing the Munhyeon and Sreureong regularly or irregularly, it adds the cubic effect and excitement of the music. Ssaraeng of strong dynamics fully expresses the fascination of Geomungo sound. Sreureong method shows the start of strong melody. Salgaeng method uses the Munhyeon within the range not to disturb the harmony in the melody progression, giving the stability to the progression. The most frequent playing method that the composer intended in ‘ for Geomungo and Gayageum’ is the Salgaeng of Geomungo where the Munhyeon key is followed by Yuhyeon. Thus, ‘ for Geomungo and Gayageum’ composed by Hwang Hojoon is a work that well understands and expresses the musical colors and traditional playing methods of Geomungo and Gayageum. Thinking that the creation activity for Geomungo music that contains the traditional color in the new works is the wa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 the future,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 helps performers to get much understanding and to play better this ‘ for Geomungo and Gayage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