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 the Moderation Effects of Optimism and Social connectedness
Authors
박은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on effects of optimism and socia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 One hundred eighteen immigrant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y completed measur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ptimism,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measurements wer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Scheffé post-hoc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our variables. Perceived discrimin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optimism, and social connectedn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affect. Optim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onnectedness,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negative affect. Social connected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was positively related to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examin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period of stay in korea i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immigrant worker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are staying in korea for more than 5years felt lower level of positive affect than those staying for less than 2yea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eriod of stay was found in perceived discrimination. Third, to examine how optimism moderates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Results revealed that optimism serv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both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no moderation effect of optimism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positive affect. Forth,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social connectedness moderates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revealed that social connectedness serv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negative affect. There were no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both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 중인 외국인 노동자 118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차별감, 낙관성, 사회적 유대감,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에서 체류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낙관성과 사회적 유대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지각된 차별감의 영향력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차별감, 낙관성, 사회적 유대감, 주관적 안녕감이 서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은 삶의 만족도와 낙관성 및 사회적 유대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정서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낙관성은 사회적 유대감과 정적정서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적정서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유대감은 정적정서 및 삶의 만족도와는 정적상관을, 부적정서와는 부적상관을 유의미하게 나타내었다. 정적정서는 부적정서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체류기간에 따른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정적정서에서 체류기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 체류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2년 미만 체류한 외국인 노동자들보다 낮은 정적정서를 보고 하였다. 체류기간에 따른 지각된 차별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각된 차별감과 낙관성의 상호작용 항을 포함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차별감과 부적정서의 관계 및 지각된 차별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지각된 차별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차별감과 정적정서의 관계에서는 낙관성의 주 효과만 유의했을 뿐,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유대감은 지각된 차별감과 부적정서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지각된 차별감과 정적정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은 부적정서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차별감의 영향력을 조절해주고, 사회적 유대감은 부적정서에 대한 지각된 차별감의 영향력을 조절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노동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지각된 차별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낙관성과 사회적 유대감이 증진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 두 변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