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미-
dc.contributor.author김유나-
dc.creator김유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15-
dc.description.abstract고려 北界는 고려의 최북단 지역으로서 고려와 북방이민족 국가를 구분하는 국경인 동시에 양자가 교류하는 창구였고, 때로는 혼거하면서 새로운 집단의식을 창출해내는 공간이었다. 북계 지역에는 고려 전기 동안 많은 이민족과 渤海 유민이 來投하여 정착하였고, 사민을 통하여 州鎭城 내의 인구를 충당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북계의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주민의 구성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고려 전기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니고 있었던 소집단들이 북계에 정착하여 ‘北界民’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고, 이들이 고려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던 위상을 살펴보려 하였다. 북계에 정착한 여진계 고려인들은 처음에는 고려인이라기보다 여진인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德宗대 이후 長城이 축조되면서 국경이 고정되자, 국경 내에 살고 있던 이민족들을 고려인으로 동화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고려 조정은 장성 내 州鎭 지역에 정착한 여진인들에 대한 법적 처우를 고려인과 동등하게 하고, 관직에 등용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州鎭軍에 편제되지 않고 부락 단위로 독립적인 변방 방위 활동에 종사하였으나, 文宗대 이후 점차 주진군에 흡수되었으며 주진군에 이들을 통솔하는 都領이 설치되었다. 또한 문종 재위 후반기에 女眞 完顔部가 성장하여 東蕃 지역의 동향이 심상치 않자, 고려 조정에서는 신규 내투를 제한하면서 북계에 정착한 여진인들에게 토지를 주어 고려인과 섞여 살게 하였다. 또 여진인과 고려인 간의 결혼을 통하여 더 적극적으로 고려에 동화시키려고 하였다. 그 결과, 肅宗~睿宗 대에 대규모의 여진인 내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仁宗대에 이들을 金으로 송환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동화가 빨리 진행되었다. 한편 주진성 내에 거주하던 북계민들은 주진군에서의 군공을 바탕으로 그 세력을 성장시키고 있었다. 고려 초 북계에는 강력한 지방세력이 없었다. 그러나 북계민 가운데 顯宗대 契丹과의 전쟁에서 군공을 세워 주진군의 지휘관으로 성장하는 일가들이 생기면서, 그를 중심으로 지방세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여진인을 주진군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都領制 또한 북계 지방세력의 성장을 도왔다. 즉 12세기에 북계의 지방세력은 군사력을 기반으로 지역 내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南道의 지방세력과 유사한 위상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처럼 11세기 이래로 내투하여 북계에 정착한 여진인들은 고려인으로 동화하고, 북계 주진성 내의 지방세력은 강력하게 성장하면서 양자가 서로 동화하였다. 그런데 12세기 중엽부터 이들은 고려인으로서의 동류의식 이외에, 북계의 지역민으로서 집단의식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金의 건국으로 인하여 장성 밖 藩土를 빼앗기고 금과의 외교 관계 속에서 굴욕감을 맛본 고려인들은 점차 여진[금]을 적대시하기 시작하였고 여진계 고려민이 거주하던 북계를 蕃으로 칭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고려 중앙인들의 인식에 대해 북계민들 또한 스스로를 邊城人으로서 고려의 다른 지역과 구별하면서 북계의 여러 성들을 공동체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북계민의 지역의식은 기존의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공존하였다. 즉 고려 전기의 북계민은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북계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함께 갖춘 집단으로 성장하였던 것이다. ; Bukgye(北界) was the northernmost region of Koryeo, distinguishing Koryeo from the northern races and at the same time a window through which the two interacted, and at times a place which created new group consciousness. Many ethnic migrants and nomads of Balhae(渤海) settled in the Bukgye reg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yeo Dynasty, and covered the population within Jujin-sung(州鎭城t) through the four classes. This thesis takes note of suc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kgye. Therefore it examines how subgroups with different backgrounds settle in Bukgye during the former Koryeo Dynasty to form one identity as ‘Bukgyemin’ and the social status that they possessed in the Koryeo society. The Jurchen people(女眞人) that settled in Bukgye were first recognized as Jurchens rather than as Koryeo people. However after the period of King Deokjong(德宗)‘s reign, as the border was set by the construction of a Great wall(高麗長成), a need for assimilating the migrants that were living within the border to Koryeo