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화-
dc.contributor.author홍지영-
dc.creator홍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4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42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되기(devenir)’ 개념을 통해 섹슈얼리티(sexualité)를 이해함으로써 ‘되기’ 개념을 면밀히 살펴봄과 동시에 기존의 섹슈얼리티가 갖는 의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과제는 섹슈얼리티가 공생(共生, symbiosis)의 역량으로 이해될 수 있는 지점과 그것의 차이생성(differentiation) 작용을 ‘되기’의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밝히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본 논문은 섹슈얼리티를 성적 욕망이나 가부장적 가족 재생산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한정시키는 것에 문제를 제기 한다. 본 논문은 남/여 이분법과 주/객 이분법, 그리고 정신/신체 이분법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섹슈얼리티를 비판한다. 동일성 철학에 토대를 둔 이분법(dichotomy)과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s)은 위계질서와 차별적 상황들을 생산함으로써 공존의 가능성을 희박하게 하고, 그것은 존재의 생명력을 하강시킨다. 본 논문은 섹슈얼리티를 ‘되기’로 보는 것이 기존의 섹슈얼리티의 문제로부터 이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되기’로서 섹슈얼리티는 공존의 역량으로 이해되는 바, ‘되기’를 실천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한다. 논자는 이분법의 주된 문제가 중심화 된 정체성(identity)을 갖는, 경험과 행위에 선재하는 주체(subject)를 양산하는 것에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되기’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피력한다. 왜냐하면 ‘되기’는 모든 중심화로부터 이탈하는 결합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결합이 두 항 혹은 여러 항이 블록(bloc)을 이루는 것임에 착목하여, ‘되기’가 단독적 중심으로서 ‘나’가 아닌 연결접속(connexion)된 존재로서의 ‘우리’를 지향하는 운동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이 결합이 신체의 한계를 넘기 위한 만남인 바, 그 관계 사이에서 존재의 힘(force d’exister)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존재의 힘은 다른 무엇이 되는 역량이자 일종의 감정인 정동(affect)이다. 본 연구는 탈중심화(de-centralization)의 실천적 방법을 여성-되기(devenir-femme)와 동물-되기(devenir-animal)에서 찾는다. 논자는 동물-되기가 상호적 공생 관계를 촉구하는 언명이라고 본다. 동물-되기로서 공생은 주체들이 상호 교류가 아니라, 주체의 중심성을 버리고 무리(群)로 공존하는 실천이다. 논자는 여성-되기가 성이 이항대립적으로 조직되었다는 것 자체에 문제제기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성별 이분법은 하나의 성을 중심에 두고 다른 성을 타자로 규정한다. 본 논문은 여성-되기를 대립적 위치에 놓인 소수자(minorité)와의 연대를 통해 함께 위계적이고 차별적 상황들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이라고 이해한다. 또한 여성-되기는 ‘되기’가 다른 것들과의 연결접속을 통해서만 시작될 수 있다는 ‘되기’의 실천성을 들어낸다. 본 논문은 ‘되기’로서의 섹슈얼리티를 생성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논자는 섹슈얼리티가 차이나는 신체들을 생성하는 힘이자, 차이나는 신체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임을 해명한다. 즉 섹슈얼리티는 생식이 아니라, 차이나는 신체들과의 만남과 연결접속에서 생성되는, 신체들을 변화시키는 힘이다. 여기서 본 논문은 차이나는 신체들을 동일성에 의해 구분되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것들이 아닌, 차이나는 것들의 결합 운동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섹슈얼리티가 차이나는 것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게 하는 능동적인 역량이라고 주장한다. 다시 이해되는 섹슈얼리티는 일종의 감정이고, 탈중심적 결합이며, 공생의 실천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섹슈얼리티를 ‘공감(sympathie)’으로 이해한다. 논자는 ‘우리’로서 공존과 공생은 적극적인 공감하기에서 시작된다고 본다. 여기서 공감하기는 다른 것들에게 힘과 사랑을 ‘주는’ 행위이다. 섹슈얼리티를 사랑과 공감으로서 ‘되기’의 실천적 측면으로 이해하게 되면, ‘되기’가 갖는 차이생성과 공생의 의미가 강화될 수 있다. 차이생성과 공생의 역량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 섹슈얼리티는 사회체 안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to the meaning of ‘sexuality’ by understanding sexuality as ‘becoming,’ and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becoming,' a significant Deleuzian concept.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sexuality can be apprehended as the power of symbiosis and ‘differentiation.’ In this process, I raise a question to the conservative assumption of sexuality, which confines its term only to ‘sexual desire,’ the driving force of patriarchal reproduction. I bring the prevailing idea of sexuality into question for it is based on ‘binary oppositions’ which are derived from fundamentalism and the philosophy of sameness such as man/woman opposition, mind/body opposition, and subject/object opposition. Binary oppositions categorize different and complex bodies into (only) two sexes and thus produce hierarchy. This kind of binary distinction leads to discrimination. I see this distinction-discrimination process as a problem