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form on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 of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oral conference feedback and direct written feedback
Authors
박영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다른 유형의 쓰기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작문의 정확성 향상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인 한국어 학습자 16명에게 동일한 주제의 쓰기 과제를 주고, 이에 대한 면담 혹은 서면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피드백 활동 전과 후에 설문 조사와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습자는 4개의 다른 주제에 대해 4번의 쓰기와 피드백을 받은 후 동일한 주제에 대한 다시 쓰기 4번, 총 8번의 쓰기 과제를 제출하였으며, 이런 학습자의 결과물은 모두 통계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습자의 쓰기 능력 중 정확성 측면의 향상에 대해서 면담 피드백과 서면 피드백 간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학습자의 쓰기 작문의 전체 형태 오류율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두 피드백 모두 기술적인 분석에서는 오류율이 감소하였으나, 통계분석을 한 결과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집단의 사전 쓰기 작문과 사후 쓰기 작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면담 피드백 집단의 경우 피드백을 받은 후 각각의 범주별 형태 오류율은 피드백을 받기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전체 형태 오류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율을 보여 면담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정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서면 피드백의 경우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받은 후에도 전체 형태 오류율은 물론 범주별 형태 오류율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서면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중 정확성 측면에서 향상을 이끌어내지 못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두 피드백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 설문 및 사후 설문과 사후 면담을 통해 알아본 결과, 면담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경우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의 세 부분 중 흥미 부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데 반해 서면 피드백의 경우 흥미, 자신감, 동기 세 정의적 측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아, 면담 피드백이 서면 피드백에 비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중 흥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후 설문지와 사후 면담을 통해 면담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학습자들의 경우 면담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지속적으로 면담 피드백을 받고 싶다고 대답한데 반해 서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의 경우 서면 피드백보다는 면담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는 학습자들의 수가 더 많아, 면담 피드백이 서면 피드백에 비해 학습자들의 쓰기와 피드백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면담 피드백이 서면 피드백만큼이나 학습자의 쓰기 정확성 측면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정의적 측면에서는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면담 피드백을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피드백 방식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other-formed writing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writing accuracy and affective aspect.To achieve it, this research gave writing task of same subject to 16 adult Korean learners,provided oral conference feedback or direct written feedback foritto learners and conducted survey and post-interview before and after the feedback. Learners submitted total 8 times of writing task, 4 times of rewriting for same subject after 4 times of writing for 4 different subjects and feedback and all of the results of learners were analyzed by statistic alanalysis. If abstrac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ral conference feedback and direct written feedback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cy aspect amo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The error rate of learner writing's whole forms was measured and compared. As the result, both of two types of feedback showed reduced error rate in descriptive analysis. But, as the result of statical analysis,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However, the analys is of group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wo group's pre-writing and post-writing. As the result, in case of the group of oral conference feedback, error rate of form by each category didn't show more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feedback than before the feedback, but the error rate of the whole for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ate of reduction. So, oral conference feedback made a positive effect from the accuracy aspect of learner's writing. On the contrary, the error rate of not only the whole forms but also forms by categorie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learners got the feedback. So, direct written feedback couldn't draw the improvement from the aspect of accuracy amo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The second, it examined if two types of feedback make a positive effecton learner's affective aspect through the pre-survey, post-survey and post-interview. As the result, the group with oral conference feedbac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rt of interests among the 3 affective aspects of writing. On the other hand, direct written feedback didn'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statistically from all of three affective aspects; interests, confidence and motivation. So,oral conference feedback made more positive effect on the part of interests among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s in comparison with directwritten feedback. In addition, learners of the group obtaining the oral conference feedback through the post-survey and post-interview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the oral conference feedback and answered thatthey wanted to get oral conference feedback continuously, but among the learners getting direct written feedback, there were more learners who wanted to get oral conference feedback rather than direct written feedback. So,oral conference feedback made more positive effect on learner's writing and the affective aspects for feedback incomparison with direct written feedback. Through the results of experiment, oral conference feedback can bring the improvement of learner's writing accuracy as much as the direct written feedback and makes more positive effects from the affective aspect.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oral conference feedback was suggested as a method of feedback, which teachers can apply in the teaching of Korean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