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사회과 수업에서 성찰일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과 수업에서 성찰일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Class
Authors
김하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 high school social studies class. This is accomplished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methods of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class and examin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evaluation and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journals and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research further includes gathering data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then analyzing the data to see whether or not such activities affect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 test group implementing a reflective journal class and a control group that does not? 2. Is there a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3. Is there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by the background variables affecting the test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230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the academic-focused High School K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matching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8.0; the Tukey HSD test was performed as a post hoc test.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social studies class was observe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The academic self-efficacy score of the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having high school students write reflective journal positively affects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 result in line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social studies class was observed to positively influenc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e learning achievement score of the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reflective journal writing positively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considered in the test group, the length of prior study along with several sub-factors affected total academic self-efficacy. Sub-factors included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in which gender affected self-regulated efficacy and the level of education affected the sub-factor task difficulty.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other background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social studies classes affect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this and similar learner-oriented evaluation activities that expand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of social studies, such as interest, atten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habits. It will also be helpful to continue and expand the use of reflective journal in social studies classes and verify the effects. This research has verified the influence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a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o be drawn, indicating effective evaluation strategies for cultivating high-level thinking skills and helping address the flaws of traditional knowledge-based evalu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업에서 자기평가의 한 일환인 성찰일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 수업에서 평가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방법을 탐색하고, 자기평가와 성찰일지의 유형 및 특징, 성찰일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찰일지 수업의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 집단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K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 여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Tukey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수업에서의 성찰일지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통제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결론과 같이 성찰일지 쓰기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의 성찰일지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찰일지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점수가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점수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찰일지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인 실험집단의 배경변인 중 공부시간은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 및 과제난이도에, 성별과 교육수준은 각각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의 배경변인에 따른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대해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과 수업에서의 성찰일지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과의 기본 지식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학습자의 흥미, 관심, 학습 동기와 습관을 판단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평가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암시하며, 사회과 수업에서 지속적으로 성찰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성찰일지 수업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증진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 현재 지식 중심의 전통적인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의 고차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평가 전략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