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1 Download: 0

Effect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with Technology on Korean EFL Learners' Cultural Awareness and Speaking Performance

Title
Effect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with Technology on Korean EFL Learners' Cultural Awareness and Speaking Performance
Other Titles
컴퓨터를 활용한 문화 대응 교수법이 한국 학습자의 문화 인식 및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임경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The need for teaching culture in English classroom has been grow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Culture is called the fifth language skill and students'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are deeply intertwined with the diverse cultures.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a language teacher to incorporate diverse cultural knowledge with language skills. However, in actuality the culture lesson is not dealt with significantly in Korean high school setting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for teaching diverse culture and apply it to Korean high school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with technology (CRTT)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ultural awareness, speaking performance, and affective facto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instruction mode. In this study, classes were composed of six-themes of CRT tasks for students and conducted during regular class hours over six months. 3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RTT course (C-mode) and 30 students in the CRT course (T-mode).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RT, the six themes of the CRT classes dealt with target culture, native culture, and universal culture comprehensively to give participants more diverse cultural experience. Each mode group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awareness tests, speaking performance tests, survey questionnaires on affective factors, and in-depth interview before and after CRT tasks. In addition, class observation journals and the oral presentat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obtain the qualitative data.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TT brought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ulture, CRTT regarding target culture and native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how level-division affected cultural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It turned out that CRTT contributed to cultural awareness of the high and the low levels of the two modes. Second, analytic scoring results showed that CRTT brought a positive effect on task completion, fluency, language use of the speaking performance. CRTT brought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and the low levels of the two modes in improving speaking performance as for task completion and fluency. Compared to the T-mode, the participants of the C-mode revealed excellence in task completion and fluency of speaking performance, but they failed to show improvement in pronunciation.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C-mode increased lexical density and cohesive device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anguage features of speaking performance. Third, the participants' oral presentations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journals present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C-mode used more specific and various vocabulary about the cultural features they tried to explain. They revealed even more utterance than the T-mode group. The observation forms according to the classes of three types of cultures revealed that the C-mode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RT lessons. The C-mode group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 in students' interest level, interactions with the instructor, and interactions with group members in the lesson compared to the T-mode group. Fourth, CRTT was more effective than CRT for helping the students improve affective factors especially for collaborative learning. It was found that CRT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toward their own mode. The participants of the C-mode showed great improvement on beliefs, anxiety, attitudes and interest, self-esteem, strategies and motivation toward their CRT mode. CRTT helped the low-level groups have positive preception toward their own CRT mod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research provide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a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aching tools for teaching culture thereby enhancing L2 learners' cultural awarenes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n English.;문화는 제 5의 언어기술로 불릴 정도로 언어 학습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언어를 익혀 궁극적인 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를 이해해야한다는 여러 연구들의 주장과 함께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첨단 기술의 발달로 문화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학습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중점을 두고, 첨단 기술의 일환으로 웹퀘스트를 활용한 문화 대응 교수법을 실시하여 그것이 학습자들의 문화 인식과 영어 말하기 능력,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국 문화 및 세계의 다양한 문화 내용을 강조하는 문화 대응 교수법을 활용하여 목표어 학습을 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문화 인식,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연구하였다. 먼저, 여섯 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문화 대응 교수법을 통한 학습 활동들을 계획하고 6개월 동안 정규 수업 시간 중에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은 경기도 수원의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60명이었다. 60명의 실험 참가자는 두 반으로 나뉘어 30명은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이 되었고 30명은 전통 교수법 집단이 되었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은 웹퀘스트를 활용한 문화 대응 교수법에 참여하였고 전통 교수법 집단은 유인물을 활용하여 문화 대응 교수법에 참여하였다. 문화 대응 교수법 이전과 이후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 인식도 측정, 말하기 능력 측정,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조사, 수업 관찰, 심화 면담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했다. 이런 연구 과정을 거쳐서 얻은 결과를 연구 문제 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대응 교수법 실시 이후 문화 이해도에 있어 두 집단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문화 대응 교수법 이후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이 문화 인식도에 있어 전통 교수법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은 전통 교수법 집단과 비교했을 때, 문화 인식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수준별로 문화 인식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상위집단의 문화 인식도 향상이 하위집단보다 더욱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의 유형별로 두 집단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문화의 유형을 목표 문화(영미 문화), 자국 문화(한국 문화), 보편 문화로 나누었을 때 두 집단 모두 자국 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향상 정도가 낮았던 보편 문화는 수업 중에 보편 문화에 대한 많은 참고자료들이 웹사이트나 유인물로 제공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다소 인지적 부담을 준 것으로 심화 면접 결과 드러났다. 둘째, 문화 대응 교수법 이전과 이후의 말하기 능력 측정을 총괄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방식으로 3명의 훈련된 교사가 채점을 수행한 결과,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과 전통 교수법 집단은 짧은 응답을 요하는 과제에 대한 발음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사전과 사후의 말하기 능력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과 전통 교수법 집단은 문화 대응 교수법 실시 이후에 말하기 과업 완성과 유창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의 상위집단인 경우 짧은 응답과 긴 응답을 요하는 말하기의 과제 완성 및 유창성에 있어 전통 교수법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의 하위집단인 경우 짧은 응답과 긴 응답을 요하는 말하기의 과제 완성, 유창성 및 짧은 응답을 요구하는 말하기의 언어 정확성에 있어 전통 교수법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집단 별로 어휘 사용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의 말하기 시험 내용을 전사한 뒤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이 전통 교수법 집단보다 사후에 어휘를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여섯 개 주제의 다른 문화 대응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에서 두 집단이 수업 과정 중 발표한 내용물을 세 개의 문화 유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의 경우 특히, 자국 문화에 대한 발표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발표 내용이 전통 교수법 집단에 비하여 더욱 구체적이며 발화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의 발표 내용이 전통 교수법 집단의 발표 내용에 비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활용하고 언어 형식이 정확한 경향이 있음을 질적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 관찰을 통해 각 집단 별로 학습자들의 프로젝트 활동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 교수법 집단보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이 수업 참여도가 높았고 교사와 학생 사이,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났다. 네 번째로,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인식의 향상도가 전통 교수법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의 상․하위 집단 모두 자신의 소속한 집단에 대한 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심화 면접 결과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과 전통 교수법 집단은 모두 자신들이 참여한 문화 대응 교수법 방식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전통교수법 집단은 다음에 다시 문화 대응 교수법에 참여한다면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았다. 웹퀘스트를 활용한 문화 대응 교수법 수업을 학습자들이 선호한다는 것을 심화 면접 결과 정확히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문화 대응 교수법 참여에 있어서 컴퓨터 활용의 장점을 보여주고, 동시에 교육 현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컴퓨터의 활용을 통해 문화 대응 교수법 수업은 학습자들의 문화 인식도 및 말하기 능력,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웹퀘스트를 활용한 문화 대응 교수법을 통해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다양하고 바람직한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