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근주-
dc.contributor.author김수민-
dc.creator김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7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되는 해인 2013년도를 맞이하여 새로이 제작된 17종의 중학교 음악 통합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음악 중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민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09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민요가 다양한 문화권의 것인지, 이를 위해 구성된 활동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세계 민요가 적절한 정도로 수록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 악곡에서 세계 민요가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둘째, 17종의 교과서에서 다양한 나라․민족․문화권의 민요를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계 민요를 대륙별․나라별로 구별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민요 악곡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인 표현․감상․생활화의 영역별 활동 성취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내용 영역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통합 교과서 17종의 전체 악곡 중 세계 민요의 비중은 평균 13.4%로, 출판사에 따라 세계 민요를 수록하고 있는 비율에서 최대 14.4%의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17종의 교과서에서 세계 민요의 대륙별․나라별 분포는 평균적으로 아시아 26.8%, 유럽 34.4%, 아메리카 23.3%, 아프리카 9.4%, 오세아니아 5.7%로 지역적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용 영역별 분류에 있어서는 17종 교과서의 평균적인 표현 영역 비율이 64.1%, 감상 영역 24.1%, 생활화 영역 11.1%의 비율로 대부분의 교과서의 세계 민요 학습 활동이 표현 영역에 치우친 것을 볼 수 있으며, 표현 영역 내에서도 가창 영역 위주의 활동이 주를 이루는 불균형 현상이 나타났다. 다문화주의 음악 교육, 특히 세계 민요를 학습하는 것은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을 연결시켜주어 학생들이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며 수용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또한 세계 민요 학습은 학생들이 주체성과 자주성 확립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세계 민요를 통한 다문화 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과 악곡의 편중 현상을 벗어나 교과서에 다양성과 차별성을 갖는 세계 민요를 수록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이 직접 표현하고 감상하며 생활화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의 내용을 고루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본질적이고 효과적인 다문화 음악 교육을 위하여 음악 교과안에서 모든 영역을 다루는 내적인 통합과,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외적인 통합 지도가 필요하며, 다양한 지도 방법 및 다문화 음악 교육에 대한 연구와 자료 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tudy, folk songs among songs of the world included in the 17 middle school integrated music textbooks for the year 2013 newly reflecting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best reflects the culture and sentiment of that particular country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re was an investigation on whether folk songs of the world included in the 2009 revised music textbooks encompassed diverse cultures and on the composition of activities for learning folk songs of the world.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folk songs of the world have been appropriately included in textbooks, the percentage of folk songs of the world accounting for the entire musical pieces was investigated. Secon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17 textbooks covered various countries, ethnicities, and cultures, folk songs of the world were distinguished by continent and country. Thir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folk songs of the world included in textbooks meet the activity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three areas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actu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three area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ercentage of folk songs of the world accounted for an average 13.2% among the entire musical pieces in the 17 2009 revised middle school integrated music textbooks, showing a maximum 14.4%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folk songs which are included according to the publisher. Secondly, on average the distribution of folk songs of the world in the 17 textbooks by continent and country was Asia 26.8%, Europe 34.4%, America 23.3%, Africa 9.4%, and Oceana 5.7%, showing a regional concentration. Lastly, in terms of content area classification, the area of expression in the 17 textbooks was an average of 64.1%, the area of appreciation was 24.1%, and the area of actualization was 11.1%, clearly showing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for folk songs of the world in the majority of textbook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expression. In particular, even within the area of expression, most of the activitie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singing showing an imbalance with 52.5% in singing, 8.2% instrumental music, 1.5% composition, and 2.7% physical expressi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particularly learning folk songs, is connecting people who is from various cultures, and contribute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diversity and particularity of cultures, as well as help students establish their independence and identity. In order to develop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ough folk songs of the world, there needs to be a breaking away of regional and musical piece imbalance and include diverse and differentiated folk songs of the world in textbooks where all of the areas are included equally allowing students to directly express, appreciate, and actualize them. In addition, for a more fundamental and effectiv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re needs to be internal integration covering all areas in the subject of music and external integration teaching through links with other subjects. Also, it is needed to conduct more active research i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materials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4 C. 연구의 범위 6 Ⅱ. 이론적 배경 7 A.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다문화주의적 요소 7 B. 세계 민요 교육의 가치 9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연구 절차 18 C. 자료 분석 방법 20 Ⅳ. 2009 개정 음악 교과서 분석 21 A. 교과서 내용 분석 21 B. 분석 결과 75 Ⅴ. 결론 및 제언 80 참고문헌 83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87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세계 민요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World Folk Songs in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dc.creator.othernameKim, Soo Min-
dc.format.pageix,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