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연구

Title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Korean stop-consonants production of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조은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ssessing Korean stop-consonants acquisition tendencies of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he communication is basically the process to accept or delivery information through phonetic perception and production, pronunciation takes an important part of such communication.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factors influencing pronunciation of learners, the influence from mother language cannot be overlooked so that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fluence of similarity level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mother tongue based on assumption on the effects of mother language for the phonetic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s.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length of residence variabl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n influence factor for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many previous studies, plays a role actually through experim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stop-consonants production test for speakers having Korean and Thai as a mother language; similarity perception test for Thai learners between Korean and Thai; and Korean production test of Thai learners and processed the test outcomes.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states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proceeding researches relevant to this study. As for the proceeding studies, Korean pronunciation acquisition related studies were approached by research tendency and then, learner's language category. It is followed by statements on the subjects of inquiry drawn up. The inquiry subject 1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f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rean stop-consonants and corresponding Thai stop-consonants; subject 2 is designed to tell with which Thai phoneme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feel Korean stop-consonants are similar; subject 3 is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top-consonants production of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imilarity of Korean and Thai; and subject 4 is designed to see whether Korean stop-consonants production of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varies depending on length of residence in the country of target language. Chapter II is about theoretical background. The factors influencing phonetic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were studied by categorized into two areas. In relation with inquiry subject 1, 2 and 3, variables of mother language in phonetic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s and for subject 4, variable for length of residence in the country of target language are dealt. Chapter Ⅲ states research methods for study subjects participating, procedures for research procedure flow, research tools used in three times of experiments and data analysis tools introducing phonetic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Chapter Ⅳ proposes research outcomes. As for the summary of such outcomes, the test of stop-consonants product test of Korean and Thai shows that lax consonants of Korean do not have similar VOT with specific phonetics of Thai; but have similar pitch values and aspiration and tense consonants of Korean have similar VOT with specific phonetics of Thai; but do not have similar pitch values. But following test for similarity perception of Thai learners indicates that they perceived that lax consonants of Korean are not similar with their mother language of Thai; but aspiration and tense consonants of Korean are more similar with Thai. It means that they do not sensitively respond to the differences in pitch values. Finally, Korean stop-consonants production test of Thai learners shows that it might be considered as acquisition is made consider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Korean groups in VOT and pitch values as for lax consonants; but acquisition is not made since there are differences from Korean groups for aspiration and tense consonants. It might be interpreted as in the pitch values to which learners do not sensitively respond, transformation from mother language is occurred so that makes not good influences on Korean production. Meanwhile the only case where statistical differences are made for acquisition depending on length of residence is VOT values of stop consonant ‘Ka’ of the soft palate and in other cases, there are no differences from length of residence. But it is the outcome only considering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while the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 shows that the group of long-experience living in Korea marks much similar figures with Koreans. Last but not least, Chapter V summarizes and proposes study outcomes and states significance, limi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deals with physical aspect of phonetics along with the influence of mother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intrinsic system with which learners accept relevant phonetics. Additional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attempts for pronunciation research of Thai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which in-depth researches have not made sufficiently. Nonetheless it should be admit that this study also has many limitations since there were no fluent preceding researches so that based on limitations unveiled by this research, suggestions are made to ensure further developed following studies. Your research hopes that this study might mak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pronunciation research area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본고의 목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의사소통은 기본적으로 음성에 대한 지각과 산출을 통하여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전달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발음은 의사소통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모국어의 영향으로, 본고는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있어서 모국어의 영향을 가정하여 목표어와 모국어의 유사성이 습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와 더불어 많은 연구에서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여겨진 거주 경험 변인이 실제로 작용하는지 또한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한국어와 태국어 모어 화자의 어두 파열음 산출 실험,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와 태국어의 유사성 지각 실험,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산출 실험의 총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한 후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습득과 관련한 연구들을 연구 경향 별로 또 그 안에서 학습자 언어권 별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어두 파열음과 그에 상응하는 태국어 어두 파열음이 음성학적으로 얼마나 유사한지 알아보고자, 연구 문제 2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태국어의 어떤 음운과 얼마나 가깝다고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또한 연구 문제 3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이 한국어와 태국어의 유사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연구 문제 4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이 거주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문제 1, 2, 3과 관련하여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있어서의 모국어 변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고, 연구 문제 4와 관련하여서는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있어 거주 경험 변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와 함께 한국어와 태국어의 어두 자음 체계를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 연구의 진행 흐름을 보여주는 연구 절차, 총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실험들에 사용된 연구 도구, 음성 분석 방법과 통계 분석 방법을 소개한 자료 분석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한국어와 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실험 결과 음성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어 평음은 태국어 특정 음성과 VOT는 유사하지 않으나 피치값은 유사하며, 한국어 격음과 경음은 태국어 특정 음성과 VOT는 유사하나 피치값은 유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뒤이어 실시된 태국인 학습자의 유사성 지각 실험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평음을 자신의 모국어인 태국어와 덜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격음과 격음을 더 유사하다고 인식했다. 즉, 피치값의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실험 결과, 평음의 경우에는 VOT와 피치값 모두에서 한국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습득이 일어났다고 할 수 있으나, 격음과 경음의 경우에는 피치값에서 한국인 집단과 차이를 보여 습득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즉, 학습자들이 유사성 지각 실험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던 피치값에서 모국어로부터의 전이가 일어나 한국어 산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이다. 한편 거주 경험에 따라 습득 여부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난 경우는 연구개 어두 파열음 ’가’의 VOT값뿐이었고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거주 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추리통계 결과만을 고려한 것으로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거주 경험이 긴 집단이 한국인에 훨씬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다시 정리하여 제시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음성의 물리적 측면과 함께 학습자가 그 음성을 받아들이는 내재적 체계를 동시에 고려하여 모국어의 영향을 논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심층적인 연구가 미미했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비슷한 선행 연구가 풍부하지 않은 연구였던 만큼 많은 한계점 또한 내포하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한계점을 바탕으로 보다 발전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분야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