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초등학교 통합, 특수학급의 교사와 특수아동 학부모 간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Title
초등학교 통합, 특수학급의 교사와 특수아동 학부모 간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Other Titles
User Experience Design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of Inclusive and Special Classe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uthors
김효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Generally, an inclusive class is made up of a single child with special needs with the rest of children. Sinc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assigned to standard classes along with other children and separately take special classes that fits their needs, they end up taking two classes. Hav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same classes with the rest of children eventually leaves tough challenges not only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ut to teachers and parents.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require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abilities. However teachers feel burdened since it is difficult to be attentive to an entire class. In addition, having to communicate with each teacher from an inclusive class and special class make things more challenging.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o help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apt to normal classes. These circumstances may cause misunderstanding and distrust between two parties.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es to combat these problems, as they directly affect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is aimed to form a reliable atmosphere by solving problems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s and revitalizing communication between them. As a solution, this study proposes applications for parents of exceptional children and teachers in inclusive and special classes to improve relationships amongst themselves. The specific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s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and users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pre-interview. The literature research on exceptional children and user experience were perform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is. Based on the pre-interview with teachers in rehabilitation schools or welfare centers and inclusive classes and parents, users with the largest number of problems were chosen. Through these processes,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users chosen from the pre-interview to investigate direct problems of inclusive classes. The in-depth interview showed th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detailed requirements. Categori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answers collected, and they were reflected in application functions. Moreover, elements appli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of inclusive and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by analyzing existing applications used in elementary schools and SNS applications. Third, persona and scenario were drawn up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Then they were employed to concretely express the user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 and to analyze behavioral motivations of users. In addition to the demands discovered in the user investigation, the major features extracted from the persona scenario provided the foundation for user-centered UI design. Fourth, detailed screen, menu structure and use flow were designed using the six categories which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of existing applications and persona Scenario. The designed screen was installed in the Android phone as a prototype. Fifth, the usability of the prototype applying GUI design was evaluated by the users chosen above. For the usability evaluation, one-to-one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giving a task to each subject. The scales, which users felt, were also examined as well while focusing on name selection, information design, and menu search. As a result, the majority of user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it. And performed given tasks without much difficulty.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of mobile equipment, government and schools provide numerous services. However, there are still much needs in servic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r their parents. Further studies in required services for special needs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s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 promoting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cademic foundation for other service designs for exceptional children. Contribute to positive that parents and teachers can come to mutual understanding.;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이 함께 수업을 듣는 통합학급은 대부분 한 학급당 한 명의 특수아동이 배정 된다. 일반 학급에 속해 있으면서 정해진 몇 개의 수업만 특수학급에서 듣게 되기 때문에 특수아동은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이렇게 두 학급에서 수업을 듣게 된다. 두 학급에 속하여 일반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것은 학부모에게 두 명의 교사와 커뮤니케이션해야 하는 어려움과 두 반의 알림장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학부모는 교사에게 특수아동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요구하지만, 교사 입장에서는 반 전체를 돌보아야 하기 때문에 특수아동의 존재 자체가 부담이 된다. 특수아동이 통합학급에서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협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앞서 말한 어려움들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게 하고 불신하는 분위기를 형성한다. 무엇보다 특수아동의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연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특수아동의 학부모와 교사들 간에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각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여 서로 간에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특수아동의 학부모와 통합, 특수 교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여 각 주체간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와 사전 인터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방향과 사용자를 선정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특수아동과 사용자경험에 대한 연구로 본 논문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사전 인터뷰를 통해서는 재활학교나 복지관, 통합학급의 교사와 학부모를 만나보면서 가장 많은 문제점을 가진 사용자 부류를 선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의 통합학급의 특수아동 학부모가 선정되었다. 둘째, 사전 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사용자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직접적인 통합학급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심층인터뷰에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입장 차이와 자세한 요구사항들을 알 수 있었다. 그렇게 나온 답변들을 분류하여 카테고리를 도출하였으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기존에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SNS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특수 아동 학부모와 통합, 특수 교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도 반영할 수 있는 요소들을 추려내었다. 셋째,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환경을 구체화하고 사용자의 행동 동기를 분석하였다. 사용자 조사에서 발견된 요구사항 외에 퍼소나 시나리오에서 추려낸 주요 사용 기능은 이후 사용자 중심 UI설계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심층인터뷰와 기존 어플리케이션조사, 퍼소나 시나리오를 통해 분석한 6가지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상세 화면과 메뉴구조, Use Flow를 설계하였으며, 만들어진 화면은 안드로이드폰에 프로토타입으로 탑재하였다. 다섯째, 앞서 조사한 사용자에게 GUI디자인이 적용된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각 주체별로 과제를 주어 1:1인터뷰로 진행하였으며, 이름선정, 정보설계, 메뉴탐색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척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답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주어진 과제도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발전으로 정부와 각 학교에서 많은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특수아동과 같은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들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본 논문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아동을 둘러싼 주체들의 커뮤니케이션이 개선됨으로써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더불어 살아가는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나오게 될 소외계층을 위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특수아동에 대한 다른 서비스 디자인에 기반이 되고 학부모와 교사의 입장에서는 서로를 이해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일에 기여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시사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