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5 Download: 0

Madeleine Vionnet 작품의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Title
Madeleine Vionnet 작품의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Image of Madeleine Vionnet's Work : Focusing on The Repetitive Composition of Flounce
Authors
정혜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최근의 패션은 장식적인 디테일과 드레이프의 다양한 변화로 인해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디테일의 변화와 드레이프의 표현 효과는 복식에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부각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각자의 개성을 추구하고 표현 하는 데 있어 자율적이고 독창성 있는 디자인의 표현 방식은 모든 예술 및 디자인 분야에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현대 패션 디자인은 인체에 대한 움직임과 정지 속에서 인간 자체와 옷감이라는 재료와의 조화를 통하여 조형성을 표현하는 입을 수 있는 예술품(art-to-wear)으로 창조적 기능을 구현함으로 표현예술의 일부분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의복의 형태는 2차원의 재료를 이용하여 3차원의 인체에 입혀지는 과정에서 드러나며, 거기에는 인체의 형태를 기준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 공간은 디자이너의 직관과 경험, 구성 능력에 의해 표현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작가의 경험과 이론, 연구 방법의 전개에 따라 패션의 조형적인 구성과 성격은 달라지는데, 뛰어난 디자이너는 독창적인 조형능력을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작품을 통한 공간 구성을 통해 그들의 성격과 인간적 개성, 그의 세계관, 인간관을 표출한다. 인체미와 움직임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하고 자유로운 표현과 그녀만의 개성적인 새로운 시도를 한 마들렌느 비요네(Madeleine Vionnet)는 독특한 조형성으로 혁신적인 모드를 이끌어간 디자이너였으며, 특히 그녀가 개발한 바이어스 컷(Bias-cut) 구성법은 현재에 이르러 보편화 되어진 기법으로 그 전통을 잇고 있다. 또한 많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주는 원천이 되어 신체와 소재의 재질의 관계를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하는 3차원적 조형 디자인을 표현하게 하였으며, 패션 디자인을 예술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체 자체에 드레이핑(draping)하여 의복을 표현한 그의 조형적인 특징과 마들렌 비요네 작품의 특징을 고찰하고 작품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플라운스의 반복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들렌 비요네의 작품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플라운스(flounce)의 반복적 구성을 통해 볼륨감이 부여된 조형적 디자인을 제시하고 나아가 마들렌 비요네의 작품 이미지 분석을 근거로 하여 창의적 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비요네 작품에 관한 고찰로 마들렌 비요네 작품의 패션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작품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요네 작품의 바이어스 커팅의 미적 특성을 분류, 분석하였다. 둘째, 플라운스의 정의와 분류를 통하여 미적특성을 살펴보고 셋째, 플라운스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 먼저 드레스 폼에 디자인에 맞는 원단을 핀으로 고정시키고, 소재의 결의 방향, 기하학적 패턴의 구성, 플라운스 패턴의 반복성, 컬러의 점진적 구성을 고려하여 작업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패턴을 입체 구성법을 통하여 디자인에 맞는 소재와 색상을 결정하여 작업을 전개하였다. 작품 제작을 통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 구성법을 통해 가봉을 하고 패턴 수정을 함으로 인하여 소재의 결 방향, 패턴의 구성에 따라 플라운스(flounce)의 결의 방향이 자연스럽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마들렌느 비요네(Madeleine Vionnet)의 독특한 조형성을 보여주는 플라운스(flounce)의 바이어스 커팅기법을 가벼운 소재로 실현한 결과 움직임에 따라 가벼운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마들렌느 비요네(Madeleine Vionnet)의 기하학적 패턴과 플라운스(flounce)를 섬세하고 조밀하게 구성한 결과 볼륨감이 부여되어 의상에 풍성한 외관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플라운스(flounce)의 요동치는 곡선미는 반복적으로 구성할 때 작품에 로맨틱(romantic)한 이미지가 연출되며 풍부한 장식미가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디자인의 구조적인 면을 이용한 바이어스 커팅선과 플라운스(flounce)는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좀 더 피팅(fitting)에 탄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들렌느 비요네(Madeleine Vionnet)의 독특한 조형성을 보여주는 바이어스 커팅 기법과 드레이핑, 바이어스 결의 방향을 활용한 조형적인 플라운스 디테일은 패션이 지니는 장식적인 기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상으로써의 표현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마들렌 비요네의 작품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플라운스(flounce)의 반복적 구성을 통해 볼륨감이 부여된 조형적 디자인을 제시하고 나아가 마들렌 비요네의 작품 이미지 분석을 근거로 하여 창의적 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Contemporary fashion design is developing as a form of expressional art by materializing its creative function as a wearable art that expresses formativeness through the balance between human beings themselves and the material of cloth within the movement and standstill of the body, and the molding skill of the fashion designer is distinguished by the designer's intuition, experience and composition skills. The formative composition and nature of fashion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designer's experience and theory, as well as the unfolding of the research method. Brilliant designers must be able to express their original molding skills through their work and also, through spacial construction, express their personality, individuality, world view, and view of what constitutes a human being. Using two dimensional material, the forms of clothes reveal themselves during the process of being worn by the three