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6 Download: 0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 현황에 대한 교육 주체 인식 분석

Title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 현황에 대한 교육 주체 인식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uthors
조재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최근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 집단들이 한 사회에서 생활을 하고 있고 외국인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제 외국인 공동체는 한국 사회에서 낯선 집단이 아니다. 화교는 우리 사회에서 100여 년이 훨씬 넘는 시간 동안 더불어 살아온 대표적인 이민족 집단이다. 한국 내 화교는 이주 역사도 길고 그 인원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체류하고 본국으로 돌아가는 다른 외국인들과는 달리 과거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함께 살아갈 한국 사회의 구성원이다. 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한국 정부의 각종 차별과 배제의 영역에 있다. 다문화 시대에 같은 삶과 문화를 공유하는 화교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는 진정한 배려와 소통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지금의 화교를 있게 한 교육을 알아보는 것은 이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교육은 시대나 장소를 불문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등 교육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아정체감과 의식이 발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화교에 대한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도 비교적 적고 연구의 범위도 정치 및 경제적인 영역에 국한되어 있다. 특히 화교 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굉장히 적기 때문에 한국 내 화교 학교의 현황에 대한 자료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것은 대만과 대한민국의 정부나 연구자들이 화교 학교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교 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 속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한국 내 화교 학교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인식에 대해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3년 현재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의 현황은 어떠한지, 그리고 교육 주체인 학생, 학부모,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학교교육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의 운영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 주체가 인식하고 있는 학교교육의 문제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의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학교의 구조적 배경, 물적 배경 특성, 인적 배경 특성, 학교 운영, 사회 심리적 환경, 교수학습활동, 직무, 교과 외 활동, 교육 결과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특히, 화교 중․고등학교 교사의 주요 자질에 대해서는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화교 학교의 기능에 대해서는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교육 주체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학교의 운영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운영 영역은 환경·복지·시설, 의사 결정 참여, 징계 및 규율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학교 건물, 교실, 보건실, 운동장, 컴퓨터, 사물함 등 학교 교육 환경과 시설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학교의 의사 결정 참여 방식에 있어서도 학생과 학부모는 본인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의 교육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고, 학교의 의사 결정방식도 교육 주체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되는 민주적 방식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이라고 할 수 있는 학업 지도, 생활 지도, 진로 지도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과 외 활동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현장 체험학습, 학교의 창의적인 교육 활동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들은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는 학교의 교육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학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화교 중·고등학교 교사의 주요 자질과 관련하여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부모와 교사 모두 교사의 자질 중에서 ‘중국어에 대한 언어 지식과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고,‘화교 문화와 특성에 대한 이해 및 경험 여부’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화교 학교의 기능에 대해서는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한국어 및 중국어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을 높인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화교 커뮤니티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화교 학교의 기능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성을 갖는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화교 학교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교사도 중국어 능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내 화교 학교의 운영상 개선 방안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전국의 화교 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의 다수가 대만 국적이지만,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졸업 후 생활하는 지역이 한국이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이들은 학업 포부 수준도 높아 향후 한국 사회의 전문가로서 미래의 인적자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화교 학교의 환경과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만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 한국 정부는 이들을 치외법권 지역의 외국인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한국의 구성원으로서 관심을 가지고 화교 중․고등학교의 환경 및 시설에 투자를 하고 학생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기획하고 실시해야 한다. 학교 현황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의 예산은 거의 전부 학생의 학비로부터 나오고 있고 학생 수의 감소로 재정 상황은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다. 부족한 부분을 한국 정부가 지원하여 한국의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 구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둘째, 화교 중․고등학교는 학업 지도, 생활 지도, 진로 지도 등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활동에 대해 개선하고 다양한 교과 외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화교 학교에는 대만 국적의 학생이 다수이기는 하지만, 한국 국적, 기타 국적의 학생도 재학하고 있다. 학생마다 다른 가정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교육적 필요에 따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학교 차원에서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학업지원, 생활 지도, 진학상담 및 심리상담, 직업교육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과 역량을 갖춘 인재로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교 밖 체험활동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의 교육은 대만식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에서 태어나 자라나는 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진학과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이 중요하다. 한국 사회에서 화교라는 정체성을 가지면서도 이방인으로서가 아닌 구성원으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의 교육 과정 보완이 절실하다. 셋째, 화교 학교의 특색을 살리고 구성원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한국 내 화교 학교들이 한국어 및 중국어의 이중 언어 구사 능력 향상을 학교의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학교에서 한국어 및 중국어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와 교사 모두 화교 중․고등학교의 교사는 중국어에 대한 언어 지식과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화교 중․고등학교는 한국어와 중국어 구사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교과 수업뿐 아니라 살아 있는 중국어를 접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강력한 화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회에서 역할을 활발히 하고 있는 학교의 선배들의 도움을 받아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자료를 통해 높은 학습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국경절 행사나 춘절 같은 명절 등 화교만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인 행사를 통해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탄력적인 교육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화교 중․고등학교의 상황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 방안도 수월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내 화교 중․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설문 조사 방식의 한계로 인해 교육 주체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드러내는 데는 한계를 갖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화교 민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Lately a variety of cultures and ethnic groups are living in Korean society and the number of foreigners is increasing over time. So a foreign community is not strange to Korean society at all. Overseas Chinese in Korea is the most representative ethnic group living in Korea for more than 100 years. They have the longest migrant history in Korea and the number of the people is in the upper rank in Korea. Further, these people constitute Korea already in the past and present, and they will continue to do so in the future unlike other foreigners who temporarily stay in Korea and return to their mother countries. However, this unique ethnic group has been under the domain of divers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Genuine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are required to build an environment to acknowledge and live altogether with overseas Chinese who share the identical life and culture in the global times. Thus the efforts to recognize the education of who they are will be the first step toward understanding them. This is because education sustains and reproduces ethnic identity whenever or wherever the ethnic group is.