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생태의식 함양을 위한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 방안 연구

Title
생태의식 함양을 위한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co-feminism Poem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Ecological consciousness
Authors
박지연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현대 사회는 인류 공통의 문제인 생태계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것의 대안을 찾기 위해 등장한 다양한 담론들은 인간중심주의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생태여성주의는 이 같은 한계를 변증법적 방법론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생태학과 여성주의의 만남으로 시작된 생태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 더 나아가 자연과 사회적인 약자, 소외된 계층을 동일하게 보고 우리사회가 봉착한 문제의 대안을 공생과 화합의 원리에서 찾는다. 이 같은 생태여성주의의 사고의 교육은 지나친 경쟁과 개인주의에 심신이 성장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 인지적 만족감은 물론이며 정의적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생태여성주의적인 사고는 문학과 만났을 때 더욱 구체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생태여성주의와 시 장르가 가지는 공통점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논의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생태여성주의와 시 장르의 만남이 교육의 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Ⅱ장의 A절에서는 문학교육제도에서 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의 특징을 기술한다. 문학교육제도에서의 생태주의는 현대 사회가 당면한 생태계의 위기를 포함한 문제들에 대해 대안적 세계관이다. 생태주의가 문학을 통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방법론이 문학생태학이며 대안적 세계관으로서의 생태주의의 생태의식이 구현되는 문학이 생태문학이다. 이 같은 생태문학은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가진다. 이어지는 항에서는 생태여성주의와 시 장르의 특징을 파악한다. B절에서는 생태여성주의 시의 저항적인 성격이 지배적 담론에서 배제된 원인이 되었으며 생태여성주의 시의 생태의식에 드러난 공생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변증법적 가능성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와 B에서 생태여성주의와 생태여성주의 시가 논의되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면 C에서는 그 논의의 장이 될 현재 문학교육에서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의 필요성과 현황에 대해 정리한다.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객관적인 자료로 설득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수준에서 정해지는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현재 문학교육장의 논의점 등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Ⅰ장과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제도-생태여성주의-생태여성주의 시’의 관계와 문학교육에서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 현황을 바탕으로 하여 생태여성주의가 무엇인지 생태여성주의 시가 문학교육에서 함의하는 교육적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제공했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이론의 내용과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여성주의 시의 생태의식 구현 방식에 관하여 검토한다. 이 장에서는 시의 화자를 통해 생태여성주의 시의 관점이 형성되고, 시의 형상화를 통해 생태여성주의 시의 전략을 마련했으며 최종적으로 시의 구조를 통해 생태여성주의의 시의 세계관을 구축하는 단계에 이른다. 논의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태여성주의 시의 관점은 시적 화자의 위치와 태도에 따라 설정된다. 시적화자의 위치에 따라 의미 전달의 방법과 효과에 대해서는 「초여름 숲처럼」(문정희)을 통해 보았고 ‘여성의 말하기’와 ‘대화로 말하기’에 대해서는 「뿌리에게」(나희덕)와 「무 꽃」(김선우)를 통해 탐구했다. 생태여성주의 시의 전략은 시의 형상화 방법을 통해 드러나고 있었는데 시어의 환치를 통한 ‘자연’과 ‘여성’의 동일시 전략과 ‘남성성’과 ‘여성성’을 재정립함으로서 생태적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입춘」(김선우)과 「소풍」(나희덕)에서 ‘자연’과 ‘여성’이 동일시되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난 기르는 사람」(문정희),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문정희)는 생태여성주의의 관점으로 재정립된 ‘남성성’이 드러나고 「사랑으로 나는」(김정란)에서는 생태여성주의의 구체적인 ‘사랑’을 실천하는 ‘여성성’이 형상화된다. 생태여성주의 시는 특징적인 시의 구조를 통해 세계관을 구축한다. 생태여성주의의 순환적이고 상호 보완적 구조는 「물로 빚어진 사람」(김선우), 「엄마의 뼈와 찹쌀 석 되」(김선우)에서 서사적 구조는 「어미木의 자살 1」(김선우), 「신(神)의 방」(김선우)에서 나타난다. Ⅳ장에서는 위에서 수립하고, 형상화하고, 구축한 생태여성주의에서 생태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생태여성주의 시를 시 교육의 제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육적인 가치가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 생태여성주의 시의 가장 큰 교육적 가치는 시를 통해 구현되는 ‘생태의식’이다. 이것은 현재 문학교육현장에서 생태여성주의 시보다 비교적 활발하게 교육되고 있는 생태시에서 구현되는 ‘생태의식’과는 다른 모습과 의의를 가진다. A절에서는 ‘자연’과 ‘여성’의 융합을 통해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관계의 모습을 이야기하는 생태여성주의의 이론과 흐름, 기대되는 역할을 살핀다. 또한 생태의식을 이해하고 표현함으로써 가능해지는 관계의 소통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한다. B절과 C절은 A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시 교육 현장으로 가까이가기위한 연구이다. B절에서 교육의 본질을 바탕으로 생태여성주의 시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말하기를 통한 주체성 성장은 「몸이 큰 여자」(문정희)와 「머리 감는 여자」(문정희)를 통해 잘 드러난다. 또한 생태여성주의 시는 관계 맺기를 통해서 생태의식을 가진 자아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어떤 出土」(나희덕)와 「관계」(김선우)에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생태계의 순환 구조를 통한 삶의 태도를 전환하는 모습은 「맑은 날」(김선우)과 「돌」(문정희)을 통해 나타난다. C절은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생태여성주의 시의 생태의식을 더욱 구체화 시켜 교육적 내용으로 가공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첫째, 「무정자 시대」(김선우)와 「어린것」(나희덕)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목소리 파악하여 화자의 내면을 본다. 둘째, 「비의 사랑」(문정희)의 시어의 의미를 비유와 상징의 해석을 통해 인식한다. 셋째, 「숭고한 밥상」(김선우)과 「양변기 위에서」(김선우)의 순환적․상호 보완적 구조와 서사적 구조를 통해 주제 의식을 탐구 한다. 