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

Title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tirement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and Contural-Level Theory
Authors
이현숙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소현
Abstract
Although there is a growing need to systematically prepare retirement early by various social change,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still insuffici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factors that influence retirement preparation need to investigated. Also although many studies are investiga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are conflict. For the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uman internal factors for future retirement behavior of individuals 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research and provide empirical data that can be useful to explore the purpose. Thus, I think it will be able to provide direction of study in these topics as a result of a more in-depth research,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level theory for the retirement attitude and behavior.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s~40s.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sed by using SPSS Windows for 21.0.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results. First, the factor that influence regulatory focus is monthly income. In other words, as monthly income is higher, the level promotion focus turns up higher.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trual-level theory are sex, age, whether children or not, job. In other words, woman, higher age, get children, and kids of the jobs are aware shortly future about retirement. Third, for the retirement attitu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sex, monthly income and saving and investment preference. Retirement attribute of the woman and higher monthly income get more higher point than man and lower monthly income. Fourth, retirement behavior is more lower than retirement attitude. Because although many consumers recogniz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they don't practice that retirement preparation practice. Fifth, for the retirement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age, marriage,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for the retirement preparation. In other words, higher age, married person, higher education, and educated about retirement get more higher point for the retirement behavior. Sixth, depending on regulatory focus, the retirement attitud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etirement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Seventh, depending on construal-level theory, the retirement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However, the retirement behavi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t. Lastly, sex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omotion focus, and low-level construal are the affecting the retirement attitude. Also, retirement attitude,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education for the retirement preparation and promotion focus are affecting the ritirement behavior. Thus, when it comes to preparation for retirement,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level theory turns out to be a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paration attitude and behavior. It is suggested that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ous impacts on retirement preparation.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길어진 은퇴 후의 시간으로 인하여 30년 벌어 40년을 살아야 하는 부담을 경험하게 됨에 따라 경제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30‧40대 시기 동안 은퇴를 얼마나 잘 준비하는지가 은퇴 이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은퇴준비는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가지고 적극적인 은퇴준비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은퇴준비 실천은 그 필요에 비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은퇴준비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다루어짐에 따라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 은퇴준비는 상반된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어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은퇴준비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인 만큼, 인구통계학적 특성만으로 충분한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이외에 은퇴준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심리적 요인인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을 적용하여 은퇴준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은퇴준비라는 목표달성에 대하여 형성하는 동기 체계인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에 근거하여 은퇴에 대한 심리적 거리 지각을 통하여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와 그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재무설계 관련 배경변수에 따른 조절초점 성향을 살펴본 결과, 가계의 월 평균 소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00만원 미만 집단은 예방초점이, 이상 집단은 촉진초점이 더 많았다. 소득은 생활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소득의 증가로 인한 긍정적인 시각의 형성이 촉진초점 성향에 대한 선호를 더욱 높인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재무설계 관련 배경변수에 따라 은퇴에 대한 시간적 거리 지각을 해석수준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자녀유무,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 40대, 자녀가 있을 때 은퇴를 가까운 미래의 사건으로 지각하였으며, 직업군에 따라 시간적 거리 지각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수에 따른 은퇴준비태도를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성별과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보다 여자의 은퇴준비태도 점수가 더 높으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은퇴준비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재무설계 관련 배경변수인 저축 및 투자성향에서 공격투자형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은퇴준비태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격투자형 집단에 위험추구 성향이 강한 남성이 더 많기 때문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여자보다 남자의 은퇴준비태도가 낮은 결과가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은퇴준비태도에 비해 은퇴준비행동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은퇴준비에 대한 필요는 인식하지만, 실천이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배경변수에 따른 은퇴준비행동을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소득에서 재무설계 관련 배경변수인 은퇴준비교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0대, 기혼자일 경우와 학력이 높고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은퇴준비 관련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경우에 은퇴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심리적 요인인 성향적 조절초점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향적 조절초점은 은퇴준비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은퇴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촉진초점 성향의 사람들이 예방초점 성향의 사람들에 비해 은퇴준비행동이 더 높았다. 촉진초점 성향의 사람들은 이익을 위하여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가능성을 높이기를 선호하지만, 예방초점 성향의 사람들은 손실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하여 현재를 유지하려는 소극적인 태도를 갖는다. 이러한 성향적 조절초점의 특성 차이가 은퇴준비행동의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일곱째, 해석수준에 근거하여 은퇴에 대한 시간적 거리 지각에 따른 은퇴준비태도 및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간적 거리는 은퇴준비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은퇴를 가까운 미래의 사건으로 지각하는 경우 은퇴준비태도가 높았다. 이는 성별의 특성에 따른 차이로서 여자의 경우 하위 해석 수준의 표상을 선호함에 따라 은퇴를 가깝게 지각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은퇴준비태도가 높게 형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은퇴준비태도에는 성별, 조절초점, 시간적 거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여자일수록, 촉진초점 성향일수록, 은퇴를 가깝게 지각할수록 은퇴준비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준비행동에는 은퇴준비태도, 연령, 최종학력, 평균소득, 은퇴준비교육, 조절초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은퇴준비태도가 높을수록, 연령‧학력‧소득이 높을수록, 은퇴준비교육을 경험할수록, 촉진초점 성향일수록 은퇴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석수준은 은퇴준비태도에, 조절초점은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은퇴준비를 설명하는 새로운 심리적 변수의 가능성을 암시하였다.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이해는 은퇴준비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