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정복근 희곡 연구

Title
정복근 희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eong Bok-geun’s Drama
Authors
정고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우숙
Abstract
본 연구는 정복근의 극 텍스트의 서사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 작품의 심층적 분석 및 작가 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복근은 활발한 극작 활동을 해온 작가이지만 작품집이 부재하는 상황 등으로 인해 선행 연구의 실적이 부족한 상태다. 정복근이 작가적 개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면서 왕성하게 극작 활동을 펼쳤던 시기에 편중되어 있는 기존의 논의들마저도 여성주의 의식, 사회 계층에 대한 탐구 등으로 나뉘어 있어서 정복근 극작을 보다 폭 넓게 아우르는 내적 원리에 대한 규명과 총체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고는 정복근 희곡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1985~1994년에 해당되는 시기의 작품 세계에서 보여지는 극작술을 통해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 전략을 밝힘으로써 정복근 극작의 내적 원리와 작가 의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복근은 인물의 대사와 행동에 대한 ‘직접 제시’가 아닌 서사적 자아의 활용을 통한 복합 관점과 입체적 제시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물의 내부에 작동하고 있는 사회, 역사적 조건에 대한 비판적 사유 및 성찰로 나아간다. 여성 문제와 당대 사회의 현실 등을 다룬 정복근의 극작이 사건이 아닌 인물에 중심을 두면서 서사적 자아를 다양하게 활용한 서사화 전략을 통해 전개되었다면 역사극의 경우 집단의 서사적 자아에 해당하는 극중 인물들이 코러스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정복근 극작을 추동하는 근본의 주제 의식과 작가 의식이라는 바탕을 설파한다. 서사적 자아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중심을 두고 매개적 소통구조를 지향하면서 표층적 인식이 아닌 심층적 성찰을 요구하는 정복근의 극작술은 작가가 가진 문제 의식에서 나온 극적 전략이다. 이것은 연극이라는 의사소통의 예술에서 작가의 함축적 의도를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한 메타 의사 소통적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복근은 개인의 문제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관객에게 동시대의 사회, 여성, 역사의 문제를 환기하면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사유의 범위를 확장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Ⅱ장은 여성 문제를 다루는 극들로 정복근은 극중 인물들이 관객에게 말을 거는 서사적 자아가 되어 모놀로그의 형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게 한다. 정복근은 인물의 내면적 발화를 통해 여성이 겪는 내적인 억압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양상이 드러난다. 서사적 자아로서의 모놀로그는 극중 인물에 내면화된 규범 의식과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비판적인 인식과 성찰을 유도한다. 서사적 자아의 ‘이야기의 시간’은 억압의 객체가 아닌 자신의 서사를 구축하는 주체의 시간으로 기능하고, 이야기에 의해 소환된 일상적, 혹은 특정한 억압의 체험은 집단적, 역사적 책임을 고민하는 차원으로 확장되어 가는 면모를 보인다. Ⅲ장은 정복근이 영화적 장면 구성처럼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텍스트를 통해 사회 문제에 접근해가는 점에 주목하여 작가가 조명, 음악 등의 연극적 장치를 의미하는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구현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정복근은 시간 몽타주를 통한 시공의 교차, 병치 등으로 인물의 과거, 무의식 을 무대 위에 소환하는데 그것은 사회 구조 및 시대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이 겪는 페이소스의 양상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정복근은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한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메타적으로 구현하면서 당대의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Ⅳ장의 ‘지킴이 시리즈’인 역사극은 공연성이 강화된 양상을 보인다. 공연을 전제로 한 무대 위의 구현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역사극에는 코러스적 역할을 하는 집단의 서사적 자아가 등장해서 작가가 추구하는 근본의 가치를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정복근의 역사극은 퍼포먼스적 스펙터클을 통한 공연적 요소가 강하면서도 작가가 관객에게 의도한 메시지 역시 분명하다. 정복근은 역사의 내적 동력을 탐구하면서 관객으로 하여금 가변적 현실에 영합하는 삶이 아닌 불변하는 가치를 추구하는 자세를 촉구한다. 역사를 폭 넓게 아우르는 정복근의 시선과 온전한 인간의 모습을 고민하면서 불변의 도의와 양심을 추구하는 작가의 가치관은 코러스적 집단의 춤과 노래를 통해 직접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매개적 소통구조를 중심으로 한 정복근의 극작술은 주제에 따라 상이한 작가만의 텍스트적 전략으로 구축된다. 공연을 전제로 하여 다른 장르들을 흡입, 융합하는 희곡의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정복근의 극작은 주제에 따라 서정적 모놀로그로 인해 서술성이 강화된 극 텍스트에서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몽타주적 텍스트, 관객의 감각적 고양 및 각성을 의도한 포스트드라마적 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펼쳐진다. 그것은 정복근의 작가적 역량임과 동시에 시대와 여성이라는 작가가 위치한 좌표에서 선구자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열린 작업의 의미를 갖는다.;This study is targeted on Jeong Bok-geun‘s drama text centered on narrative strategy, having its goal in in-depth examining and identifying the writer consciousness. Jeong Bok-geun has been an active playwright, however, due to the times when the work was absent, previous studies are lacking. Even the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at the time of Jeong Bok-geun's most active writing period that clearly shows the writer's individuality, they are divided into feminist consciousness, social class studies, and etc., thus, a quest for identifying internal principles and research with holistic perspective more broadly crossing the works are needed. Thus, through exploring Jeong Bok-geun's world of art shown in the dramaturgy on the peak time period of 1985 to 1994, this paper aimed on tracing the world of Jeong bok-geun's world of art by revealing the narrative strategy in author's dimention. Jeong bok-geun doesn't 'directly present' the