이러한 세 가지의 방법은 향후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도 구조화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생태여성주의 시의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를 통해 생태의식 함양을 위한 시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여성주의 시의 생태의식이 시 교육의 장에서 현실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게 하고 그것의 변증법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논의된다. 이 논문의 근본적인 목표는 개인이 포함된 생태계 속에서 인간 혹은 생명을 가진 것과 그렇기 못한 것과의 ‘관계’를 재규정하고 다시 맺음으로써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간을 문학교육을 통해서 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태계와 인간’, ‘여성과 남성’의 “관계”에 주목하고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여성성”으로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생태여성주의 시 교육을 통해 목표에 도달하고자 한다. 생태계 위기를 극복하고 대안 사회를 마련하기 위해 학습자는 생태여성주의 시에 구현되는 생태의식을 학습하는 수준을 넘어 주체적으로 생태의식을 구현하고 실천하여야 한다. 이 연구가 생태여성주의 시에 교육적 가치와 가능성의 생명력을 불어 넣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modern society had crisis of ecosystem that was common problem of men. Various kinds of discourses for discovery of alternatives were not free from anthropocentricism. The eco-feminism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by dialectic methodology. The thought of eco-feminism that met the literature made appearance in concrete way. Such a thing could be discussed by common things and mutual supplementary relations between eco-feminism and poem genre. This study verified a hypothesis that meeting of both eco-feminism and poem genre could have affirmative influence upon the education. Chapter II, paragraph 'A' described characteristics of not only ecosystem but also eco-feminism of literary education system. Following paragraph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not only eco-feminism but also poem genre. Paragraph 'B' described that resistance of eco-feminism poem could be cause of could be cause of exclusion from major discourse and that dialectic possibility based on symbiotic view of world of ecological consciousness of eco-feminism poem could overcome the situation. Paragraph 'C' described needs and situation of poem education of eco-feminism of the literary education. Both Chapter I and Chapter II gave foundation of research on educational values of eco-feminism and eco-feminism poem literary education based on eco-feminism poem education of not only relation but also literary education of 'literary education system - eco-feminism- eco-feminism poem'. Chapter III examined implementation of eco-consciousness of eco-feminism poem based on theories and situation discussed before. The chapter made point of view of eco-feminism poem through speakers and prepared eco-feminism poem by figuration of the poem, and established view of the world of the eco-feminism poem through poem structure. Chapter IV discussed educational methods for development of eco-consciousness of learners at section of eco-feminism poem education. Educational value of eco-feminism poem should be clarified to make use of theme and material of education of the poem. The poem of eco-feminism had the greatest educational value of 'ecological consciousness' by the poem. Paragraph 'A' examined theories, flow and roles of eco-feminism at relation for which men should look by fusion of both the nature and women. And, the paragraph discussed good relation and educational value that could be made b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cological consciousness. Paragraph 'B' examined educational value of eco-feminism poem based on essence of the education. Paragraph 'C' examined ways that could produce educational contents by making ecological consciousness of eco-feminism poem. This study investigated poem education method that could develop ecological consciousness by needs and educational values of eco-feminism poem education. In this study, ecological consciousness of eco-feminism poem cognized problem of the society at poem education and discussed subject to dialectic alternativ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regulate 'relation' between men and/or living things of ecosystem including individuals and the ones having no life and to educate men having 'communication' ability by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relation between ecosystem and men, and between women and men. The study put an emphasis upon values of eco-feminism poem education that showed 'feminity' overcoming crisis of the ecosystem. To overcome crisis of the ecosystem and prepare for alternative society, learners should be beyond learning of ecological consciousness of eco-feminism poem to implement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to put it into practice. This study was likely to give educational values and possibility of eco-feminism po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