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배민영-
dc.creator배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1년에 고시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 학습자 수준에 맞는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내용을 재설정하고, 이러한 교육내용이 학습자 내면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교재 구성 원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브루너는 ‘교과를 교과답게 가르친다는 것’은 ‘지식의 구조’를 가르치는 것이며, 학습자들이 해당 학문의 지식을 학습하는 것은 학자의 지식과 ‘수준’이 다른 것일 뿐 지식의 ‘종류’는 동일한 것이라고 말한다. 문학에서 지식을 ‘안다’는 전문가에 비해 수준은 낮지만, 동일한 종류의 지식, 유사한 구조의 지식을 바탕으로 문학을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문학적 안목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이 문학을 스스로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활동의 기반이 되는 알맞은 지식의 내용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지식을 실제로 활동할 수 있게 해 주는 다양한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비유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 방식인 동시에 시에서는 함축적인 의미를 다채롭고 참신하게 담아내는 틀이다. 이러한 비유는 시에서는 효과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을 위하여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시의 의미를 파악하고 감상하는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시 감상에 중요한 요소에 해당하는 비유를 중심으로, 비유에 대한 지식의 내용이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명시된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교육 내용과 교재 구성의 원리를 제시하고, 현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국어 교과서 16종을 비판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교과서 분석에 앞서 Ⅱ장에서는 비유에 대한 지식을 ‘개념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비유에 대한 ‘개념적 지식’은 크게 비유의 구성단위와 언어적 표현형식에 대한 지식, 비유 구성단위의 작용원리와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비유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연관된 방법적 지식은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행’과 교과서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적 지식으로서의 비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펴본 비유에 대한 지식의 개념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비유에서의 지식’의 측면과 ‘비유에서의 지식의 교재화’의 측면에서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내용이 적절하게 반영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의 양상은 어떠한가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을 정리하면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제시된 ‘비유에 대한 지식’은 ‘비유의 정의’, ‘비유의 종류’, ‘비유의 원리’에 대한 지식들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비유에 관한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활동’은 ‘비유의 표현 확인과 유형 분류의 활동’, ‘표현방식의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 이해하고 감상하기’, ‘비유의 효과를 이해하는 활동’, ‘비유의 원리를 파악하는 활동’, ‘비유의 표현을 구현하는 활동’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활동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유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방법은 개념적 지식으로 먼저 제시하는 경우, 학습 활동 중에 제시하는 경우, 마무리 확인 학습에서만 제공하는 경우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비유에 대한 지식이 낯선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에게는 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비유에 관한 명제적 지식의 형태로 제시해 주어야 하며, 이러한 방식은 학습자들이 비유의 원리를 파악하는데 또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이처럼 2011년에 고시된 2009 개정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유형화된 예를 통하여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중학교 1학년 학습자 수준에 알맞은 교육 내용과 교재화의 방향을 Ⅳ장에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시의 의미를 다채롭고 풍부하게 담아내는 틀인 비유는 그 자체만으로 중요한 문학적 이론 지식이다. 또한 문학의 감상과 이해의 바탕이 되고, 일상 언어생활에서 활용되면서 학습자들의 언어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 내용과 이것을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교재화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은 문학 교육, 현대시 교육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This study rese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fit for the level of seventh grader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Revised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2009 announced in 2011 and further discussed the structure principles of teaching materials to help such educational content settle down inside learners. Quoting Bruner, "as the main fuction of school is studying, great scholars as well as specialists must take part in school. teaching a subject like a subject" is to "teach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He also said that the knowledge learners study in a given discipline is the same "kind" as that of scholars only in a different "level." In literature, "learning" knowledge means developing a literary sense of discrimination to appreciate and express literature based on knowledge that falls behind the knowledge level of experts, is the same kind as their knowledge, and in a similar structure to their knowledge. There should be contents of knowledge set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such activities and a variety of methods to translate such knowledge into actual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appreciate and express literature for themselves. A metaphor is a means of expression much used in daily life and a framework to convey implicative meanings in colorful, refreshing ways in poetry. Metaphors make frequent appearances in poems for effective and original expressions and thus claim an important position i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meanings of poems. The study proposed the structure