since it weakens the possibility of symbiosis. This thesis proposes that re-thinking sexuality by the concept ‘becoming’ can be a solution to this problem. Moreover, I argue that the re-understanding process of sexuality provides us an opportunity to think ‘becoming’ in a practical way, that is, as symbiosis. In this thesis binary oppositions are criticized, mainly because they generate subjectivity, which involves centralized identity, antecedent to experience and action. This study depicts ‘becoming’ as a process of composition, fleeing from centralization and identification. Composition is a process of forming a ‘block of becoming,’ a coupling of two or more. It is a movement aiming to form the connected ‘us’, while rejecting the centralized ‘I.’ It is a procedure of dismissing the ‘self’ by conjoining other bodies, in order to exceed the limit of one self. I discuss that from the course of this composition arises the ‘force of existence’ or the ‘power of action.’ This power can be also seen as ‘affect,’ a Spinozan term of feeling. I find a practical method of de-centralization in becoming-woman and becoming-animal. This thesis claims that becoming-animal encourages mutual symbiosis. In becoming-animal can symbiosis, a profoundly mutual action, be possible; but it is not the interaction of subjects. It is a cohabitation in a pack, which never allows a center. Becoming-woman questions the problem of sex, I continue to argue, because sex has been organized by binary oppositions, only counting one sex, antagonizing the other. Becoming-woman is an effort of escaping from the deprived situation through forming solidarity among the minority. Becoming–woman reveals the practical point of becoming, informing us that becoming starts only with connecting with the others. This thesis argues that sexuality seen as ‘becoming’ is a process of creation, that is, a power to create different bodies, and that the process itself is that of composing heterogeneous bodies. The production of sexuality must not be regarded as sexual reproduction, but as ‘becoming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ate. In other words, when sexuality is created, its power modifies the bodies. I believe it is a way to strengthen the ‘force of existence’ along with others. Thus this study contends that sexuality is an active power, an ‘affect’ in terms of Deleuze, enabling various and diverse bodies to coexist not in the ground of sameness. Revised sexuality is a kind of feeling, a de-centralizing composition, and a concrete practice of symbiosis. From this prospective, I claim sexuality is ‘sympathy,’ which can be regarded as an act of ‘giving’ power and love to others. The dynamic power of sexuality arises only from encountering or connecting different bodies. If we re-think sexuality as sympathy and love towards others, the meaning of becoming as differentiation and symbiosis can be emphasized. Accordingly, we can affirm the new concept of sexuality as the power of differentiation and symbio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2. 되기와 정동 ... 6 2.1. 예비적 고찰 ... 6 2.1.1. 섹슈얼리티와 정신/신체 이분법 ... 6 2.1.2. 변용과 변용능력으로서 신체 ... 10 2.2. 정동으로서 되기 ... 14 2.2.1. 변용능력으로서 정동 ... 14 2.2.2. 역량으로서 정동과 실천으로서 되기 ... 18 3. 되기와 섹슈얼리티 ... 24 3.1. 차이생성으로서 되기 ... 24 3.1.1. 되기의 원리: 되기의 블록과 탈중심화 ... 24 3.1.2. 동물-되기와 공생 ... 32 3.1.3. 소수자-되기와 여성-되기: 이분법 너머의 차이 ... 37 3.2. 되기로서 섹슈얼리티 ... 46 3.2.1. 이항기계의 문제와 섹슈얼리티 ... 46 3.2.2. 정동의 블록으로서 섹슈얼리티 ... 48 4. 섹슈얼리티와 차이생성 ... 51 4.1. 차이생성으로서 섹슈얼리티 ... 51 4.1.1. 이질적인 것들의 연결접속 ... 51 4.1.2. 통제되지 않는 성들의 생산 ... 59 4.2. 섹슈얼리티의 실천적 함의 ... 69 4.2.1. 공감하기와 공생 ... 69 4.2.2. 차이나는 신체들과 소녀 ... 76 5. 결론 ... 84 참고문헌 ... 88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4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들뢰즈의 ‘되기’ 개념을 통해 재고하는 섹슈얼리티의 문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thinking the Problem of Sexuality through Deleuze's Concept of 'Becoming'-
dc.creator.othernameHong, Ji yeong-
dc.format.pagev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