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건채소의 형태를 패턴화한 패브릭 디자인

Title
건채소의 형태를 패턴화한 패브릭 디자인
Other Titles
A research on fabric design which patternize forms of dried vegetables
Authors
한은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산업 혁명 이후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에 영향으로 작업이 기계로 대체되면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다수의 소비자가 사용하게 되었다. 오늘 날에 이르러 미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끊임없이 증가 하면서 다수를 위한 제품에서 벗어나, 예술적 성향이 짙은 소품종·고품격 디자인 제품을 선호하는 소수의 소비자 그룹이 형성되었다. 소수를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근원이 되는 모티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디자인이 기존에 주제가 되었던 모티브로 작업이 이루어져 새로운 것을 갈망 하는 소수의 소비자 그룹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모티프의 발견은 디자인 산업에서 중요한 일이다. 새로운 모티프를 발견하는 방법은 흔하게 보았던 재료를 쓰임새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재료인 무말랭이, 건가지 등의 건채소는 우리의 고유한 음식 문화이다. 식재료는 음식의 재료로서는 익숙한 재료이지만, 디자인 재료로서는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음식 문화는 전 세계적으로 그 나라의 자연 환경적 조건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통해 형성된다.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음식을 모티프로 한 디자인은 국가이미지가 반영된 디자인 제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 본다. 실제 건채소는 작품 결과물의 보존성이 떨어져 지속적인 작업이 힘듦으로 건채소의 특징적인 표면질감만을 표현할 소재를 찾고자 하였다. 그 소재는 섬유로, 인간은 도시화된 삶 속에서 지친 심신을 달래기 위해 치유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는데, 촉감이 부드러운 천연섬유는 시대적 흐름에도 알맞은 소재이다. 천연섬유인 울과 실크와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누노 펠트(Nuno Felt)는 울의 축융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섬유 질감과 건채소 표면에 나타난 형태의 유사성을 발견하여 이를 건채소를 표현하는 주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기법의 혼합을 통해 소수의 소비자 그룹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고부가가가치의 섬유소재를 제작 하려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채소에 나타나는 형태를 바탕으로 조형성을 탐구하여, 건채소의 모티프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식재료 이미지를 모티프로 한 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문헌 연구한다. 둘째, 표현기법인 울 수축(Felt-making)기법, 누노 펠트(Nuno Felt)기법, 핸드 페인팅(Hand-Painting)기법, 핸드 컷팅(Hand-Cutting)기법의 특성과 방법에 대해 문헌 연구한 후 샘플을 제작하여 실제 제작의 기초 자료로 사용한다. 셋째, 수묵화 기법을 이용하여 패턴화 하고, 그에 적합한 소재를 연구한다. 두 가지 이상의 수공예적인 표현 기법을 융합하여 부각시킨다. 넷째, 디자인 8개의 그룹, 총 14점의 작품을 제작하여 건채소의 조형성을 모티프로 한 고급 섬유 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해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대에 맞는 창의적인 디자인은 고정관념에 의한 디자인이 아니라 일반적인 생각을 뛰어넘는 영역들과 만나 새로운 결과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채소의 형태를 연구함으로서 모티프로서의 미적가치를 재인식하고, 모티프 대상에 대한 생각을 넓혀 앞으로 식재료뿐만 아니라 확장된 시각에서 찾는다면 새로운 모티프들이 무수히 존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식문화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기후가 반영된 건채소는 건조 후 외형에서 볼 수 있는 시각적 요소가 독특하여 디자인 모티프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셋째, 건채소 모티프와 천연 소재인 울과 실크를 사용한 누노 펠트 기법은 감성 디자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주름은 수축정도, 원단의 차이에 의하여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여 수공예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가 있는 섬유디자인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 소재에서 새로운 모티프를 발견하는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 디자인의 이해가 무슨 의미로 받아 들여져야 하는가를 깊이 느꼈으며 앞으로 디자인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새로운 모티프를 찾아 작업한다는 것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본 연구를 통해 제시 할 수 있었던 것에 큰 의미를 두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의 방법론을 가지고 새롭게 디자인 모티프를 발견해 갈 것이며,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손맛이 있는 감성 패브릭의 시장을 만들어 가는데 역할을 하고 싶은 생각이다.;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fluence was caused by the capitalistic production method and operations were replaced by machines. Therefore, many consumers began using products that were processed from mass production. As humans' desire for beauty continuously increases nowadays, a group with a few consumers has formed in which they break away from products targeted for the majority and prefer products that a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and contain a high-class design with strong artistic inclination. In order to create a design that can satisfy the minority, change is needed in the way of thinking.