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8 Download: 0

일본 妖怪 캐릭터의 중국 神話 원형 수용 연구

Title
일본 妖怪 캐릭터의 중국 神話 원형 수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nese Archetypes of Japanese Goblin Characters : Focusing on Chinese Mythological Elements in the "Kitsune(狐)", "Tengu(天狗)" and "Kappa(河童)"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서
Abstract
사람들에게 異形의 존재는 두려움과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사람들은 그들과 형태나 성질이 다른 존재들을 실제로 볼 수 있는지 없는지 직접적인 체험 여부를 떠나 그 존재들의 실재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고대 創世神話에서부터 현대 문화콘텐츠 속 妖怪 모티프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이 異形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전하는 것을 즐겨왔다는 점을 통해 볼 수 있다. 현대 일본의 문화콘텐츠에서 활용되고 있는 妖怪 캐릭터는 친근한 이미지를 통해 사람들에게 妖怪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호기심을 갖도록 했다. 일본의 妖怪 캐릭터가 사람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이끄는 데는 무의식적으로 낯설지 않은 妖怪 캐릭터의 형상과 妖怪가 인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여기에 주목하여 일본 妖怪 캐릭터의 원형이 보다 근원적으로 중국에 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여우(狐)‧덴구(天狗)‧갓파(河童) 캐릭터를 대상으로 각각 중국의 원형을 탐색해보고, 일본 출판만화 및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妖怪 캐릭터의 변용 양상 및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연구 동기와 목적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일본의 여우‧덴구‧갓파 캐릭터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妖怪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중국 神話 원형이 일본으로 전래된 양상과 이후 현대 문화산업에서 수용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일본의 여우‧덴구‧갓파 妖怪 캐릭터의 중국 神話 원형과 현대적 변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여우의 여성 이미지가 강조되었던 중국의 狐狸精 원형은 일본 문화콘텐츠 속에서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 여우 캐릭터로도 등장한다. 신적인 존재였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날개를 지니고 있고 신성성이 떨어진 중국의 雷神 원형은 일본의 덴구 妖怪 캐릭터에서 주로 날개를 지닌 새의 형상을 띠고 있으며 인간의 조력자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의 水怪 원형은 에도 시대(江戶時代)에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현대 문화콘텐츠 속에서의 갓파 妖怪 캐릭터는 작고 귀여운 형상의 애완동물로서의 이미지로 표현된다. Ⅳ장에서는 중국 神話 원형이 일본 妖怪 캐릭터로 변용되는 과정의 의미를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동아시아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던 精靈 신앙에서 출발한 妖怪 이미지는 양국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특히 일본에서는 다양한 이미지로 생산되면서 소비의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아름다운 모습으로 擬人化된 일본 妖怪 캐릭터는 소비자들의 시각적 취향과 미적 가치에 대한 욕망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언제나 인간과 함께 존재하고 있는 妖怪는 끊임없이 재탄생되어 우리 앞에 나타난다. 이 바탕에는 동아시아 사람들의 異形에 대한 공통적인 상상력이 있다. 따라서 妖怪 캐릭터에 대한 탐색은 앞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The presence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was the subject of fear and curiosity. Whether or not the goblin(Yaoguai, 妖怪) existed, the people have recognized its existence. From the myth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modern contents of the goblin, the people have enjoyed making a different type of fable and have said it to a future generation. Japan, one of the countries which have developed culture contents, accepted the culture from China & Korea, but Japan metamorphosed into their own culture. Then they have made use of the modified culture. Among Japan's cultural industry, published comics, games and animations dominated the world through a based on modified culture. This dissertation remarked this goblin character of Japanese cultural industry. Japan's goblin has conveyed friendliness a character, through this character, the people have a curiosity for overcome of fear. The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goblin which characterized like human nature. Among lots of goblin characters, this dissertation put emphasis on three characters like "Kitsune(狐)", "Tengu(天狗)" and "Kappa(河童)". So I focused on each Chinese archetype(原型) regarding "Kitsune", "Tengu" and "Kappa" characters, and looked for how these characters based on Chinese archetypes were reflected in Japan's published comics and animations, and then I explained what it means. In chapter Ⅰ, I suggested the motivation, objective and method of study.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concept of the goblin in China & Japan, and I explained how Chinese archetypes of the myth has been passed down in Japan and could be accepted the background in contemporary Japan's cultural industry. In chapter Ⅲ, I analyzed Chinese archetypes of the myth in three goblin characters of Japan and transformed aspects contemporarily. First, I explained a changing process from the Chinese archetype of "Kitsune"(Hulijing, 狐狸精) which had been emphasized in feminine image. It humanized a female and male "Kitsune" character in Japan's culture contents. Second, it has been changed from the God of Thunder(Leishen, 雷神) of China which had been formed to winged shape and his sacredness had fallen to a "Tengu" goblin character performing the role of human assistant in Japan's culture contents. Third, the Chinese archetype of water goblin(Shuiguai, 水怪) had conveyed to Japan in the Edo(江戶) period, the "Kappa" goblin character is expressed as the shape of a cute little pet in contemporary culture contents. In chapter Ⅳ, this dissertation handled the changed goblin characters of Japan based on Chinese archetypes. First, the goblin images are originated from fairy belief, it's universally existed in East Asia,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environment, it shows different patterns, and especially in Japan's cultural industry, as the consumption of images produced by a variety of targets, the goblin characters were developed. Second, the goblin characters of Japan have often been showed as a humanized beautiful one, so consumers can satisfy their desires for visual preferences and aesthetic values. Finally, Goblin always exits with human and re-born in our life continuously. Most East Asian people have a common imagination about the goblin. At this point, I hope the issue of goblin will under active discussion & research that comparing with East Asia’s(China, Korea and Japan) goblin. And the research of archetypes of the goblin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