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다색판화 표현 능력 신장을 위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 교재 개발 및 적용

Title
다색판화 표현 능력 신장을 위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 교재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and Applying a Web Simulation Material to Improve Expressive Power on Multicolored Printmaking : Centered on Printmaking Classes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Authors
임필효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 환경과 교육 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급변하는 정보와 수많은 지식들을 과거처럼 암기와 축적이라는 형태로는 더 이상 시대의 요구에 대응해 나갈 수가 없다. 수많은 지식과 정보들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분별해 내고, 그것을 내면화 시켜 상황에 맞게 활용하고,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상황과 맞물려 컴퓨터로 대표되는 최첨단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도 현재의 교육 환경과 방향에 대해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능동적인 학습자로서의 역할과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 수행을 위해 교수매체에 있어서도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교육 환경과 교수매체의 도입은 미술교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미술과 표현 영역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미술 재료 및 도구의 사용법, 표현 기법, 제작 과정을 동영상과 같은 매체를 통해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편 다색판화는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창의력과 집중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길러줄 수 있지만, 전문적이고 복잡한 제작 과정으로 인하여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단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색판화 수업을 위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 교재를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교재를 통해 다색판화의 전 과정을 학습자들이 가상으로 체험해 보게 함으로써 다색판화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표현 능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판화 학습에 대한 관심과 만족감, 자신감을 길러주기 위함이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구성주의 학습과 인지적 도제 이론을 고찰하여 보고, 시뮬레이션의 개념과 유형, 교육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지도서를 분석하여 다색판화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다색판화 수업의 인식도 및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웹 시뮬레이션 교재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 웹 시뮬레이션 교재 개발 모형은 제작 과정에서 전문가 검증, 피드백과 조절을 동시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 해 보고자 Dick& Carey 모형을 기본 절차로 하고, 임철일, 연은경(2006)이 제시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의 장점을 재구성하여 교재 제작을 하였다. 연구 대상은 다색판화 학습의 경험 여부와 판화에 대한 흥미도, 사전 지식 등의 항목으로 동질성이 검증된 초등학교 6학년 4개의 학급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 2개의 학급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을 나누어 4주 동안 총 8차시(각 40분)에 걸쳐 다색판화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이론 수업에 해당하는 1, 2차시에 시뮬레이션 교재를 활용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 방법과 같이 교수자가 준비한 PPT자료와 사진, 동영상 자료 등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 모두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3차시부터 7차시 까지는 실제 다색판화 표현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8차시에는 수업은 SPSS win 18.0 Program을 사용하여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학업성취도와 표현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색판화 수업에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적용한 실험집단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정답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색판화 수업에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적용한 실험집단은 표현영역의 하위요소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에 비해 표현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색판화 수업에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적용한 실험집단은 태도평가의 하위요소인 ‘수업태도’, ‘제작 과정 적극성’, ‘도구 사용의 안전성’의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다색판화 수업에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적용한 수업은 다색판화에 대한 인지능력과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자기평가 결과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든 면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표현활동을 위한 인지적 도구로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개발하여 단방향으로 단편적인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주입시키기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수업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웹 시뮬레이션 교재를 활용한 다색판화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표현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학습자는 창작에 대한 고민 이전에 기법이나 재료 사용 방법과 제작 절차를 이해해야 하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숙련되는 과정에서 쉽게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현대의 발달된 테크놀로지는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영역을 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앞으로도 판화수업 뿐만 아니라 다른 표현 영역에서도 매체의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학습자들이 미술과 표현 영역에 대해 흥미와 자신감,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knowledge base of the 21st century, various studies for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learner-centered have been introduced. In particular, a network society requests creative thinking skills which can integrate to internalize a lot of information. Then, various methods, which make students be active and be interested in the class, have been propose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technology infrastructure.Introduction of new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se has affected many in art teaching department. However, use of technology in the area of art expression has been made through suggesting a way to use tools and art materials, expression technique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utilizing the media such as videos. This study will analyze effectiveness of a simulation of Web-based teaching materials by applying it to a multicolored printmaking class which is able to build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of students, and problem-solving skills but difficult to be adopted in the class due to complex and professional production process. It i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power of expression by experiencing virtually the whole process of a multicolored printmaking and ultimately to increase satisfaction, interest and confidence of a printmaking class.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t considered the cognitive apprenticeships of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and examined type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simulation. Then, This paper looked at curriculum of the printmaking class by analyzing the textbooks and a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e and recognition of the printmaking class of teachers and students to investigate problems. Based on thes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Web simulation materials. Therefore, I established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at. A Development model of web simulation materials were based on the Dick & Carey model. The materials were made out of reconfiguring the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 suggested by Lim Cheol-Il and Yeon Eun-Kyeong(2006) to implement in a more efficient manner by applying among expert verification, feedback and control in manufacturing process. An object of the study was a total of 100 people composed of four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heir homogeneity was verified in such fields as interest in the printma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of that and prior knowledge. The object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two classes each and the each group took 8 classes for 40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theory of the printmaking with the simulation materials in the 1st and 2nd class but the other group took an ordinary class using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photo presentation and a video tape. After that, both groups were given to take formative evaluation. From 3rd class, the each group studied on printmaking expression and they completed and appreciated their works at the 8th class. I compared research results of both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group applying the general class by using SPSS program and analyz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ve and academic comparis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Web materials simu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ost of areas. However, in some areas such as engraving, embossing and features focusing,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higher score in areas of sub-elements of expression domain such as theme expression, ways of expressing, modeling element and principle, and material express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a sub-element of attitude evaluation such as class attitude, positive process production and safety of using tools. In conclusion, the class applying the Web simulation teaching material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xpressive power and cognitive ability for the objects. Then, as a result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ey showed a positive response in terms of concentra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d a lesson plan in the class with the experience through aggressive interaction by developing Web simulation materials as a cognitive tool for expressive activities rather than instilling in students fragmentary knowledge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it has a meaning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s on the power of ex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bout use of tools and materials, technique, and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multicolored printmaking class. Learners feel difficulty in expressive activities to use the materials and technology and they are willing to lose confidence easily in the process of being skilled. Modern developed technology enables the learner to overcome a weak area in an effective way. Research for use of various materials shall be continually developed not only in the printmaking class but also other expressive field of art. Then, the learner will be provided with meaningful experiences of feeling confidence and interest in the area of art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