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인터넷 공론장의 토론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

Title
인터넷 공론장의 토론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Korean department for improvement of debate culrture in Internet public shpere
Authors
유혜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스마트 폰의 개발로 인터넷은 더 이상 가상공간이 아닌 일상적인 삶의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나의 게시글에 수백 개의 댓글이 실시간으로 게재되며,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과 의견 교환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렇게 급속하게 인터넷 공간에서의 의견 교류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상공간이라는 인식 아래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게다가 익명성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긍정적인 여론의 형성이 아닌 말장난과 비방․욕설의 부정적인 문제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토론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올바른 인터넷 토론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토론 교육과 인터넷 토론의 개념을 정리하고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여 토론 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접점을 모색하였다. 또한 인터넷 토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인터넷 공론장의 의미를 살펴보며, 방향 제시를 통해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 연구될 토론 문화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 대상이 되는 인터넷 댓글의 의미를 규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인터넷 토론 교육과 토론 문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토론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5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에서 토론 교육 및 인터넷 토론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2007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인터넷 토론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 현직 교사의 설문지를 통해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인터넷 토론 문화의 실태와 문제점에서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터넷 토론 참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실제 인터넷 토론 댓글을 유형화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Ⅱ장에서 설정한 공론장이 협력적 공론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적을 바탕으로 인터넷 토론 댓글을 협력적 조건과 비협력적 조건으로 나누어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 기반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인터넷 토론 교육 및 토론 문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협력적 공론장을 위해서 댓글이 갖춰야 할 조건 및 토론의 전․중․후 과정 등의 방안을 활용하여 인터넷 토론 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현시적 교수법과 사회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인터넷 토론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의 바탕이 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인터넷 토론 교육 및 토론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의 특징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첫째로 교육과정에서 인터넷 토론 교육이 제대로 다뤄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5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개정까지 ‘인터넷 토론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부분은 2007개정의 7학년에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많은 학습자가 제대로 인터넷 토론 교육을 받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둘째로 학생의 인터넷 토론 참여 인식과 토론 문화의 실태 간의 괴리가 있다.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터넷 토론 참여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비판적 읽기 또는 논리적 쓰기 등 인터넷 토론 참여를 제대로 하고 있다는 응답결과가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토론 댓글이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학생들이 인터넷 토론 댓글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로 보인다. 셋째로 실제 인터넷 토론 댓글 분석 결과 비협력적 조건을 가진 댓글들이 협력적 조건의 댓글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작성되어 있었다. 특히 비속어나 반말 사용 등 언어태도가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댓글부터 논리성이 결여된 댓글까지 많이 산재되어 있었다. 인터넷 토론에 달리는 댓글은 익명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무차별적인 비방이나 욕설 사용 등 토론을 위한 공론장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하며 현시대에 가장 심각한 폐해로 떠오르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 토론 교육이 현 교육과정에 얼마나 필요한지 그 시의성과 필요성을 부각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토론 교육에 대한 성취기준 및 교육내용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만 다루어지며, 새로운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부재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토론 교육이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실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As the result of the extreme development of smart-phone, Internet space is no longer just a virtual space but a space attached to our daily life. Being able to see hundreds of replies appearing on one post in real time, now it is possible for a large number of Internet users to interchange their ideas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s. However, despite the rapid progress of exchanging ideas in Internet space, professional writing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recognizing Internet space only as a mere virtual space. Besides, it has been going through not the positive formation of popular voices of public sphere but the negative problems of play of words, slander and even invective due to its quality of anonymity. Regarding this phenomenon seriously, this research intends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ebate education in Internet space and present the foundation for desirable Internet discussion education expecially for juveniles. This research is dedicated first to make clear the concepts of debate education and Internet discussion, and th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Internet media, find the right point to connec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pace with debate educ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set the aim for Internet debate education as the cooperative Internet public sphere. Furthermore, both the realities and issues of the present Internet discussion education and Internet debate culture have been analyzed in this research. First, in the section of the realities and issues of debate education, the contents about Internet discussion education in the textbooks following the curricula from 5th curriculum to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a was carefully analyzed and the problems in re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as derived with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s of the incumbent schoolteachers. In the section of the realities and issues of the Internet debate education, in addition, it looked close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Internet discussion with the survey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problems typifying the actual state of the replies on the Internet debate space. Lastly, according to the actualities of Internet debate education and discussion culture in Internet space, this research presented the debate class model which can be practiced in actual teaching-learning scene. It introduced Internet debate education model applying the desirable conditions of Internet replies for cooperative Internet public sphere and the scheme of advisable debate process including pre- and post- process, and also offered the model of Internet debate class based on the explicit instruction and the social compositionism. As straightening the qualities of the realities and issues of Internet debate education and Internet discussion culture which this research concentrated in analysis and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class model, it can first be pointed out that Internet discussion education is not managed with adequate attention in curricula. Regarding the fact that only 7th grade textbooks of 2007 revised edition is dealing with ‘Internet debate education’ seriously among all curricula from 5th curriculum to 2009 revised edition, it seems to be clear that numerous learners couldn’t have gotten proper Internet debate education. Secondly, there is a great gap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tion in Internet discussion and the actuality of Internet debate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s of students on their perception to participating in Internet discussion,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are actively taking parts in Internet debate space through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eing aware of that the replies in the Internet debate space are containing so many issues and problems, however, that seems to be the inevitable result of their ignorance of what the desirable type of replying in Internet discussion is. Thir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plies and comments in Internet discussion says, there were way more replies under the relatively uncooperative condition than those under the cooperative condition. From comments disregarding language attitude such as vulgarism and impolite talking down to comments lack of logicality, uncooperative replies were found here and there. Since replies written within Internet discussion space are under the sphere of anonymity, they, including indiscriminate slander or invective, keep Internet debate space incompetent and away from the role as a public sphere for productive discussion, and now they are one of the most destructive evils in present society. This is why this research strongly emphasized the timeliness and necessity of indicating how important Internet debate education is in present curriculum. Unfortunately, as indicated before, only 2007 revised edition textbooks are manag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Internet debate education among the whole curricula, and those contents are absent in 2009 revised edition textbooks. Therefore, introducing concrete teaching-learning model, this research expects Internet debate education soon to be applied and practiced in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carrying its positive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