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Title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oddler's Temperament,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Toddler'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어머니-자녀 간 애착이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I.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I-1.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I-2.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자녀 간 애착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I-3. 어머니-자녀 간 애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II. 어머니-자녀 간 애착은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생후 24개월∼30개월까지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40쌍(80명)이었다. 영아의 기질을 알아보기 위하여‘걸음마기 기질 질문지(ECBQ: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자녀 간 애착을 알아보기 위하여‘애착 Q-set(Attachment Behavior Q-set)’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은‘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ESCS: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수행 과제는 모두 비디오로 녹화하여 코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부적정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외향성과 조절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자녀 간 애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부적정서는 어머니-자녀 간 애착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절능력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외향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자녀 간 애착과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공동주의의 시도와 반응, 요구행동의 시도와 반응, 사회적 상호작용의 반응)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어머니-자녀 간 애착은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부정적인 기질을 가진 영아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이 안정적이라면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어머니-자녀 간 애착이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교육과 영아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갖는다. 먼저 자녀의 발달에 대한 어려움이나 걱정을 호소하는 부모, 특히 부정적 특성의 기질을 갖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 자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매개해 준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영아교사에게는 기질이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기질은 어머니-자녀 간 애착을 매개로 하여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있음을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부정적 특성의 기질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교사가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거나 지도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This research aims for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toddler's temperament,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toddler'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from a comprehensive view and for recognizing whether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plays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 What is the relation among the toddler's temperament,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toddler'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toddler'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I. Does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play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40 mother-child pairs from 24 to 30 months old.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ECBQ)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Attachment Behavior Q-set was used for the investigation of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ESCS) was used as a tool for checking the toddler'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 performance tasks revealed 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were all recorded and co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 nega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oddler's negative affectiv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a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Second,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iv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ffortful control, and was not correlated with extraversion. Third, a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infant'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Initiating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Behaviors/Initiating and responding to Behavioral Requests/Responding to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Fourth,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served as a mediator between the infant's temperament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attachment to the mother was secure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the infant would be also good even if the infant had a negative tempera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ing the fact that the infant's temperament influences one's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directly and indirectly, but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temperament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parent education. That is to say, we can utilize it by telling parents who have difficulties or worries concerning children's development, especially those who have children with negative temperaments that secure attachment to the nurturer controls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clud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