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기산 김준근 풍속도 고찰

Title
기산 김준근 풍속도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f Ki-san Kim Jun-Keun Genre Paintings
Authors
유현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그동안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풍속도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앞으로 어떻게 접근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다. 기산 풍속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민속학적, 미술사적, 이미지 재현의 문제 등 세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미술사적 연구에서, 기산 풍속도 양식이 중국 수출화와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여, 그동안의 연구방향에서 배제되었거나 고찰의 대상에 넣지 않은 요소들을 살펴 보았다. 본문 Ⅱ장을 통하여, 기산 풍속도가 중국 수출화 양식의 영향을 받아 발생했다는 기존 연구 방향의 문제 제기로서 양식의 발생 근거를 조선 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선 풍속화의 흐름과 조선 후기 화단의 경향을 살피고, 특히 조선 내에서의 회화 거래 시장의 상황을 중점적으로 들여다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기산 풍속도는 조선 회화 시장의 활발하게 형성되어 있던 시장에 새로운 수요층이 등장하면서 발생한 양식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개항이라는 사회적 변화는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진 서구 이방인들의 조선 방문의 계기가 되었고, 그동안 감춰져 있던 조선을 알고 싶어 하는 이방인들의 요구는 조선 풍속화의 새로운 수요를 가져 왔다. 이 과정에서, 무명의 화가였으나 조선 풍속화의 전통성을 이어가려 했던 기산 김준근의 그림이 가장 인기를 끌었던 것이다. 본문 Ⅲ장에서는 현재 구미 각국에 소장되어 있는 기산 풍속도가 막연한 대상을 위한 수출 품목이 아니라, 대부분이 주문 제작된 정황들을 바탕으로 기산 풍속도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이 부분에서도 기산 풍속도의 특징과 조선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요소들을 연관지어 서술하였다. 기산 풍속도의 양식 뿐만 아니라, 묶음 방식, 제작 환경 그리고 내용적으로 가진 특징을 살펴보고, 거래 가격에 있어서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정황 근거를 제시해 보았다. 기산 풍속도가 담은 내용에 있어서는 소재의 방대함이 기존 회화 양식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의 가치를 가졌다는 점과 도상적으로는 조선 후기 풍속화들의 그림과 영향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19세기말 기산 풍속도를 가져간 서구인들이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 소비하였으며, 기산 김준근의 그림 조선 풍속 이미지들이 다른 저자들의 조선 풍속 이미지들과 어떤 식으로 영향 관계를 가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조선 풍속 이미지의 변천 과정에서는 기산 풍속도의 이미지가 서구인들에게 준 영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산 풍속도는 민속학적 시각 자료로 쓰임과 동시에 회화적으로도 독립된 가치를 부여받는 소비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 했다. 따라서, 일각에서 제기된 기산의 조선 풍속 이미지가 제국주의의 시선이 내면화된 재현이라는 시각은 전체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적인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기산 풍속도는 19세기말 개항 전후의 조선의 사회 문화적 배경 아래 생산된 독자적인 양식을 가진 작품들이라는 점이 이 논문의 핵심적인 결론이다. 덧붙여, 기산 풍속도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는 활발해진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우리 스스로가 우리 문화 양식을 서구의 관점에서 타자화시키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The 1880s to the early 1900s began the height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there are over 1,547 pieces of this style on exhibit in over 20 museums and art galleries across the globe, forever preserv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is renaissance period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was artist Kim Jun-keun, who created illustrations to accompany the very first novel translated into Korean, 『The Pilgrim's Progres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how research on Kim Jun-keun has developed and how scholars may be able to conduct more precise analyses of his work in the future. Until now Korean scholars and Western scholars have produced markedly different analyses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This is because scholars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ook an interest in the Ki-san paintings itself much before domestic scholars, who had largely centered on folk art until recently when the Ki-san genre paintings began to receive more attention. Recent research by art scholars in Korea have point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orm of Ki-san paintings and Chinese Export paintings of the same background, ‘open port area’. However, there is little concrete proof of the correlation, which has weakened much work surrounding this hypothesis. This thesis will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rt was relatively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nd commoners were able to purchase works at art markets. Simultaneously, Joseon was beginning to open its ports, and many of the Westerner traders took a keen interest in the scenes illustrated in these works. Kim Jun-keun's work was the most widely acclaimed at this time. The Ki-san genre paintings was highly regarded as a honest and descriptive representation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is context, the core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uniqueness of this cultural art amidst an age of international influence. Although Kim Jun-keun's works became widely marketed among Westerners in the art market, the general ignorance of Joseon itself has resulted in many limited interpretations of the illustrations that are superficial at best. Likewise, it was difficult for Ki-san genre paintings to receive much serious attention within Korean academia, as it was branded as a "traditional" art. Taking into account the wide scope of subject matter and current forms of art distribution along with the radical Westernization (modernization) of Korea in recent history, this thesis will highlight the need for more precise evaluations of the rich cultu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portrayed in Kim Jun-keun's work in future scholar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