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韩国初高中汉语交际文化教学研究

Title
韩国初高中汉语交际文化教学研究
Other Titles
한국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류문화 교육 연구
Authors
엽은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TeCSOL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Sun Zhen(孙贞)
Abstract
我们都知道,对外汉语教育不是单纯语言能力的教育,而是应教会学生在理解中国文化的基础上正确使用汉语达到顺利地和中国人交流的目的。所以,把中国文化融入汉语教学是极其重要的。对外汉语教学中的文化分类不止一种。把这些文化分为“知识文化”和“交际文化”的观点已经存在了一段时间,也得到了很多学者的认同。在韩国,文化教学的研究绝大多数是以初中、高中学生为对象的。虽然取得了一些研究成果,但这些研究中从“知识文化”和“交际文化”两分法的角度来研究的几乎是一个空白。从所研究的内容上来看,牵涉到的文化项目基本上都是中国的行政区划、中国的民族、中国的饮食、中国的传统艺术等等被称为“知识文化”的文化项目。这些文化对学习者在汉语语言上的运用没有直接的影响。而对于对汉语运用有直接影响的“交际文化”则几乎没有被提及。另外,这些研究基本上都是基于韩国现行初高中汉语教材中的文化项目所作的。虽然研究者们提出了一些现行教材文化部分存在的问题,如文化栏和课文联系不紧密等,也作了很多教学上的有益的尝试,但如果不解决教学内容的问题,即“应该教什么?”,那么对于“怎么教?”的研究也就失去了实际的意义。 为了尝试解决上述问题,本论文采取教材分析和调查问卷相结合的方式,首先分析研究了现行韩国初中13本汉语教科书和高中11本汉语教科书文化栏中出现的文化内容,然后用likert五级量表的形式制作调查问卷,在韩国600多名初高中汉语学习者和一部分初高中汉语教师中进行中国文化项目需求调查。对现行教材、学习者、教学者三方面的调查显示,共同得到青睐的文化项目有4个,即“中国人的一般生活习惯”、“中国的饮食文化”、“中国的传统节日和节日习俗”和“中国的著名城市”。能同时满足初高中学习者和汉语教师的文化项目有6项,加上处于数据排行前10位的7个文化项目,一共整理出韩国初高中汉语教学中应出现的17个文化项目。其中11个是知识文化项目,6个是交际文化项目。在此基础上,本文以对比分析法为理论依据,以6个交际文化项目为研究对象,叙述了汉韩文化的相同和相异之处,为韩国初高中汉语教学中文化内容的实际教学提供材料。 明确了“教什么”之后,解决“怎么教”必不可少。知识文化在教学中的导入在其他的很多研究中都已经涉及到。但交际文化如何导入教学的相关研究仍旧十分缺乏。所以本文也将简要探讨交际文化的内容在实际教学中的导入问题。这部分内容,首先对韩国现行初高中汉语教材的内容进行了分析综合。同时结合分析结果提出适合导入的交际文化内容的相关建议。然后对交际文化导入教学的具体教学方法进行了简要的阐述。 对外汉语初级阶段的教学已经有好几十年的历史了。但«对外汉语教学初级阶段教学大纲»中并没有包括进一个文化大纲。文化大纲的制订是一项理论性和实践性都很强的研究性工作。在现今一些基本理论问题还没有完全达成共识的情况下,制定文化大纲的难度无疑是非常大的,特别是面向多国学习者的文化大纲的制定。指导理论的不成熟、文化本身的抽象性等都给研究造成了一定的难度。但即便如此,相对而言,针对韩国这一个国家的文化项目确定的问题就显得操作性强一些。所以希望本文的研究成果能给这个领域的研究做出一点贡献。;대외한어교육은 단순히 언어 능력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인과 진정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대외한어교육에 있어서 중국문화를 다루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대외한어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문화부분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크게 ‘지식문화’와 ‘교류문화’ 로 나누어 연구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문화교육부분 연구는 주로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다루어져 왔다. 지금까지 어느 정도의 연구성과는 있었으나, ‘지식문화’와 ‘교류문화’ 두 가지 측면에서 문화부분을 다룬 것은 거의 없었다. 연구내용 측면에서 보면, 관련된 문화항목은 주로 중국행정구역, 중국의 민족, 중국의 음식, 중국 전통문화 예술 등의 ‘지식문화’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문화항목은 중국인과의 언어교류에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실제 중국인과 언어교류를 하는데 있어서는 ‘교류문화’부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대한 언급은 극히 드물다. 그밖에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한국 현행 중고등학교 중국어교과서의 문화항목에서 다루어진 것으로, 연구자들에 의해 현행 교과서의 문화부분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그에 대한 변화를 위한 적잖은 시도도 있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학 내용의 변화가 없이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해답도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본고에서는 교재분석과 설문지를 조사 방법을 결합하였다. 먼저 ‘지식문화’와 ‘교류문화’ 양분법에 의한 이론에 기초하여, 현행 한국 중학교 13종 중국어교과서와 고등학교 11종 중국어 교과서 문화항목 내용을 분석한 후, likert五级量表(5점 척도법)의 형식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한국의 600여명 중고등학교 중국어학습자와 일선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항목에 대한 요구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현행교과서에 소개된 내용 중 학습자와 교사의 선호도가 높은 4개 항목은‘중국인의 일상생활습관’, ‘중국인의 음식문화’, ‘중국의 전통명절과 풍속’, ‘중국의 주요도시’이었다. 그리고 교과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학습자와 교사의 선호도가 높은 6개 항목을 선정할 수 있었다. 그밖에 통계자료 10위안에 드는 7개 항목을 추가하여 합계 17개 문화항목을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어야 할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이중 11개 항목은 ‘지식문화’부분이고, 6개 항목은 ‘교류문화’부분으로, 본고에서는 대조분석법이론에 기초하여 6개 항목의 ‘교류문화’부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중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서술하고, 한국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중국문화내용에 관한 실제 교학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명확히 한 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지식문화’를 교학에 도입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왔으나, ‘교류문화’를 어떻게 교학에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류문화’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 부분의 내용은 먼저 한국 현행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재의 내용을 종합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교류문화내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음으로 교류문화를 적용한 구체적인 교학 방법에 대해서는 간단 명료하게 서술하였다. 초급 중국어 교학에 대한 연구는 이미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으나, ‘초급중국어교학요강’중 문화요강은 포함되어있지 않았다. 문화요강제정은 이론적, 실천적으로 반드시 연구되어져야 할 항목이다. 