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Trends in Maternal Mortality

Title
Trends in Maternal Mortality
Authors
ODEY, Patience Nka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ennifer Sejin Oh
Abstract
Ghana and Nigeria are both developing countries in West Africa that have maternal mortality as an issue of concern, Ghana had higher maternal mortality rates than Nigeria in 1990s, however in 2000s, Ghana witnessed a rapid decline in maternal mortality rate while Nigeria’s maternal mortality rate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paper studies the reason behind these divergent trajectories between Nigeria and Ghana. The study hypothesizes that the government’s increased financing on public health services in Ghana is the main contribution to the rapid decrease in maternal deaths in Ghana whereas less financing on public health services in Nigeria can be blamed for the slow decline in maternal deaths in Nigeria. Analysis of the study shows that Nigeria’s inability to improve on maternal health comes as a result of its non-commitment to existing policies on maternal health as well as the lack of provision of basic health amenities which are vital to address the problem of maternal mortality. This has led to many women delivering at home and indulging in unsafe abortion and other harmful conditions that encourage maternal mortality in the country. In contrast to Nigeria, Ghana that had higher maternal mortality rates than Nigeria designed and implemented favorable health policies channeled at reducing maternal mortality and improved on its basic health infrastructures and facilities, hence motivating more women to deliver in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also use contraceptives. This brought about a phenomenal decrease in maternal mortality in Ghana that has made Ghana’s case a lesson for many countries to imbib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ertain recommendations have been proffered to Niger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who wish to address the issue of maternal mortality with immediate alacrity. These include health sectors reform which encompasses a total overhauling of the health system to deal with administrative bottle necks, corruption and unqualified expertise in the system. There is also need for government to partner with private sectors to provide the basic necessities for addressing the issue of maternal mortality through policies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Importantly, Nigeria needs to prioritize the issues pertaining women and their reproductive health in other to effectively involve the women i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country and thus reduce maternal mortality. The unquantifiable need for improved health resources cannot be ignored if the health sector as a whole is to be of huge benefit to the pregnant women and the entire citizens of the country. Finally, Nigeria and other developing African countries should follow the strides of Ghana in maternal health to attain the kind of rapid decrease in maternal mortality witnessed in Ghana.;가나와 나이지리아는 산모 사망을 사회적 문제로 가지고 있는 서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가들이다. 1990년대에, 가나는 나이지리아 보다 산모 사망률이 높았으나, 2000대에 들어와서 나이지리아의 산모 사망률이 급증한 반면, 가나의 산모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했다. 본 논문은 나이지리아와 가나의 이와 같이 상이한 산모 사망률 궤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나 정부의 공공보건 서비스에 대한 재정 증가가 가나의 산모 사망률의 급속한 감소에 기여한 주요 요인이며, 나이지리아 경우, 삭감된 공공 보건 서비스 재정이 나이지리아 산모 사망이 느리게 감소하는데 영향을 끼쳤다는 가설 하에 논의를 진행한다. .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의 산모 건강을 향상시키지 못한 무능함은 산모 건강에 관한 기존의 정책에 대한 헌신적인 노력이 전무했고 임산부 치사율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기본적인 건강 편의 시설의 부재했기 때문이다. 이는 여성들이 대부분 집에서 출산을 하고, 나이지리아의 산모 사망률을 증가시킨 안전하지 못한 낙태와 다른 해로운 조건에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나이지리아 와는 대조적으로, 나이지리아 보다 산모 사망률이 높았던 가나는 양호한 건강 정책을 수립, 시행하였고, 기본적인 보건 기반 시설을 향상하였으며, 그 결과 더 많은 여성이 공공 보건 시설에서 출산을 하고 피임 수단을 사용하도록 도왔다. 이는 가나의 산모 사망률을 혁혁하게 감소시켰고, 여러 나라들이 본 받을 만한 사례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산모 사망 문제를 기민하게 해결하고자 하는 나이지리아와 다른 개발 도상국들에게 몇몇 제언들이 제시될 수 있다. 보건 체계의 부패, 검증되지 않은 전문지식, 행정적 측면의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보건 체계의 총 정비를 아우르는 보건 분야 개혁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정부가 정책 수립과 시행을 통해 산모 사망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과의 공조가 필요하다. 중요한 점은, 나이지리아가 국가 발전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여성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산모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출산 보건과 관련된 이슈들을 선결과제로 삼을 필요가 있다. 보건 분야 전체가 임산부와 전 국민에게 큰 혜택을 끼치려면, 향상된 보건 자원에 대한 측량할 수 없는 요구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나이지리아와 다른 개발 도상국들은 가나에서 목도된 산모 사망률의 급격한 감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나의 행보를 따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