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전략기반 읽기활동이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전략기반 읽기활동이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earning Reading Strategies using British and American Short Stories on Adult Learners’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Authors
이혜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In CLT(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s are very necessary to enhance learner’s read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basic requirements to become successful readers, and found that skilled readers use reading strategie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 their reading processes. Strategies are specific methods of approaching a problem or a task, and help learners to solve problems adequately. In addition, strategies-based instruction can promote learner autonomy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se reasons, we, as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how to become more aware of different reading strategies and apply them to the given text. Ultimately, this study is designed to improve adult learners’ reading 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learners were instructed to read the two short stories and to recognize and use reading strategies consciously and effectively. The learners were twenty adult learners, consisting of students or graduat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ll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randomly 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was high-leve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In additio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a high-ranking group and a low-ranking group according to their pre-test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reading strategy instructions, along with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ions about two short storie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from the reading tes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s on learners’ reading abilities. Also, the changes of participants’ reading strategy use and attitude toward the instructions were examined through survey ques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post-test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igures statistically. On the other hand, the lower-level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post-tests than the higher-level learners. Therefor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s can be more effective for the lower-leve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nd some variables such as learning styl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may have an effect on the higher-level learners’ reading abilities. Second, the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s on reading strategy use showed tha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reading strategy use in all six areas: metacognitive strategies,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words,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structure, strategies for using background knowledge, strategies for information search, and strategies for guessing/comprehension monitoring. However, the effects of various read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statistical figures proved that reading abilit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or environment. Finally, the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s on the two short stories and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is opportunity to learn reading strategies using short stories is very helpful for promoting critical thinking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In addition, the two short stories contributed to motivating learners not only because they are interesting, but also because the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s of the learners. Therefore, literature can be authentic and valuable reading tex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aching reading strategies, English teachers should consider students’ learning styles,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other requirements to improve reading ability. Second, poetry and drama can be useful materials for facilitating students’ English learning as well. Therefore, English classes which are integrated with speaking or writing activities may be effective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balance in four skills. Third, it is very essential to practice reading strategies with repetition and continuity. In addition, meaningful and various context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reading strategies. Finally, thr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t is important to obtain validity of applying reading strategies to English classes which consist of various levels of students.;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읽기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성공적인 학습자가 지닌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읽기전략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를 활용한 수업형태와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략기반지도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능동적 참여를 촉진시키며, 궁극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따라서 읽기전략을 활용한 전략학습이 성인 학습자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서울 소재 대학교 재학생 및 대학원생으로 이루어진 성인 학습자 20명을 선발하였다. 읽기전략 학습의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으며, 사전 읽기평가 결과에 따라 다시 집단별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전략기반 읽기학습을 위한 텍스트로 영미단편소설을 선정함으로써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사고력 및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및 사후 읽기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실험 이후 읽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이 개별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읽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읽기능력 평가에 대한 점수를 바탕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기술통계상으로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점수가 높았으며 사전평가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집단 내 수준별 읽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내 하위 학습자들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일어났다. 이것은 영미단편소설을 바탕으로 읽기전략을 학습한 것이 하위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위 학습자들은 사전평가에 비해 점수하락이 나타나 이에 대한 요인을 밝히기 위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한편, 읽기전략을 활용한 학습이 소설을 이해하는 데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설 이해 평가문제를 출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게서 다소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따라서 읽기전략을 통한 학습이 읽기에 가져다주는 교육적 효과를 단정 짓기에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보되지 않아 다소 무리가 있지만, 향상된 점수로 미루어보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읽기전략 학습이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전략인식 및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총 6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진 전략에 대해 실험집단 학습자 모두는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보되었다. 이것은 읽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였을 때, 학습자 스스로 읽기전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졌음을 의미하며, 꾸준한 읽기전략 학습을 실시할 경우 전반적인 읽기능력 또한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실험집단 내에서도 읽기능력 수준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 유의미성이 다르게 검증된 것으로 보아 읽기전략을 지도할 때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맞는 적절한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및 태도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의 사전 및 사후 설문지와 심화 설문지, 인터뷰를 통하여 심도 있는 견해를 분석하였다.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가져다주었으며, 특히 흥미와 자신감, 학습태도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텍스트로 활용한 영미단편소설에 대해서는 재미있는 줄거리를 바탕으로 읽기학습을 할 수 있어서 지루하지 않았으며, 병행한 읽기 활동지를 통해 전략 및 내용을 정리하고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밝혔다. 읽기전략 학습에 대한 의견으로는 학습자 스스로의 노력으로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배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서술하여 읽기전략 학습과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수업이 교육적 가치는 물론 학습자의 학습의지를 고취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발전된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능력의 변화에서 실험집단 내 상위 학습자들이 사전평가보다 사후평가에서 다소 하락된 점수를 보여주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전략학습이 언제나 효과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에 따른 학습자들의 개인적 성향이나 학습 스타일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자들이 해당 영미단편소설을 읽는 과정에서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심리 및 주제를 논의함에 있어, 이와 관련된 시, 희곡, 장편소설 등 다른 문학 장르와 관련지어 토론하거나 이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문학작품이 지닌 교육적 효용성과 배경지식의 확장 가능성을 근거로 소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학 장르를 통한 지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문학이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여 읽기 이외의 영역과 통합하여 제시하는 방안도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단기간의 연구수업과 주어진 차시 내에 학습해야 하는 분량이 제한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배운 전략을 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다소 부족하였다. 영미단편소설을 이해함에 있어 읽기전략을 활용하는 것은 고무적이었으나, 좀 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전략훈련을 하는 것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읽기전략의 전이 및 사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복적인 전략학습이 학습자의 언어기능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과 문맥을 제공하여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보다 더 많은 표본수와 충분한 기간을 두고 읽기전략의 효과와 영미단편소설의 가치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전략훈련 방안도 추후 연구를 통해 입증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