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움직이는 몸’에 기반 한 무용의상 연구

Title
‘움직이는 몸’에 기반 한 무용의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ance Costume Based on 'The Moving Body' : Focused on Rudolf Laban Movement Analysis (LMA)
Authors
정우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dance costume based on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performing arts, 'the moving body' by analyzing the moving body and the features of the costumes, finding the close links between the two subjects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making dance costumes that bes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and the symbolic images of the performance. The study was done by conducting advanced research on local and overseas performances, reviewing and observing costume designs, videos, interviews, collections and critic reports. In particular, Twyla Tharp’s biography, “The Creative Habit: Learn and use it for Life” provided me with her insight on collaboration while reviewing ‘In the Upper Room’. Norma Kamali was responsible for the costume design and my past experience working in the fashion design and costume manufacturing provided me with a basis of intangible knowledge when analyzing the performance. The next step wa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oving body and Laban movement features before going into deep analysis of the ‘moving body’ and dance costumes. In addition, I have also searched into the role of dance costu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features which provided the base of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features and costume design features. To find out how the above relationship appears in a real performance I analyzed the moving body and dance costumes in Jean-Christophe Maillot’s ‘Cinderella’, a ballet performance and Twyla Tharp’s ‘In the Upper Room’, a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s the mutual congeniality between the moving body and costume, as well as the following design related characteristic features that appear on the dance costumes. Firstly, the moving ‘Body’ relates to the costume texture and line/shape, the moving ‘Effort’ to the costume colors, and the moving ‘Shape’ to the costume line/shape. Secondly, when compared to the fashion costume the dance costume requires that several design features be mutually relate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texture, which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all the features. Thirdly, the costume space in the ‘moving body’ can be described as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costume shape and space as well as the dynamosphere of costume. By analyzing the mutual congeniality between the moving body and dance costume the study aims to propose a new possibility for the dance costume, which so far has been regarded as a component rather than a separate element in a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ving body should be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for design thus paving the way for a more open design when doing research for a more human centric and conceptual fashion costume design. To conclude, I would like to again emphasize the goal of the study which i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the dance costume to the dancing art, to propose a more efficient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the dance costume and hopefully shed some light on other studies related to humanities and clothing such as fashion, clothing psychology, formative art and others.;본 논문은 무용 예술에 있어 가장 본질적인 ‘움직이는 몸’을 기반으로 한 무용의상 연구로서 움직이는 몸과 의상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고 움직임의 특질과 작품의 상징적 이미지와 잘 조화되는 무용의상 제작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무용과 의상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와 비디오, 인터뷰, 컬렉션, 비평 등 비디오 영상물 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특히「다락방에서 (In The Upper Room)」의 경우 트와일라 타프의 자서전 『천재들의 창조적 습관』은 협업에 대한 그녀의 인식의 틀을 제공하였고, 이 작품 의상을 맡은 노마 까말리의 패션 의상 디자인 및 제작 분야에 본 연구자가 잠시 몸담았던 경험은 본 논문을 연구하는데 무형적 지식의 기반이 되었다. 연구의 과정은 작품을 통한 ‘움직이는 몸’과 무용의상 분석 작업에 앞서 이론적 배경인 움직이는 몸에 대한 고찰과 특징을 라반의 움직임 요소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무용의상의 역할과 의상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움직임 요소와 의상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관련성이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발레 작품인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의 「신데렐라」와 현대 무용인 트와일라 타프의 「In The Upper Room」에서의 움직이는 몸과 무용의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발견한 ‘움직이는 몸’과 의상의 상호 친화성과 무용의상에서 독특하게 보여 지는 디자인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이는 ‘몸(Body)'은 의상의 재질과 형태, 움직이는 '감정표현(Effort)’은 의상의 색채, 움직이는 ‘형태(Shape)'는 의상의 선·형태, 움직이는 ’공간(Space)'은 의상 공간과 서로 유사성을 가지며 둘째, 무용의상의 디자인적 요소는 패션의상에 비해 두 가지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서로 상호관련성을 지니며 나타나고 특히 재질은 모든 요소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무용의상에서 중요하며 셋째, ‘움직이는 몸’에서의 의상 공간은 의상의 조형성(Formative Costume Shape)과 함께 공간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의상의 역동성(Dynamosphere of Costume)을 가진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움직이는 몸과 무용의상의 상호친화성을 분석함으로써 몸-움직임-의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통일된 창작물로 인식되는 안무의 연장으로써의 무용의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움직이는 몸을 디자인의 출발점으로 인식하게 하여 보다 인간 중심적이며 개념적인 패션의상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열린 디자인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무용분야에서는 무용의상의 중요성을 알리고 움직임과 디자인의 상호 연결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무용의상 제작의 틀을 제시하고 나아가 패션, 의복심리, 조형예술 등 인간과 의복 환경과 관련된 타 학문에 작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