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Title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Authors
박영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과 평가 방법의 문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더 나은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특히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의 의사소통 문제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특히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의 문제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학교 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을 얻기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중 15개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본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학교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배부하였고, 총 250부 중 최종적으로 87.6%에 해당하는 219부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배경변인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에 대한 인식,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의사소통과정의 문제,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 요구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평가 절차, 평가 내용, 평가 결과 전달에 대한 인식을 묻는 문항에 대해 5점을 기준으로 각각 3.27, 3.54, 3.27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직위, 경력, 학교교육과정 평가 참여 경험 여부, 평가 연수 참여 경험 여부에 따라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에서 관리자 및 교사들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만족도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과정에 대한 교사의 응답은 5점을 기준으로 평균값 2.32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저해시키는 요인에 대해서는 교사들 사이에 의견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만족도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응답은 5점을 기준으로 평균값 2.16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 방법의 문제 중 교사의 의견이 평가 결과에 크게 반영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참여해야 하는 사람은 누구인지 그 요구를 묻는 조사에서 43.8%의 교사들이 ‘교사, 학부모, 학생’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을 묻는 요구 조사에서는 39.7%의 교사들이 ‘전체 학교 구성원 사이의 협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 결정은 누가 해야 하는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관리자, 전교사가 함께 협의하여 정함’, ‘관리자, 전교사, 학부모가 함께 협의하여 정함’에 대해 각각 37.0%의 교사가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반교사와 저 경력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인식과 실제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학교교육과정 참여 기회 및 연수 기회 확대를 통해 일반교사의 평가에 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전교사가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참여하여 협의할 수 있는 기회를 의무적으로 매 학기 말에 실시해야 한다. 또한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에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사전연수를 실시하여 평가의 목적 및 내용을 안내하고 교사의 인식 및 참여를 높여야 한다. 둘째, 관리자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인식 수준을 높여야 한다. 이러한 관리자의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 결정 등을 관리자 또는 부장교사 독단으로 하지 않도록 시․도 교육청 차원에서 관련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관리자 연수 등을 통해 꾸준한 연수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에서 해야 하는 여러 평가를 통합하여 실행하고, 교육과정 평가를 공개하는 등의 평가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불필요하거나 비슷한 내용의 평가가 통합되어 실행된다면,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평가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학기말, 학년말에 학교에서 동 학년별, 업무부서별, 개인별, 프로그램별로 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을 통합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교사, 학부모, 학생 등 관련 교육 당사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여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신뢰성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교육과정 평가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 사이에 의사소통의 기회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학교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평가 과정에서 관리자를 포함한 전체 학교 구성원 사이에 의사소통의 기회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 학부모, 전체 교사의 협의를 통한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말, 학년말에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 지역 및 대상은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타 학교급이나, 전국 규모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관한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문제, 요구에 관한 초등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과 그 차이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는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및 그 차이를 규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his study trie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o establish it in the field. The issues that are intended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1. what is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processing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1-2. what is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communication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2-1. what is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methods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2-2. what is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desirable direction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 issu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250 teachers of 1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219 copies.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survey.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conducte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processing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was high.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 who is the chief teacher, senior teacher(15-20 years), participated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raining is higher than the teacher who did not.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average score was 2.32 on a five-point scale about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teachers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The big problem of communication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is an inflexible system in school.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average score was 2.16 on a five-point scale about the satisfaction of methods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The big problem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is that my opinion can't have an effect on the results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bout teachers recognition of desirable direction, 43.8% of teachers think that 'teachers, school parents and students' should participate in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39.7% of teachers think that we should discuss the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with all teachers. 37.0% of teachers think tha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should determine the methods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The study had implications: First, we should rais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have less teaching experience in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we should raise recognition of administrators in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Third, We need some solutions for problem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For example, we can combine several evaluations and go public with the results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Fourth, we should hav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in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Fifth, we should evaluat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discussion with all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Last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s' in-depth perception of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Because this is a quantitative research aiming at examining the teachers' perception and desirable direction in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So more in-depth and specific research need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