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motif, which functions as the source of design. When design operations are conducted with a motif, which was fixed as the previous theme, it could not satisfy the desires of the group formed with a small number of consumers who long for novelty. Therefore, the discovery of a new motif is very important in the design industry. In case of the method applied for the discovery of a new motif, a method of differentiating the use of common materials is to be applied. Dried vegetables such as dried radish and dried eggplants are common food materials that we often encounter around us, and they are a part of our traditional food culture. Food materials are familiar materials as food materials, but researches are not active by taking food materials and applying them as design materials. Food culture is formed through social·cultural influences based on countries'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around the world. A design which sets food representing a specific country as a motif is a design product which reflects on the national image and suggestion is made for its development potential. In reality, poor preservability is presented in results of artworks applied with dried vegetables and this makes it difficult for a continuous operation to take place. Therefore, materials which could express the surface texture, a distinctive feature of dried vegetable was to be identified. Textile was selected as the material, and the significance of healing to comfort humans from the exhaustion of life is being magnified. Accordingly, natural textile with a smooth touch is a material suitable to the flow of times. Nuno felt,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natural textile such as wool and silk, uses the felting capacity of wool, and wrinkles form naturally during this process.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ber texture and the form displayed in the surface of the dried vegetable was discovered and used as the main method to express the dried vegetable. Moreover, a mixture of various methods is to be applied to produce high-value texture material that can satisfy the desire of the group with a small number of consumer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dissertation. First, the form displayed on dried vegetables was set as the basis in order to search for formativeness to conduct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dried vegetables as the motif. Then, design cases which fixed food material images as the motif were collected to carry out a literature research. Second, after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expressive techniques including the felt-making technique, nuno felt technique, hand-painting technique, and hand-cutting, samples were produced and used as the basic data for actual production. Third, the ink-and-wash-painting technique was used for patterning,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suitable materials. Then, more than 2 types of handmade expressive techniques were fused and reinforced. Fourth, a total of 8 design groups and 14 artworks are produced to make suggestion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high-class textile material which sets the formativeness of dried vegetables as its motif.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gained.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creative designs suitable to this era is not the design formed based upon fixed ideas. Instead, it was perceived that new results are discovered when encountered with domains which exceed ordinary thinking. By conducting research on the form of dried vegetables, aesthetic value as a motif was re-understood, and perception was widened about targets of motif.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infinite new motifs exist when searched from an expanded range instead of only amongst food materials. Second, food culture is also an image which represents the nation. Dried vegetables in our country reflect on the distinct four seasons of the Korean climate. Therefore, they possess potentials as a design motif since unique visual elements can be witnessed in their appearance after the drying process. Third, the nuno felt technique, which applies dried vegetable motif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l and silk, enabled for an emotional design approach. The wrinkles which form through the felting process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through the degree of felting and the differences in the fabrics and can optimize the strengths of handicrafts. Accordingly, its potential as a textile design which contains high-value was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e discovery process of new motifs through daily materials enabled for the profound realization of how the comprehension of a creative design must be taken in, and significance was placed on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about what it means to search for and conduct operations with new motifs needed in the design industry from now. It is perceived that the methodologies with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discover new design motif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motive is for it to play a role in creating an emotional fabric market with special taste through conducting studies about various materi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