dimensional human body, and they form a certain space based on the form of the human body. Madeleine Vionnet is a designer who has led an innovative mode through a unique formativeness by doing design that considers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and its movement, as well as attempting characteristic new design with a free sense of expression. She is called the 'architect of fashion' because she displays perfectly structured clothing and unique molding skills. Madeleine Vionnet places the meaning of her work in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and its movement, emphasizes the formativeness of her characteristic work and has materialized her creative artistry through her work. In particular, the bias cut composition, which was created by her, is a technique that has currently become universalized, continuing its tradition. Also she i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many designers, which has enabled the expression of a three dimensional formative design that unfol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quality of material toward a new direction. She has also played the role of raising fashion design to an artistic level. Considering these aspects, it seems necessary to inquire into her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 work, which expressed clothing by draping it on the human body. The study considers recent fashion as diversified and gentrified due to decorative detail and various change in drapes and that the change in detail and the expression effect of drapes have become more popularized by creating added value in dress. The study applied the Vionnet bias cut technique and designed focusing on the repetitive composition of flounce. Therefore, the study, by applying flounce,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image of Madeleine Vionnet's work, suggests a decorative design that endows volume through repetitive composition, and, furthermore, aims at suggesting the infinite potential of creative design, based on analysis of images in Madeleine Vionnet's work.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firstly, inquired into the background of fashion history regarding Vionnet's work by looking into her work and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ias cutting in her work. Second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defining and classifying flounce. Thirdly, contemporary cases of applying flounce in fashion design were analyzed. Concerning the production of the work, first, a line that fit the dress form design was fixed, and then, through simulation, it was worked on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texture of the material, the pattern composition of the geometric elements, the repetitiveness of the flounce pattern, and the gradual composition of color. The pattern obtained by this method was fitted by pin work. At this time, the pattern was corrected by comparing it to the design. The work was then completed with a plane pattern and a material and color that was suited to the design were determin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able to know that the textural line of th flounce forms naturally following the composition of the textural direction and pattern of the material resulting from pattern correction and fitting done through a dimensional composition method. Second, by materializing the bias cutting technique of flounce, which reveals the unique formativeness of Madeleine Vionnet, through a light material, the study was able to express a light sense of rhythm according to movement. Third, by composing delicately and densely Madeleine Vionnet's geometric pattern and flounce, a rich exterior is formed to the clothing through the generation of volume. Fourth, when the curvaceousness rolling through the flounce is repeatedly formed, a romantic image is directed for the work so that a rich decorative beauty is expressed. Fifth, flounce using the structural aspect of design endows a bit more elasticity to the fitting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earer. The bias cutting technique and draping, which show Madeleine Vionnet's unique formativeness, as well as the decorative flounce detail that uses a bias texture are capable of expanding their expressive domain for more diverse and creative clothing by maximizing the decorative function possessed by dress. By developing a creative and independent design based on the artistic formative beauty that may be applied to the current generation, the study aims at developing high value produ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