principl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aterials for metaphor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appreciation of modern poetry, with a focus on the seventh grade whose education curriculum first mentions the content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The study also conducted critical analysis of 16 kind of Korea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eventh grade classes. Before analyzing the textbooks, Chapter II examined knowledge about metaphors by dividing it into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bout metaphors is further divided into the knowledge about the component units and linguistic expression formats of metaphors and the knowledge about the operational principles of their component units and relationships between two. For procedural knowledge related to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metaphors, the study looked into metaphors as procedural knowledge to enable "performance" and "activities" in textbooks prescribed in the Revised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addressed in Chapter II, Chapter III critically analyzed the seventh grade Korean textbooks to figure out whether the educational content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was proper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what the patterns of "activities" to achieve it were like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in metaphors" and "materialization of knowledge in metaphor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about metaphors" in the seventh grade Korean textbooks was classified into knowledge about the "definition of metaphors," "kinds of metaphors," and "principles of metaphors." Diverse "activities" presented to attain the objectives of learning about metaphors were categorized into "activities of checking the expressions of metaphors and classifying their types," "activitie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work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xpressive methods," "activities of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etaphors," "activities of figuring out the principles of metaphors," and "activities of embodying the expressions of metaphors." Those activities took an array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learning objectives described in the textbooks. There were three ways knowledge about metaphors was provided, and they include providing it as conceptual knowledge first, providing it during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ing it only during the study for finishing and checking. Knowledge about metaphors should be delivered in the form of propositional knowledge about them to seventh-grade students unfamiliar with such knowledge in the learning process. Such an approach will benefit learners when they tr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metaphors. Chapter IV critically examin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hrough the classified examples of seventh grade Korean textbooks in the Revised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2009 announced in 2011 and sorted ou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aterialization directions fit for the level of seventh graders. As a framework to convey the meanings of poems in colorful and rich ways, a metaphor makes critical theoretical knowledge about literature in itself. Metaphors also serve as the foundation of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are used in daily language life, playing a pivotal role in enhancing learners' abilities to use language. It will be meaningful research in literature education and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to present the educational content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with such significant meanings and the principles of materialization for its effective study in the field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방법 및 범위 6 Ⅱ. 현대시 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지식의 유형과 교재화의 원리 9 A. 비유에 대한 지식의 유형과 교육 내용 14 1. 비유의 속성에 대한 개념적 지식 15 2. 비유의 수용과 생산을 위한 방법적 지식 30 B.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 내용 교재화의 원리 33 1. 추상적 교육과정의 구체화 33 2. 학습 단원 구성의 체계화 36 Ⅲ. 비유에 대한 지식 교육의 양상 42 A.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내용 42 1. 비유에 대한 개념적 지식의 양상 42 2. 학습 목표 실현의 방법적 지식의 양상 54 B. 비유에 대한 지식 관련 단원의 구성 73 1. 학습 목표와 교육 내용의 위계화 74 2. 단원 학습 내용의 귀납적 제시 80 Ⅳ.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 내용 재설정과 교재 구성의 방향 83 A.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내용 수준의 재설정 83 1. 비유에 대한 개념적 지식의 수준 83 2. 지식의 의미화를 위한 방법적 지식의 전략화 85 B. 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재 구성의 방안 86 1. 성취기준에 따른 교육 내용의 계열적 구성 86 2.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 내용의 귀납적 제시 87 Ⅴ. 결론 88 참고문헌 90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02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비유에 대한 지식의 교육 내용과 단원 구성 방식에 대한 비판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rit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Units Organization Methods of Knowledge about Metaphors : With a focus on the seventh grade-
dc.creator.othernameBae, Min Yeong-
dc.format.pagev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