dialogu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but presents complex- and three-dimentsional perspectives using epic narrator, focusing on the inner side of a character, proceeding to critical reaso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While Jeong bok-geun's playwrite range over women's issues and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centered not on the event but on the figures developing the story by narrative strategy variously utilizing epic narrator in the case of historical plays, the characters in the play relevant to the body of epic narrator perform chrous role asserting the fundamental thematic consiousness and writer consiousness which motivates Jeong bok-geun's dramas. Through epic narrator, centered on character's inner side, Jeong bok-geun's dramaturgy aiming mediativ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requiring not a superficial but an in-depth reflection is a dramatic strategy coming forth from the writer's critical awareness. In the communication art of play, this can be said as a meta-communication strategy to properly deliver the writer's implicit intention to the audience in the theater. Jeong bok-geun demands the audience who is buried in personal matters to broaden awareness and extend the scope of reasoning by arousing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women, and history. Chapter II deals with women's issues, Jeong bok-geun becomes epic narrator where characters in the play talk to the audience, and let the character confess own heart in the form of molologue. Jeong bok-geun appears to highlight the inner repression of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ner voice. Monologue of epic narrator reveals internalized norms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in figures in the play and leads the audience to critical awareness and reflection by expanding women's issues to societal dimension. The 'talk time' of epic narrator is not an oppressed object but functions as an principal time building own narrative and experience of 'day-to-day, or specific repression' summoned by the story extends to reflecting on responsibility of collective and historical dimension. Chapter Ⅲ, noting on the point how jeongbokgeun approach the societal problem using the text where complex lay out of time and space becomes the majority like in the construction of movie scenes, the writer examines [the aspect of materializing figure's inner side through concealed epic narrator, which signifies stage lighting, music, and other theatrical devices. Jeong Bok-geun summons the past and unconscious mind of the characters on stage through intersection of time and space and juxtaposition by time Montage, which is revealed to be the aspect of pathos linked to the social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time that individuals go through. Jeongbokgeun becomes narrative self behind the concealed epic narrator, meta-incarnating character's inner surface, providing the vision to critically look at the societal reality of the time. Chapter Ⅳ, 'the keeper series' historical play, shows strengthened performance aspect. Historical play which leans heavily on dramatic interpretation premising performance, epic narrator of collective narrative self acting as chorus appears, and bluntly reveals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writer. While the historical play of Jeong bok-geun has strong performance element through performances by the spectacle, the intended message to the audience by the author is clear. Jeong bok-geun explores the internal power of history and urge the audience to seek for invariable value, not a life pandering on variable reality. Jeong bok-geun's perspective broadly encompassing the history and the artist's value pondering on the image of whole human and pursuing the invariable morality and conscience is ever directly revealed through chorus group's dance and songs. Jeong bok-geun's playwrite focused on the mediating communication structure is strategically structured through using varying tex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ubject. As the characteristic of play genre absorbs and fuses different genres on performance ground, Jeong Bok-geun's playwrite is stretched out on dramatic spectrum ranging from play text strengthened in narrative aspect by lyrical monologue, montage text where complex layout of time and space is the main stream, and to post-dramatical text which intends to uplift and awaken the audience sense. This is not only Jeong bok-geun's artistic skill but a meaningful pioneering of open work, looking at the coordinate axis of era and women the writer was located i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