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구성 연구

Title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구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 Q Methodological Application
Authors
이예승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과 유형을 찾고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과 유형을 밝히기 위해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Q 모집단(Q-population)을 표집하기 위하여 심층면접과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은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 가족,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정신보건 간호사, 타과 의사, 타과 간호사, 사회복지사, 의료 사회복지사, 사회복지학과 교수, 일반인 등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조사는 사회복지학, 정신의학, 정신보건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정신보건 관련교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과 정신장애인들의 경험을 기록한 수기, 정신장애인 관련 보도내용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심층면접과 문헌조사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으로 추출된 Q 모집단은 총 285개였다. 연구의 둘째 단계에서는 일차 추출된 Q 모집단으로부터 비구조화 방식으로 Q 표본을 선정하였고, 그 결과로 Q 모집단에서 35개의 Q표본이 최종 선정되었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에서는 Q 표본분류를 위해 조사대상(P-sample)으로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의 가족,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정신보건 간호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등 30명을 선발하였고, 이들에게 Q 표본분류(Q-sorting)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Q 표본분류를 위한 Q 분포는 -4에서 +4(9점 척도)를 활용하였고, 자료코딩 방법은 QUANL Program을 사용하였고, Q 요인분석을 통해 정신장애인 회복개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정신장애인 회복개념의 유형분석 중 일치항목 5개와 4개의 유형이 추출되었다. 일치항목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회복은 정신장애인이 전문가들과의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정신장애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견디고 버티면서 자신의 삶을 즐기고 타인의 어려움도 살피는 마음의 여유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치항목의 특징을 핵심단어로 표현하면‘협력적 치료와 마음의 여유’이다. 본 연구에서 제 1 유형은 대부분의 정신장애인이 포함되어 있었으며‘사회적 관계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증상관리와 병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이 속한 세상 속으로 나아가며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삶을 회복의 모습으로 보았다. 제 2 유형은‘대처능력 증진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질병이 없고 안녕한 상태를 지향하면서 발병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가서 잃어버린 건강을 되찾는 삶을 회복의 모습으로 보았다. 제 3 유형은 정신장애인과 정신장애인의 가족으로 구성되었고‘안빈낙도형’으로 명명되었으며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사회의 기준을 쫓아가기보다는 자기 모습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삶을 회복의 모습으로 보았다. 제 4 유형은 정신장애인의 가족만이 포함되었으며‘자발적 자기관리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문제를 제대로 알고 스스로 자기관리를 위한 노력을 통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해 나가는 삶을 회복의 모습으로 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함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회복개념과 그 유형에 대한 폭넓은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회복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발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파악된 회복개념의 유형을 사정 틀에 적용하여 개입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회복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서 회복의 유형을 통해 기존의 획일화되고 관습화된 서비스 유형을 보다 다양한 맞춤형 형태로 개발하고 유형별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의 부담과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이 생계를 해결하고 그들의 안전과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정책적 투자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신보건 전문가의 양성과정에서 회복에 대한 다양한 욕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과정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의 가족, 정신보건전문가들의 회복개념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정향연구(Co-orientation Study)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유형 간 회복개념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그 원인을 분석해 볼 수 있는 집단 간 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by Q factor)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대상자 선정에 있어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자들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유형 간 정신건강 서비스의 여러 변인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연구(Typal difference Study on Mental health service)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병원과 지역사회를 모두 포함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나 영역별로 회복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에 대한 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by Demographics)가 필요할 것이다. ;The theme of this study is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aim of study is identifying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analyzing the trait of each types in it. This research was used Q methodology. In the first stage of this course,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arried out to collect the Q-popul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eople in total, consisting of those who were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psychiatrists and clinicians of other departments, mental health nurses and of other departments, medical social workers, general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studies professors with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care and ordinary people. In addition, a number of wide-ranging documents including relevant academic materials related to mental health issues covering different study fields such as sociology of professions, social welfare, psychiatry and the media report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Q- population which was sampl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as the concep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285. In the next stage of the research, the Q-population sample was reviewed by using of non-structured methods. Within the Q-population, the final 35 Q-samples were chosen and 9 points standards ranged from -4 to +4 were applied for Q distribution. For the final stage of this research which is the grouping of Q-samples, 30 P-sample consisting of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psychiatrists, mental health nurses and mental health psychologist were picked and the Q-sorting wit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m. QUANL Program was used for data coding and the factors in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drawn by the Q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5 consensus items and 4 factors were identified while the investigation of the recovery factors. The contents of the whole consensus items were keeping their composure that enjoyed their life and considered the troubles of other people accepting the mental disorder as parts of their life and standing the pain based on rapports and cooperation with the experts. So those keywords of the consensus items were 'collaboration with others' and 'peace in mind'. Four factors drawn from this analysis are as the following : The first factor named as 'Social relationship' is developing a diverse network, going out into the world and being respected as a member of community on the basis of symptoms management and insight. The second factor named as 'Enhancement of coping ability' is returning to the way they were before onset and then recovering lost their health moving toward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e third factor named as 'Self- satisfaction' is being content amid difficulty and taking pleasure while doing not care other people' prejudice. As well it includes mentally disabled people have peace in their mind through healing and personal growth. The Final factor named as 'Voluntary self- management' is that mentally disabled people recognize their problems exactly and maintain their condition making efforts for not getting wor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the following : The first, this research suggests the wide view of the recovery concept and factors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provides the basis for new variables evaluating recovery. The second, these factors will help building effective strategies of recovery if it is applied to intervention goals and plans as a assessment tool. The third, it is needed that the mental health services change from the standardized and habituated types to the different and individualized types. The forth, the social welfare policies must be developed which contribute to mentally disabled people's support and ensure their safety and rights in order that their burden is relieved and their negative thought of the future is softened. The fifth, it is needed that the training curriculum of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 must contains theoretical education and clinical teaching which understanding the different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recovery.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are made as follows : The first, the co-orientation study is needed betwee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y about the recovery concept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second, the comparative study by Q factor is needed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making differences between factors of the recovery concept. The third, the typal difference study on mental health services would conduct and finally the comparative study by demographics is needed to know differences between hospita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