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석-
dc.contributor.author김은미-
dc.creator김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0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050-
dc.description.abstractArticle 3 of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clares that each party of the treaty “would act … in accordance with its constitutional processes to meet an armed attack on territories … under their respective administrative contro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at Dokdo is a territory “under the administrative control” of Korea; and to prevent Japan from exerting armed forces on Dokdo; and also to further prevent the Dokdo dispute being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which could result by a military friction incurred by Japan on Dokdo and the consequen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Firstly, based on the judgement that Japan commenced its outright annexation of Dokdo in 1905, a time when Shimane Prefecture Notification No. 40 was announced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 Empire, the paper will verify the sovereignty and administrative control of the Korean Empire over Dokdo by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reby nullify the Japanese claim on Dokdo which grounds its claim on its territorial preoccupation and the ancient original title. Also the illegality and the illegitimacy of Shimane Prefecture Notification is discussed on the level of international law. Next, the paper identified that Dokdo has completely and indisputably segregated from Japanese territories under the Supreme Command for the Allied Power's Instruction (SCAPIN). Hereinafter, by taking examples such as the Kore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KADIZ), Dokdo Investigation, and Dokdo Volunteer Guard, the paper will verify that the jurisdiction of Dokdo was tentatively transferred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the Republic of Korea has practically administered Dokdo since it assumed the island as “the only legitimate gover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its establishment. Lastly, by reviewing the recently escalated Diaoyudao/Senkaku Islands dispute between Japan and China, the paper will examine Japanese claim on the jurisdiction of the islands, and will urge that Japan must recognize the jurisdiction over Dokdo of Korea, which is assumed to be succeeded by the jurisdiction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Moreover, just as the U.S recognised Diaoyudao/Senkaku Islands, a applicable case of the Treaty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S is liable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Dokdo dispute by recognizing Dokdo as a “territory under administrative control” of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lthough the temporal scope of this dissertation covers only the sequences of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present, Dokdo is a territory which has belonged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been under its sovereignty ever since the ancient times. The U.S. has to declare Dokdo, under the administrative control of Korea, as applicable to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it did for Japan; thereby seek the peaceful settlement of the territorial dispute by confirming not only the “administrative control” but also the sovereignty of Korea over the island. ;한·미상호방위조약 제3조는 한·미 양국의 ‘행정지배 하에 있는 영토’에 대한 ‘무력공격’에 대처하기 위하여 ‘헌법상의 수단에 따라 행동할 것을 선언’하고 있다. 따라서 독도가 우리나라의 ‘행정지배 하’에 있는 영토라는 것을 규명하여 일본이 독도에 대해 무력을 행사할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일본이 독도에 대해 군사적 마찰을 일으켜 UN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국제사법재판소에 독도 문제가 회부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우선, 일본이 본격적으로 독도 편입을 시작한 시점을 대한제국 선포 이후인 시마네현 고시 제40호가 발표된 1905년으로 보아, 대한제국의 독도에 대한 주권과 실질적인 행정관리를 문헌을 통해 밝히고 시마네현 고시의 불법·부당성을 국제법 차원에서 논하여 일본의 독도 선점, 역사적 권원에 의한 취득이라는 주장을 무력화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독립과정에서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SCAPIN)을 통해 독도는 일본 영토로부터 완전하고도 명백하게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독도의 관할은 주한 미군정에 임시로 이관되었고, 대한민국은 ‘한반도 유일의 합법적 정부’를 수립하고 그 관할권을 승계하여 지금까지 독도를 실효적으로 관할해 오고 있다는 것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와 ‘독도조사’ 그리고 ‘독도의용수비대’ 등의 예시를 들어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격화된 일본-중국 간 조어도/센카쿠 열도 분쟁을 통해 일본의 조어도/센카쿠 열도의 관할권 주장을 살펴보고, 미군정에 의해 독도의 관할권을 승계한 한국에 대하여 일본이 한국의 독도 관할권을 인정할 것을 촉구한다. 또한 조어도/센카쿠 열도 분쟁에 있어 미국은 ‘미·일상호방위조약’의 적용대상이라고 인정한 것과 같이, 독도에 대한 일본의 무력도발에 대해 독도를 ‘한·미상호방위조약’ 상 ‘행정통치 하의 영토’임을 인정하여 분쟁의 해결을 위해 원조할 책임이 있다. 이 논문은 대한제국 선포 전후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적 범위에서 독도 문제를 다루었지만 독도는 고래로부터 대한민국의 영토로 그 주권 하에 있는 영토이다. 한국의 행정지배 하에 있는 독도를, 미국은 일본과 동일하게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적용 대상으로 선언하여 한국의 ‘행정지배’뿐만 아니라 그 주권을 확인시켜 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해방 이전 독도 개관 5 A. 대한제국에서의 독도 5 B. 시마네현 고시 7 1. 배경 및 내용 7 2. 고시의 법적 효력에 대한 비판 9 가. 영토취득의 국제법적 요건 흠결 : 선점을 중심으로 9 나. 1962년 일본측 구술서의 논리적 모순 13 다. 소결 16 Ⅲ. SCAPIN과 UN총회결의 195(Ⅲ) 18 A.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SCAPIN) 제677호와 제1033호 18 1. SCAPIN 제677호 18 가. 지령의 발령근거 18 나. SCAPIN 제677호의 내용 20 다. SCAPIN 제677호의 첨부 지도 21 2. SCAPIN 제1033호의 독도의 한국영토 재확인 24 B. UN총회결의 195(Ⅲ)와 민족자결주의 26 1.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총회의 입장 26 2. 대한민국의 독립과 민족자결권 27 C. 소결 28 Ⅳ.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30 A. 카이로 선언과 포츠담 선언 30 B. 조약의 체결 과정 33 1. 미국 측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 1949년 12월 29일 이전 초안 33 2. 연합국의 구 일본영토에 관한 협정(안) 34 3. 미국 측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 1949년 12월 29일 이후 초안 35 4. 영국 측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1~3차 초안과 영미 합동초안 36 C. 러스크 서한(Dean Rusk statement) 39 1. 작성 경위 39 2. 러스크 서한에 대한 검토 41 3. 러스크 서한과 평화선 45 D.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의 해석 46 Ⅴ.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행정 지배(administrative control) 51 A. 한미상호방위조약 51 1. 의의 및 목적 51 2. 체결 배경 및 과정 52 3. 한미상호방위조약 제3조 53 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54 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의 독도에 대한 행정 지배 57 (1) 수색위원회 및 독도조사단 : 제1차 독도조사(1947년 8월) 57 (2) 제1차 독도 폭격 사건(1948년 6월) 58 (3) 제2차 독도 조사 및 제2차 독도 폭격 사건(1952년 9월) 58 (4) 독도의용수비대 결성(1954년 4월 or 1953년 4월) 60 (5) 독도 등대 60 (6) 지번부여 60 B. 일본-중국 간 조어도/센카쿠 도서 분쟁 61 1. 서론 61 2. 사건 개요 61 가. 개관 62 나. 중국 측 주장 62 다. 일본 측 주장 63 3. 미일상위방호조약에 의한 미군의 개입 가능성 64 C. 소결 66 Ⅵ. 결론 68 참고문헌 72 부록 76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59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상호방위조약 적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r settlement of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Dokdo-
dc.creator.othernameKIM, Eun Mi-
dc.format.pagev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