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대조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대조 연구
Other Titles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for Chinese Learners : focused on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Authors
Guo, Qian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속담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출판된 교재를 대상으로 교육용 속담 목록을 만들고 이들을 중국어 속담과 대조 연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속담의 출현방식에 초점을 두고 실제 언어 자료를 대상으로 속담의 출현 방식을 자세히 조사, 분류하였으므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속담 활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의 필요성, 목적을 제시한 다음 본 연구의 방법과 대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다음과 같이 세밀하게 검토하였다. 첫째, 한국 문화 교육과 관련된 속담 연구, 둘째, 한국 속담과 외국 속담 대조 연구, 셋째, 교육용 속담의 선정과 교육방법 및 교재 개발 연구, 넷째, 외국인을 위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다섯째, 중국인을 제외한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연구가 그것이다. 2장에서는 우선 두 나라 속담의 개념을 사전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양국 속담의 특징을 의미적 특징과 출현 방식의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한국 속담의 출현방식을 기본형과 변형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변형형은 다시 속담의 일부를 바꾸어 쓰는 것, 속담의 어순을 바꾸어 쓰는 것, 원래 속담의 중간에 다른 말을 끼워 넣어 같은 뜻을 제시하는 것, 속담의 전체를 인용하지 않고 한 부분을 생략한 것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한국의 5개 대학교의 한국어 어학당 교재에 실려 있는 속담을 뽑아서 각 학교 교재의 속담의 개수를 통계 내어 분포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본 논문에서 속담의 등급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4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4개 기준은 첫째, 어휘의 난이도, 둘째, 속담의 출현빈도, 셋째, 출현방식이 기본형으로 나타나는가 아니면 변형형으로 나타나는가. 넷째, 표면 의미로 전체 의미를 예측할 수 있는가이다. 이 4가지 기준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용 속담을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속담 목록에 근거하여, 한국 속담과 중국 속담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양국 속담을 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 이형이의의 네 가지 속담 유형으로 나누어 상세한 대비를 진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각 유형에 대하여 다시 다음과 같은 세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어휘, 둘째, 동형이의 속담과 이형이의 속담의 의미, 셋째, 속담의 출현 방식에 대한 분석이 그것이다. 즉,『한국의 속담 용례사전』(1993)과 5개 대학 교재, 그리고 최권진의『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어(1~2)』(2007)에서 출현한 형식을 나열하고 해당 속담이 가장 많이 취하는 형식을 밝혔다. 5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 논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기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ist of Korean proverb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Chinese proverbs, as an attempt to help Chinese in learning Korean proverbs. The list of Korean proverbs here are made ba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This thesis focused on appearance form of the proverbs in real language data. By conducting close examination and classifica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ould be useful for Chinese learners in using Korean proverbs in many aspects. Chapter 1 sta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its contribution, followed by method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Related studies was also closely examined as follows: 1) research on proverbs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2) research on Korean proverbs and non-Korean proverbs, 3) research on selection of proverbs for education, education method and also textbooks development, 4) research on Korean proverbs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5) research on Korean proverbs education for non-Chinese learners. In chapter 2, the concept of proverbs in both Korean and Chinese was clearly defined through referring the dictionary. Then, the characteristic of proverbs in both languages were examined through its semantic and appearance form. Korean proverbs appearance forms wer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basic form and transformable form. Transformable proverbs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4 types; proverbs which partly transformed, proverbs with transformable word order, proverbs with additional word or sentence with no difference in meaning, and proverbs which partly used. Chapter 3 on the other hand, analyses the distribution status of proverbs by collecting proverbs in 5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each different universities, and compiling it into statistical data. Problems discovered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were also presented. This thesis attempt to set 4 standards which directly determine the proverbs level. Those 4 standards are the difficulty of words, the frequency of proverbs, appearance form whether it is a basic form or transformable form, and the surface meaning whether the whole meaning is predictable or not. Based on these 4 standards, this thesis re-classifies proverbs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 Chapter 4, the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was examined based on list of proverbs mentioned in Chapter 3. Here, the types of proverbs in both language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same shape-same meaning proverbs, same shape-different meaning proverbs, different shape-same meaning proverbs, different shape-different meaning proverbs. Each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analyzed closely as follows: 1) analysis on its words, 2) analysis on the meaning of same shape-different meaning proverbs and different shape-different meaning proverbs, 3) analysis on proverbs appearance form based on ‘The Dictionary of Korean Proverbs’ (1993), 5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different universities, and ‘Learning Korean through Proverbs (1-2)’ (2007) by Choi Kwon Jin. The proverbs appearance forms were arranged in a row and mostly applied form were defined. Chapter 5 presents the summary of the thesis and remained problems related to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