지금까지 기본 이론문제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문화요강을 제정하는 것도 물론 어려움이 크지만, 문화자체가 갖는 추상적인 면 또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한국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항목 선정 문제는 다국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항목 선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루기가 쉽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고에서 다루어진 연구결과가 이 분야의 연구에 크게 이바지하기를 바라는 바이다.;Foreign Chinese education should not be simply teaching language ability, bu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it should be a true communication with Chinese people. Therefore, Chinese culture in foreign Chines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re are many types of culture which should be taught in foreign Chinese education. Cultural sector is studied in largely two parts of ‘knowledge culture’ and ‘communication culture’ by many scholars. In South Korea, study on education of culture has been mainly about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So far, there has been some extent of research performance, but there are rarely on culture from two aspects of ‘knowledge culture’ and ‘communication culture’. Concern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related sector of culture is mainly ‘knowledge culture’ such as Chinese administrative district, ethnic groups in China, Chinese food, Chinese traditional art, etc. However, these items of ‘knowledge culture’ have difficulty in directly influencing language communication with Chinese people. In actual communication with Chinese, ‘communication culture’ directly affects, but there is extremely little mention on this. The researches above are mostly treated in cultural sector of current textbook of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and researchers raised many objections on the cultural part in the current textbook, as well as they tried many times to change them. However, without a profound change in the answer to ‘what to teach’, there will be no answer to ‘how to teach’. As a trial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combined two methods of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 and questionnaire. First of all, contents of cultural sector of Chinese textbook are analyzed from 13 types of junior high schools and 11 types of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n questionnaire was produced in the format of Likert five-point scale, of which cultural items were analyzed by 600 Chinese learners and teachers in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As a result, four items that were highly preferred by learners and teachers among contents of current textbook were ‘daily time practice of Chinese’, ‘Food culture of Chinese’, ‘traditional holidays and custom in China’ and ‘major cities in China’. Moreover, six most preferred items were selected by learners and teachers that were not contained in textbooks. Other than that, seven items that ranked within ten in statistical data were added; making 17 cultural items were arranged as item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extbooks in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Among them, 11 items were ‘knowledge culture’, 6 items were ‘communication culture’. This study targets the six items based on contrastive analysis theory, and will describ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South Korean culture and Chinese culture; thus will provide practical teaching material on Chinese culture for Chinese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For the latter, ‘how to teach’ can be solved only by defining ‘what to teach’. Up to pres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introducing ‘knowledge culture’ to education but studies on how to introduce ‘communication culture’ to education are short.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study mainly on ‘communication culture’. First of all, genera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current Chinese textbooks of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is conducted, then based on th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contents of communication culture which can be applied. Next, detailed educational method applying communication culture is described briefly. Though introductory education of Chinese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the outline of introductory education of Chinese’ does not contain the outline of culture. Establishment of the outline of culture is an item that should positively be studi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o far, there surely is a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 outline of culture at this point when basic theoretical issues are not defined yet, but studying an abstract aspect of culture itself is also difficult. Nevertheless, the issue of selecting culture item targeting South Korean students is relatively easier than the same choice targeting multinational stu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is study contribute a lot to other studies in this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국제중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