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대안학교 학생들을 위한 과학수업 적용 및 수업참여 요인 분석

Title
대안학교 학생들을 위한 과학수업 적용 및 수업참여 요인 분석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factors that shape students’ 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 at an alternative school.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science education program with a group of students at an alternative school and analyzed how the students have participated and which factors have influenc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program. Further through case analysis, the study tried to integrate how the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shap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8 students who attended an alternative school in Seoul. Considering students’ diverse prior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the program employed STS approach using biology content focusing on blood unit. Drawing upon situated cognition theory, the education program emphasized learning community and real world relevance in teaching. The program consisted of 12 periods over the semester and each period lasted for 60 minutes. The program employed various instructional strategies including discussion, lab, lecture, collaborative activities, role play, storytelling. The teacher researcher kept teaching and reflection journals. Also students have provided course evaluation at the end.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oretical coding. Identified factors for students’ participation in science are categorized into five: teacher, community, instruction, class theme, motivation. First, under the teacher factor, two sub-categories, 1)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2) teacher’s role as facilitator, are identified. Second, two sub categories under second factor of community were 1) warm and supportive class environment and 2)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community. Third, under instruction factor, sub categories include 1) interest in lab activity, 2) prope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3) students’ active role in class. Fourth, sub categories identified under course theme/topic factor were 1) use of personally connected themes, 2) themes that are relevant in everyday context, and 3) class themes that are interested and relevant to the students. Fifth, sense of accomplishment, personal interest and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as a discipline were sub categories identified under motivation factor. Further four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case analysis which illustrates how the students demonstrated changes in their participation and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o their participation. Differences are noted in “how”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although affected by same factors. Further the study illustrates how students who had once been alienated in the public school system has changed from passive into active participants in the class. The study findings point out that teachers need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This expanded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related to how students participate in a science class (as participating factors) but also it will offer guidance and directions for teachers to prepare their instruction. Further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not only to educational efforts in alternative schools but also, to the discussion on student diversity issues within science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수업을 적용한 후 그 수업에서 보여준 학생들의 수업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의 배경이 수업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도시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각자가 지니고 있는 과학의 선행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보다 STS적인 접근이 용이한 생명과학 영역의 혈액 단원을 수업주제로 삼았다. 수업 개발은 상황인지론을 근거로 하였으며, 학습공동체를 중시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수업은 한 차시 당 약 60분씩 총 12차시를 진행하였다. 수업에서는 토론, 실험, 강의, 모둠활동, 역할놀이, 스토리텔링 등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하였다. 모든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했으며 수업 사후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매 차시마다 학생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관찰노트를 작성했으며 수업일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평가서를 종합하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집한 자료들을 이론적 코딩(theoretical coding)을 사용하여 수업참여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사 요인, 공동체 요인, 수업주제 요인, 교수전략 요인, 내적동기 요인 5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교사 요인의 하위범주에는 교사와의 관계, 교사의 보조적인 역할이 있다. 두 번째 공동체 요인의 하위범주에는 친밀한 반 분위기와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이 있다. 세 번째 수업주제 요인의 하위범주에는 자신과 연관된 주제,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 관심 있는 주제가 있다. 네 번째 교수전략 요인의 하위범주에는 과학실험에 대한 흥미, 적절한 수업전략, 학생의 능동적 활동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내적동기 요인의 하위범주에는 성취감, 흥미와 호기심,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가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뛰어난 수업참여를 보였으며 수업참여의 변화가 두드러진 5명의 학생을 사례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가진 개인적 배경이 수업참여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동일한 수업참여 요인이라고 할지라도 요인의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수업참여 모습은 점차 수동적인 참여자에서 능동적인 참여자로 변화했는데 제도권 학교에서 학습에 소외당했던 학생들이 완전한 참여자로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생의 개인적 배경은 수업참여의 모습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학생 모습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에 대한 확장적 이해를 통해 수업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생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대안학교 학생들을 넘어서 일반학생들의 과학교육에도 보탬이 되리라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