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영어 기본문형 연구

Title
영어 기본문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SIC ENGLISH SENTENCE PATTERNS
Authors
정운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혁
Abstract
As far as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concerned, the study on grammar plays a vital role in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a sentence. Sentences which are properly constructed by a grammar can be classified as patterns The sentence patterns are determined by the class of complements which are subcategorized by verbs. The subcategorised complements are the obligatory elements of the sentence. If they are omitted, a sentence will fail grammaticality. Moreover the patterns are classified in terms of function such as subject, verb, object and complement not in the terms of form such as noun, adjective and preposition. The five basic sentence patterns of Korean school grammar are originated from “Forms of the Predicate (Onions 1904)”. They seem to be the main stream of learning English despite some critical problems; first, there is no concerning about adverbial as the obligatory complement of the verb. Second, with these sentence patterns, it’s difficult to classify sentences like “He left the room angry” or “He ate the meat naked” because “angry” and “naked” are not objective complements (OC) in the 5th sentence pattern. Third, “He believed Mary to resign” and “He persuaded Mary to resign” can be wrongly grouped following the thought in the 5th sentence pattern. This study has two major objectives; first, to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 and find some solutions for problematic constructions to be classified in five sentence patterns of Korean school grammar. Secondly, to propose a modified classification and provide more effective English learning tools to the stud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orms of the Predicate (Onions 1904/1929) are compared to the five sentence patterns of Korean school grammar in chapters 3 and 4. The sentence patterns proposed by Quirk et al. (1985), Wekker & Haegeman (1991), Downing & Locke (1992), Huddleston & Pullum (2002), and Han (2008) are critically analyzed in chapter 5. In chapter 6, dative construction, small clause, nonfinite clause, multi-words verb,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extraposition in generative grammar are introduced. With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the following modified classifications are suggested: (1) Pattern 1A: S+Vins1 [1A-1] S+Vins1+Ø (2) Pattern1B: S+Vins2+C [1B-1] S+Vins2+NP [1B-2] S+Vins2+PP [1B-3] S+Vins2+AdjP [1B-4] S+Vins2+VP [1B-5] S+Vins2+Adverb [1B-6] S+Vins2+Clause (3) Pattern 2A: S+Vtns1+O [2A-1] S+Vtns1+NP [2A-2] S+Vtns1+PP [2A-3] S+Vtns1+Clause (4) Pattern2B: S+Vtns2+O+C [2B-1] S+Vtns2+NP+PP (or PP+NP) [2B-2] S+Vtns2+NP+Adverb (5) Pattern3: S+Vditns+O+O [3-1] S+Vditns+NP+NP (or NP+PP) [3-2] S+Vditns+NP+Clause;본 논문은 학교문법 문장 5형식의 부사적 필수보충어 문제와, 제5형식과 4형식 문형분류의 타당성 문제를 수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문형이론들을 정리한 후 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인 문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영어학습에 있어서 문법은 문장을 생성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도구가 되며 문법에 의해 적합하게 생성된 문장들은 일정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문장은 동사를 중심으로 구성되므로 문장의 유형이란 결국 동사의 하위범주화에 의해 수반되는 보충어의 유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인데, 하위범주화에 의한 보충어는 문장의 필수요소로 생략된다면 문장은 문법성을 잃게 된다. 본 논문에서의 문형은 주어, 동사(술어), 목적어, 보어 등의 기능 중심의 분류로 명사, 형용사, 전치사 등과 같은 형태적 분류와는 구별된다. 한국에서 문형을 학습할 때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학교문법 문장 5형식은 Onions(1904)의 “Forms of the Predicate”에 원형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론 위주의 교육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으로 변화되어 오고 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문형교육의 주류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학교문법 문장 5형식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된다. 첫째로 부가어와 보충어의 구분이 잘못되어 부사적 필수 보충어에 대한 고려가 없다. 둘째로, 동사 중심의 문형 분류에서 다어동사를 단일 동사로 취급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셋째로, 소절이론, 여격이동이론 등을 도입하여 현재보다 더 경제적인 문형분류를 할 수 있다. 넷째로, “SVOO”인 “persuade”류의 동사와 “SVOC”인 “believe”류의 동사를 같은5형식 유형으로 분류한다. 다섯째로, “He left the room angry”, “I expected there to be a man in the kitchen”등과 같이 5형식 문형의 틀로는 설명되지 않는 문장들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수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문형분류의 기준을 동사 중심으로 명시하였으며 3장과 4장에서는 Onions(1904/1929)와 학교문법 문장 5형식을 비교, 분석하고 5장에서는 Quirk et al.(1985), Wekker와 Haegeman(1991), Downing과 Locke(1992), Huddleston과 Pullum(2002), 그리고 한학성(2008)등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6장에서는 생성문법의 여격이동, 소절이론, 비한정절의 개념 등을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된 문형을 제안하였다. 1. Pattern 1A: S+Vins1 [1A-1] S+Vins1+Ø 2. Pattern1B: S+Vins2+C [1B-1] S+Vins2+NP [1B-2] S+Vins2+PP [1B-3] S+Vins2+AdjP [1B-4] S+Vins2+VP [1B-5] S+Vins2+Adverb [1B-6] S+Vins2+Clause 3. Pattern 2A: S+Vtns1+O [2A-1] S+Vtns1+NP [2A-2] S+Vtns1+PP [2A-3] S+Vtns1+Clause 4. Pattern2B: S+Vtns2+O+C [2B-1] S+Vtns2+NP+PP (or PP+NP) [2B-2] S+Vtns2+NP+Adverb 5. Pattern3: S+Vditns+O+O [3-1] S+Vditns+NP+NP (or NP+PP) [3-2] S+Vditns+NP+Cla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