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rowing gen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ir self-identity and consciousness as a member of the society. Studies on overseas Chinese in Korea are very limited in the sense of quantity and quality; the scope of the research mainly focuses on politics and economics. Even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is not plentiful 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This means that Korean and Taiwanese government and researche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e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perception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and education in Korea with systematic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 of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in the year of 2013 and to analyze how the educational stakeholders recognize the school education. With factual data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is study seeks to grasp the exact state of affairs regarding operation and attributes of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examine perception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about the school education, and draw up methods for improvement plans for the fu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awareness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concerning structural background, phys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human background uniqueness, school management, psychosocial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u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ducation outcomes. In particular, this study inspected the different realization among the subjects of education by surveying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s to the qualities of teachers and by surveying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s to the functions of overseas Chinese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ll recognize the school management negatively. The domain of school management is organized by questions regarding welfare facilities,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discipline and regulation. The educational stakeholders also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school environment including the general condition of school buildings, classrooms, infirmaries, playgrounds, computers, lockers, etc. In addition, student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is one of the drawback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overall school circumstances and to advance democratic methods to collect a variety of opinions from the subjects of education when decision-making occurs at school. Second, students and parents viewed unfavorably the core part of school education which is academic guidance, life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also very negative. They expressed strong dis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ce study and creative school programs. Therefore,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need to identify the points at issue in all aspects of school curriculum and upgrade the state of affair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parents and teachers was lower than the level of importance with reference to the school teachers’ major qualification. Notably,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eachers. For the teachers’ qualification, parents and teachers responded that “Chinese languag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nd “experience and awareness of overseas Chines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s rather not essential. Concerning the functions of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ll replied that “to increase Korean and Chinese bilingual language proficiency” is the most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o take part in the events held by overseas Chinese community” is the least essential. Consequently, emphasis must be placed on the Chinese and Korean bilingual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endeavors for teachers to strengthen Chines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improvement plans for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overall school management is in need of betterment. The majority of students in the schools have Taiwanese nationality but most of them and their parents desire to live in Korea after graduation. Furthermore, the respondents have a high ambition to learn and they can become prospective human resources as experts in Korean society. Thus,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urroundings and facilities of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not regard the overseas Chinese students in the schools as foreigners in an area of extraterritorial jurisdiction but pay attention to them as a member of Korea by investing in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by executing substantive plans to grow the students. As can be confirmed i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chools in Korea, school budgets are mostly from tuition and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leads to the inferiority of school finances. The deficit should be comple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sense that Korea makes an active investment into composing competitive manpower resources. Secondly, core school curriculum such as academic guidance, life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are required to reform and diversify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overseas Chinese schools, even though Taiwanese nationality is the majority, there are also Korean and other nationalities. Students from different home backgrounds are under difficult conditions to receive adequate assistanc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needs. Thus, schools should identify the demands and implement academic support, student guidance, admission consulting, psychology consult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Likewise, the schools should provide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to educate students with outstanding extracurricular competence. Notably, although the education in the overseas Chinese schools in Korea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Taiwanese curriculum system, comprehension and adaptability to Korea are vital to overseas Chinese students who were born in Korea for their future academic and career path. Complementary measures for overseas Chinese students are desperately needed to enable the students to perform their own roles with unique identity not as an outsider but as a part of a society. Lastly, overseas Chinese schools are required to set a goal which is to increase Korean and Chinese bilingual proficiency and to make efforts to achieve i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that Korean and Chinese bilingual proficiency is of momentous importance in the schools. In additio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that “Chinese language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Chinese” is the necessary qualification for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o improve students’ Chines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to pursue diversified authentic learning methods. Networks of graduates can be utilized who are faithful to their roles in the society to motivate students to study effectively. Moreover, a self-direct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can be attained at the same time through events such as National holidays or Spring Festival that only overseas Chinese can enjoy. Making full use of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 course of study can be flexible would easily result in concrete and feasible measu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of overseas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the recognition of subjects of education, analyzed the drawbacks, and deducted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drawing out in-depth perceptions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due to the adoption of the survey method. More and further studies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lead to enthusiastic attention to and assistance for overseas Chinese who are living together with Koreans in Korea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