people was brought up. Thus, the government of Koryeo gave the Jurchen people that settled in the Bukgye area with in the wall same legal treatment as the Koryeo people, and the government also appointed them in government positions. At first they were not regimented in Jujin-gun(州鎭軍) and worked in independent border defense activities in village units, but were gradually absorbed in to Jujin-gun since King Moonjong(文宗)’s reign and a Do-ryeong(都領) was installed to command them. In addition in the latter period of King Moonjong’s reign, as the trend of the East-beon(東蕃) area became unusual due to the growth of Jurchens’s Wanyan Tribe(完顔部), the Koryeo government limited new migrants, gave land to the Jurchen people who had settled in Bukgye and let them live among with the Koryeo people, and attempted to assimilate them more actively to Koryeo through marriage between the Jurchen people and Koryeo people. As a result, despite the influx of a massive number of Jurchen people during the generations of King Sookjong(肅宗) to King Yejong(睿宗), in the generation of Injong(仁宗), the assimilation proceeded rapidly to the extent that repatriation to Jin(金) was impossible. Meanwhile, Bukgyemin, in Jujin-seong(州鎭城) were extending their power based on meritorious service in war around Jujin-gun. In early Koryeo Dynasty, there was no strong local power in Bukgye, but powerful families began to be formed as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in war against the Khitan(契丹) and got promoted to commanding officers. The Do-ryeong to assimilate Jurchen people also played a certain role in empowering Bukgye. In the twelfth century, based on powerful military strength, local powers in Bukgye got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the area, growing enough to compare to powers of the southern province. On this wise, since the eleventh century, Jurchen people, who settled in Bukgye and changed into Koryeo citizens, and local powers in Jujin-seong, adapted themselves with each other. Yet, from the mid twelfth century, both began to form group consciousness not only as Koryeo citizen but as Bukgyemin. Besides, as newly-established Jin(金) deprived Beon-land(蕃土), land outside the great wall from Koryeo and humiliated it in diplomatic relations, Koryeo began to have hostility against Jurchens and call Bukgyemin, where Jurchens were living as Beon(蕃). In response to the phenomenon, Bukgyemin also began to perceive themselves as people on the periphery and distinguished Bukgye with other Koryeo areas, considering several Jujin(州鎭) in Bukgye as community. This sense of community coexisted with Bukgye’s identity as Koryeo citizen. In other words, during the early days of Koryeo dynasty, Bukgyemin grew to community group which had both identities as Koryeo citizen and as Bukgyem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고려 초 北界의 성립과 주민구성 ... 5 1. 북계의 성립과 통치체제 ... 5 2. 북계 주민의 구성 ... 7 Ⅲ. 11~12세기 초 북계 내 女眞人의 동화 ... 13 1. 長城 설치 후 동화 정책의 시행 ... 13 2. 完顔部의 흥기와 동화 정책의 가속화 ... 22 Ⅳ. 11~12세기 초 州鎭城 내 북계민의 지방세력화 ... 28 1. 북계민의 州鎭軍 지휘관직 참여 ... 28 2. 북계 지방세력의 성장 ... 35 Ⅴ. 북계민의 정체성과 그 특징 ... 40 1.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 ... 40 2. 변방인으로서의 지역의식 ... 43 Ⅵ. 결론 ... 47 참고문헌 ... 49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9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高麗 前期 北界民의 위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cial Status of Bukgyemin(北界民) in the Early Era of the Koryeo Dynasty-
dc.creator.othernameKim. Yu-na-
dc.format.pagev,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