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2 Download: 0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nd Inclusive Education on Non Disabled Students' Acceptance
Authors
조소이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 of how the experience on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nd inclusive education affect middle school boy students. As the scale of special education has increased, research on the effect has come after. Although these days inclusive education has treated as a part of taking accountability with friendly fashion by schools, not all the non-disabled students have right perception on disability. It is not rare that disabled students experience social isolation even if physical inclusion has been provided. Therefore, forming welcoming attitude which non-disabled students take toward disabled students would be essential for disabled ones can be a part of school and society. Many studies which prove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have made change of perception have continued with various methods, thi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wice every year in the field, yet two times are not enough to change perception. In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were three classes with 93 students each from boy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wo disabled students, who are each, belong to experimental group1 and group2, have ADHD, and low anger control does not make frictions in the classes, but sometimes cases are reported by class teachers. Two classes were experimental groups. One received both inclusive education and 8 session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with various methods; discussion, audio visual education, and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ies, reading activities on disabilities. Another experimental group only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while control group was not received any. During the process,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 test have conducted. As a Measurement of acceptance change on Pretest-Posttest, interview with form teachers via questionnaires, which is Ha Sung Soo(2004) ‘s modified translated Acceptance Scale(A-Scale) originally by Voeltz(1980), and modified one which is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participants were us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re summed up by scales and the data of acceptance towards disabled studen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PC 18.0 and were used to analyzed correlations of acceptances. Based on one-way ANOVA method was used for homogeneity of variances, and is used in post test for reviewing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with Scheffè’s method, the programs were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among tw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Second, inclusive education affects in improving acceptance on disability. Thir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plays more significant role for enhancing acceptance on disability. The results showed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nd inclusive education give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acceptance of non-disabled middle school boy students. Just only experiencing inclusive education itself could make progress and the group which receive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presents much more positive progress. It can be interpreted as possibility of conducting concrete actions for helping and understanding disabled students through short term sessions which help students can understand personalized problems which disabled students have. This provides the potential of promoting personal growth through inclusive education an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which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disabled students difficulties and accept them as peer group, and also disabled students acclimate to school and their peer group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It also implies that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is essential program for multiplying advantage of inclusive education which benefits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students and non disabled students.;특수교육의 규모가 커지고 통합교육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이어져왔다. 오늘날의 학교는 통합교육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이고 책무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해가는 중이지만 장애학생들이 일과의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비장애학생들 다수가 장애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아직 어렵다. 물리적인 통합을 이루었다하더라도 장애학생들은 여전히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다. 장애학생이 학교의 구성원으로서,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현재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을 수용하는 태도가 바르게 형성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수용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다는 선행 연구들이 연구 방법을 달리하며 계속되어 왔으며 교육 현장에도 연 2회의 교육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 2회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은 비장애학생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중학교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한 남자 중학교 세 학급의 비장애 남학생 9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 속한 장애학생 2명은 신체적으로 드러나는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ADHD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분노 조절 문제가 있어 학급에서 마찰이 크지는 않으나 담임교사를 통해 보고되는 경우가 있다. 세 학급은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 모두 하는 실험집단1, 통합교육만 실행하는 실험집단2, 장애인식개선과 통합교육 모두 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졌으며 실험 절차는 사전검사, 실험 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1에는 총 8회기에 걸친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주제에 관한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는 토론 방법, 시청각 자료를 통한 교육 활동 방법, 일상적 활동에 약간의 제한을 두어 장애를 체험해보도록 하는 방법, 장애와 관련된 글의 일부를 읽고 활동을 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수용 태도의 사전/사후점수 결과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Voeltz(1980)의 Acceptance Scale(A-Scale)를 번안한 자료를 하성수(2004)가 수정한 설문지를 통합학급 담임교사와의 면담, 다른 특수교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연구 참여자에 맞도록 수정을 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전/사후검사 결과의 처리는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척도에 맞게 합산한 후 SPSS/PC 18.0 프로그램을 사용해 장애아동에 대한 3가지 수용 태도를 각각 분석하였으며 수용 태도 간 관계성을 살피기 위해 상관을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에서의 각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사에서 각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마찬가지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Scheffè의 사후검정으로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여 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있어서 장애인식개선교육을 받으며 통합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1과 통합교육만 경험하는 실험집단2,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 모두를 받지 않는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은 장애 수용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장애 수용 태도 중 조력 활동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학교에서의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 경험 여부는 비장애 남학생의 장애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을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을 받은 집단은 조력 활동에 대한 수용 태도가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는 짧은 회기의 교육을 통해서도 비장애학생들이 장애에 대한 지식을 얻음으로써 수용 태도를 향상시키고 장애학생들이 갖는 개인적이고 독특한 어려움을 이해하게 되어 구체적 도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이에 더해 지속적인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병행될 경우 비장애학생들은 장애학생을 또래로서 더욱 잘 받아들이고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인격적 성장이 촉진되며, 장애학생 역시 동료로서 존중받고 적절한 신체적․심리적 도움을 받아 학교 환경에 잘 적응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이루도록 하며 참여하는 학생 모두가 통합교육이 주는 혜택을 얻기 위해서 장애인식개선교육은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