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진숙-
dc.contributor.author남현주-
dc.creator남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2학년도부터 주5일 수업제가 전면 실시됨에 따라 서울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활동, 자존감, 학업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업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아동들에게 학업스트레스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학업으로 인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아동들의 문제해결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507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 자존감, 학업스트레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한 자료 중 통계에 실제로 사용된 설문지 468부의 자료를 토대로 가족여가활동과 자존감, 학업스트레스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여가활동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족여가를 즐기는 정도, 가족여가활동 동반관련 문항을 최소영(2004)의 척도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장경문(2011)이 Tafarodi와 Swann(1995)의 자존감 척도인 자기-호감/유능감 척도(Self-Liking/Competence Scale : SLCS)를 번역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학업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오미향, 천성문(1994)이 제작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Likert식 5점 척도로 응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가설은 첫째, 가족여가활동 빈도에 따라 자녀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부모의 직업군과 토요근무 여부에 따라 자녀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가족여가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자존감이 매개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토요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에 아동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어머니가 토요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에 가족 구성원간의 여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또한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활동의 빈도가 많을 수록 아동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활동을 자주 할수록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가족여가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자존감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존감이 가족여가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활동의 만족도가 높은 초등학생들은 자존감이 높으며, 가족과 여가생활을 함께하는 초등학생들은 학업스트레스가 낮았다. 또한 여가만족도가 자존감에 미치는 경로, 자존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자존감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여가만족도는 여전히 학업스트레스와 직접적인 부적 관계를 가지므로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만족스러운 가족여가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is focusing on relations among family leisure activities, self-esteem, academic stress which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have, as introducing the five-day school weeks from 2012.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finding to the way of reducing academic stress so that it helps the students who are suffered psychologically. The selective subjects were 507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located in Seoul, and the surveys on family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on leisure,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were conducted. Based on 468 answers out of 507, data were transformed statistically and those relations were analyzed. So Young, Choi scale was used as a reference for designing family activities items for measur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ctivities. To measure self-esteem, Korean version of Self-Liking/Competence Scale(SLCS, Tafarodi &. Swann, 1995) translated by Gyeong Moon, Chang(2011) was used. As survey items on academic stress, the questionnaire of Mi Hyang, Oh, Seong Moon, Cheon(1994) were used as reference data, and the survey were formed in Likert-style questions. One of the subjects is to verify the influences of the conditions such as parents’ professions and career cluster, regular shift on Saturday, leisure satisfaction related to frequency of family activities,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Another subjects is intermediary relation, so setting self-esteem as medi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family leisure satisfaction and academic stress. Research hypothesis are constructed as follows. Two hypothesis for the researching were suggested. First, one of the hypothesis is that depending on frequency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difference are shown among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correlated with parents’ occupation and job cluster, and Saturday shift. The detail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that mothers did not work on Saturda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tress, self-esteem. It refers that meaningful interaction occurred among family members during having amicable family activities under the situation mother presented on Saturday. In addition, the more frequently did family leisure activities,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It surely presents that leisure activities with family affects positively to students. The results presented that Self-esteem works as mediation effect on leisurely satisfaction with family and academic stress. Regarding this, students who mark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on family leisure had a tendency to have higher self-esteem, and lower academic stress. Also, as findings the significant relations on the impact pathway from satisfaction on leisure to self-esteem, and from self-esteem to academic stress, it displayed that self esteem worked as mediation effect partially in those relations. However,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on leisure and academic stress have direct negative correlation, so having pleasing leisure activities are important to abate academic str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6 A. 가족여가 6 B. 학업스트레스 10 C. 자존감 12 D. 가족여가, 학업스트레스, 자존감 간의 관계 14 1. 가족여가와 학업스트레스 14 2. 가족여가와 자존감 15 3. 학업스트레스와 자존감 16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측정도구 19 C. 분석방법 21 D. 자료분석 22 Ⅳ. 연구 결과 23 A. 가족여가활동 빈도에 따라 자녀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의 차이 24 B. 부모의 직업군과 토요근무 여부에 따라 자녀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자존감의 차이 27 C. 초등학생의 여가만족도, 학업스트레스 및 자존감의 관계 29 Ⅴ. 논의 34 참고문헌 41 부록 48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7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등학생의 가족여가활동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존감을 매개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lf-Esteem as Intermediary Cause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Academic Stress-
dc.creator.othernameNam, Hyun Ju-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