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감사 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감사 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anks Journal Writing on the Feeling of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박선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본 연구는 감사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감사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 성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감사일기 쓰기는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K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감사일기 쓰기를 실시하였으며, 2개 학급 61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4주간 아침 자습 시간 10분 동안 총 20회(2013년 8월 20일 부터 2013년 9월 17일)에 걸쳐 감사일기 쓰기를 실시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감사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측정도구인 사전․ 사후 검사로는 감사 성향 척도와 자기존중감, 낙관주의, 친구관계, 가정환경등으로 구성된 행복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감사성향 측정은 Tsang(2002)개발한 감사 성향 척도를 초등학생에 맞게 번안한 김미정(2009)의 6문항으로 된 감사 성향 척도를 사용하였고, 행복감 측정을 위해서는 강영하(2008)가 암묵적 접근을 통하여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개발한 36문항으로 된 행복감 검사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검사지 반응의 통계적 분석과 감사일기 쓰기 종결 후 실시한 실험 집단의 소감문을 통한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구획분할 교차요인 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분석 및 소감문의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 일기 쓰기는 초등학생의 감사성향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행복감과 그 하위요소를 분석한 결과 감사 일기 쓰기는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행복감의 하위요소인 자기존중감, 낙관주의, 친구관계, 가정환경을 모두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아동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감사일기 쓰기를 통해 감사하는 대상이 많아지고 감사를 통해 행복감과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경향이 높아짐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감사일기 쓰기는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감사일기 쓰기를 활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생활 속에 꾸준히 감사하는 습관을 키워 감사성향을 향상시키고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effects of thanks journal writing on the feeling of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doing so, the study set up research matters same as follows. First, does thanks journal writing affect to promote gratitude dis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does thanks journal writing affects influences to promoting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such research matters, this study executed thanks journal writings by objecting 4th grade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set up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objecting 61 students in two classes. Regarding the experimental group, thanks journal writings were carried out total 20 times (August 20~September 17, 2013) for 10 minutes of self-study time in the morning through four weeks. In the same period, any treatments were not made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study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executing pre-post test on two groups so as to verify its effects of affecting happines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finishing the experiment. In relation with pre-post test as measuring tools, thanks disposition scale and happiness composed of self-respect, optimism, friendships, and home environment were used. For measuring thanks disposition, this study used thanks disposition scale consisting of 6 items by Kim Mi-jeong (2009) who adapted thanks disposition scale having been developed by Tsang (2002) so as to be f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6 items by which configuration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implicit approaches from Kang Yeong-ha (2008) were utilized. In order to verify the program effects, the study analyzed content analyses through impress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been executed after finishing thanks journal writings together with statistical analysis on questionnaire responses.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by statistical methods, this study implemented a cross factor design on subdivisi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response analyses and content analysis on expressions for verifying program effects are same as follows. First, thanks journal writing had meaningful effects on improving gratitude dis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happiness and its sub-elements, thanks journal writing impro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howe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self-respect, optimism, friendships, and home environment. In consequence of analyzing children expressions, it displayed that objects of thanking became larger and the tendency of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like happiness and pleasure were enhanced. In the study, a fact could be known that thanks journal writing has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happiness and thanking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at thanks journal writing is able to improve gratitude disposition by bringing up thanking habits steadily, and give helps in making students live happy, abundant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