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정책대상과의 접촉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책대상과의 접촉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tact with Policy Target to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 Focused on Fire-fighting officials in Seoul
Authors
박소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통희
Abstract
As the main motivation of public officials,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PSM in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Empirical studies show that PSM is predominant in public sector members compared with private sector'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it's required to identify antecedents of PSM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motivation. As for antecedents of PSM, especially a factor of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fter entering office may be helpful for policy making in that it has a higher potential for managerial application compared with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with policy target, as on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and PSM.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s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The central function of administration is to provide the nation with service and it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policies. Therefore, public officials come to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during their job performance. Also, they may be provided with job performance-related information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policy target. Through such information, public officials can check and correct their behaviors, achieving a job object. Positive feedback on the job performance may increase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mpetence, functioning as intrinsic rewards. In the mean time, emotional exchange with the policy target may cause affective immersion so increase PSM. Consequently,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was adop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s a mediator, 'job influence on the policy target' means public officials' recognition on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the policy target. As they have higher recognition on job influence, public officials come to perceive importance of their job and accept it as more valuable and meaningful.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public officials can get information on job influence, and emotional exchange makes them understand target's conditions and form an affective bond so recognize job influence more outstandingly. On the other hand, controlling the rank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more correctly the effect of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on PSM. In addition, it examines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s according to higher and lower ranks. As the empirical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for fire-fighting officials who work at 23 fire stations located at Seoul. Fire-fighting officials are objects fitting for testing this research hypotheses in that they have many opportunities to contact and exchange positive effects with the policy target, having characteristics of protecting people's life and property as the main duties. In order to verify premi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20.0.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that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has a positive effect on PSM. It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influence for the policy target. It revealed that job influence for the policy target has a positive effect on PSM. As the indirect effect by a parameter,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has a positive effect on PSM through mediation of recognition on job influence. A rank, a controlled variabl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PSM.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difference among ranks according to each path coefficient of the research mod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th 'contact⟶job influence', showing that path coefficient size of the lower rank is larger than that of the higher rank.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shall be done in terms of the managerial dimension to enhance PSM of fire-fighting officials.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may be a new source of feedback through offering information about job performance, and contribute to shaping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target. Particularly, it showed that quality of contact has the greatest correlation in every dimension of PSM. Therefore, it's required to form an environment for shap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making meaningful and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contact. Second, in order to raise recognition on job influence for the policy target, it's required to provide fire-fighting officials with information about job influence. Recognition on job influence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M. Contact with the policy target may provide immediate and direc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job performance, so it may contribute to increase recognition on job influence. Third, through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both policy making and implementing, fire-fighting officials’ PSM shall be enhanced. Research showed that rank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M. It may be understood that higher-ranks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during policy-making, consider normative values s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al and normative dimensions of PSM. On the other hand, as they are at the lower rank,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policy target during policy implementing and more potentials to get instant and direct information with emotional exchange, so it may enhance an affective dimension of PSM. Therefore, if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every job characteristic, it may enhance all dimension of PSM.;행정학에서는 공무원의 주요한 동기로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구성원의 동기 구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개념이다. 실증적 연구들을 통하여 민간부문 종사자에 비하여 공공부문 종사자들에게서 공공봉사동기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봉사동기의 선행요인을 밝히고 이를 통해 동기부여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공공봉사동기의 선행요인 중 공직 입직 후의 조직사회화요인은 일반사회화요인에 비하여 관리적 이용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사회화요인 중 정책대상과의 접촉, 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 계급 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정책대상과의 접촉’이다. 행정의 주요기능은 국민에 대한 행정서비스의 제공이며 서비스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구현된다. 따라서 공무원들은 직무수행과정에서 정책대상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정책대상과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공무원은 직무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하여 공무원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되고 직무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은 성취감과 유능감을 높여 내적보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정책대상과의 감정적 교류를 통하여 정책대상에게 공감하고 정서적으로 몰입하게 되어 공공봉사동기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정책대상과의 접촉이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은 정책대상에 미치는 직무수행의 영향력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을 의미한다. 직무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공무원은 자신의 직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무를 보다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정책대상과의 접촉은 직무영향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책대상과의 접촉을 통하여 공무원은 직무영향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정서적 교류를 통하여 그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직무영향력을 보다 현저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계급’은 조직사회화의 정도를 보여주는 변수로서 의미를 지닌다. 우리니라의 공무원 임용은 폐쇄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내부 승진을 통해 계급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계급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의 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계급이 높을수록 공무원의 욕구수준이 높아지면 자율성도 커진다. 따라서 자기실현과 같은 상위욕구를 추구하게 되고 자율성에 따른 책임감을 느끼게 되어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계급은 정책형성과 정책집행의 업무특성을 보여주는 변수로서 업무특성의 차이에 따른 영향력을 보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차원의 개인특성으로서 계급을 통제하여 정책대상과의 접촉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위계급과 하위계급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로서, 서울시 23개의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소방공무원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라는 주요업무의 특성상 정책대상과의 접촉할 기회가 많으며 정책대상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 본 연구가설 검정에 적합한 연구대상이다.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표본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변수들의 평균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대상과의 접촉은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에도 정(+)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은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변수를 통한 간접효과로서, 정책대상과의 접촉이 직무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다. 통제변수인 계급 또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연구모형의 각 경로계수에 따른 계급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정책대상과의 접촉⟶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의 경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 계급의 경로계수의 크기가 상위 계급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책대상과의 접촉을 관리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정책대상과의 접촉은 직무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어 피드백의 새로운 원천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접촉을 통한 감정적 교류를 통해 정책대상과 긍정적 관계 형성에 기여한다. 특히 정책대상 접촉의 질은 공공봉사동기의 모든 차원에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촉의 빈도를 높이는 것 보다 우선적으로 정책대상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정서적으로 소통할 수 있으며, 접촉을 통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대상에 대한 직무영향력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소방공무원에게 직무영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직무영향력에 관한 인식 또한 공공봉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무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직무수행결과에 대한 평가 보고서 등의 공식적 자료 등을 통하여 직무영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정책대상과의 접촉 또한 직무수행과정에서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직무영향력 인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정책형성과 정책집행의 업무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직무수행의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 계급은 공공봉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계급일수록 자율성이 높고 그에 따라 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소방공무원의 내적동기부여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위계급일수록 정책형성의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정책에 참여할 기회가 많고 규범적 가치를 고려하게 됨으로 공공봉사동기의 합리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하위계급일수록 정책집행 업무를 수행하며 정책대상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정서적 교류를 할 가능성이 높아 공공봉사동기의 정서적 차원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직무순환 등의 방안을 통해 각 업무의 특성을 모두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한다면 공공봉사동기의 모든 차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