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2 Download: 0

《金甁梅》 속 관음증적 시선 연구

Title
《金甁梅》 속 관음증적 시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oyeuristic Gaze in Jin Ping Mei(金甁梅)
Authors
유연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서
Abstract
《金甁梅》는 인간의 지극히 개인적인 욕망을 다루는 동시에 이를 훔쳐보는 인물을 내세우면서 소설의 에로티시즘을 한층 더 부각시키며, 이러한 훔쳐보기 혹은 엿보기는 《金甁梅》의 장편 서사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관음증적 시선을 중심으로 《金甁梅》를 읽고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는 《金甁梅》의 관음증적 시선에 관한 연구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金甁梅》가 창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피고 명대의 성 문화를 《金甁梅》의 관음증적 시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纏足, 春畵, 男風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여, 이후 揷圖와 텍스트를 통한 시선 전개에 관한 논의를 연장선상에서 읽어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관음증적 시선의 분석은 삽도와 텍스트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우선 삽도 중에서 훔쳐보기의 모티프를 직접적으로 활용한 그림과 간접적으로 활용한 그림으로 구분하고 이미지에 반영되는 네 가지 시선을 참고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화가의 구도 처리 혹은 인물 배치 방식에 따라 감상자의 훔쳐보기가 만족 혹은 좌절되며, 그림 속 인물의 시선이나 그 인물이 유도하는 시선까지도 관음증적 시선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알았다. 텍스트에서의 시선 분석은 삽도에서의 네 가지 시선을 치환 후 적용하였으며, 특히 《金甁梅》가 이미지의 현시와 서사의 전개를 동시에 달성해나가는 데 있어서 등장인물들의 관음증적 시선이 주축이 됨을 알았다. 또한, 훔쳐보기는 주체와 대상의 물리적인 구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張竹坡의 〈雜錄小引〉을 통해 西門慶 집의 구조를 살펴보고 구조적 프레임과 창, 발 등의 장치에 따라 유도되는 시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관음증적 시선이 性과의 관련성을 넘어서 보다 넓은 의미에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고에서 삽도와 텍스트에서의 관음증적 시선 분석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에 이르렀다. 첫 번째, 에로티시즘과 결합된 금기의 모티프는 관음증적 시선을 통해 금기를 위반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준다. 금기시되는 행위를 위반하는 장면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 장면을 엿보는 인물을 보여주는 것은 금기에 대한 위반을 이중으로 실현하며, 위반 혹은 일탈을 통한 카타르시스를 강화한다. 두 번째, 훔쳐보기는 자본주의와 도시화로 인해 고립과 단절의 벽을 허물고자 하는 인간의 몸부림이다. 그리고 엿보기가 성립하는 구간 즉, 주체의 환상과 대상의 유혹이 중첩된 지점에서 시선의 주체는 대상과의 동일시나 비교를 통해 자신이 경험하는 세계를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우연(contingency)과 맞물린 관음증적 시선은 타인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체제는 시선의 비대칭과 불균형을 이용하여 여성이 시선의 주체로서 권력을 쥐고 있다고 오인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관음증적 시선은 단순히 훔쳐보는 것 이상의 의미를 함축한다.;The Chinese novel Jin Ping Mei(金甁梅) deals with the very human private desire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voyeur through the text, thereby emphasizes the eroticism. The novel carries out peeping or looking and it eventually is the driving force of leading the full-length narrative. The study focuses on reading and investigating Voyeuristic Gaze in Jin Ping Mei. The study on Voyeuristic Gaze in Jin Ping Mei i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 of sexual culture of Ming(明) Dynasty, gives a detailed account of foot-binding, pornograph, male homosexuality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Voyeuristic Gaze and then, puts them in line with further discussion about the gaze. The investigation about Voyeuristic Gaze represents two aspects, one is in terms of illustrations and the other is in terms of the text. First, divided the illustrations into the painter using peeping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n tried to investigate these illustrations on the basis of four gazes reflected from the image. It is shown that whether the voyeurism of the viewer is satisfied or frustrated depending on how the painter composes his painting and places the characters. Besides, it is also shown that the gaze of characters in paintings or the gaze which character induces the viewer also interpreted as Voyeuristic Gaze.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xt, replaced the gaze reflected from the image as mentioned earlier with that in the text. It is shown that in Jin Ping Mei, the exchanged gaze between characters is important since it describes voyeurism and fetishistic scopophilia simultaneously. Also,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voyeurism is required to separate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gaze, and through the writings of Zhang Zhupo(張竹坡) examined the house structure of Ximen Qing(西門慶) and investigated the gaze-induced depending on the structural frame and the devices such as windows, bead curtai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cuss not only the correlations between voyeuristic gaze and eroticism but also from a holistic approach. Through the study of Voyeuristic Gaze in illustrations and the text, it reached 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taboo motifs about eroticism show the human desire for taboo violation through Voyeuristic Gaze. When the author described the scenes violating the taboo subjects and then let a voyeur look that scenes in the text, the reader realizes dual taboo violation and experiences intense catharsis resulted from violation or deviation. Second, the voyeurism is the man struggling to tear down the walls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caused by capitalism and urbanization. At a point that the voyeur is peeping, the fantasy of a subject and the temptation of an object is overlapped, the voyeur extends own world of experience through identification or comparison with the object. Third, when the voyeuristic gaze is interlinked with the contingency, i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voyeur to exercise power to others. However, the patriarchal system makes women misunderstand that themselves as a subject keeps power, by using asymmetry and imbalance of the gaze. As in conclusion, the Voyeuristic Gaze does not mealy mean the peeping but fulfills more than peep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