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중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중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the Principle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uthors
오은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thereby to establish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s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and then develops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factors from the respective categories. In 200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announced "A Pla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igital Textbooks", which addresses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ubject of Science and English from 2014, and regulates 70% of the developers should be a specialist for th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in the near future the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Language would set to work. Moreover, according to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Digital Textbooks" undertaken by MEST and KERIS since 2008,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 appears to be lower than that of Science or Social Study. A series of the movements above shows the necessity of the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on Korean Language and further of a in-depth study on it performed by the Korean Language majors. In the section Ⅰ, I analyze the academic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by searching both in synchronically and daschronically for the preceding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and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However, there have currently been analyses of the research trend just on Digital Textbooks, not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or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should be helpful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n the subject and to gain a foothold to improve the researches. In this section, therefore, I intend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 and in Korean Language, and thereby to establish a foothold to the succeeding researches. In the section Ⅱ, I examine the changes of the way of communication in digital society in terms of communicolog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and then discuss the effects the changes has on the conceptual extension of text in terms of textwissenschaft. The digital literacy in digital society, including these changes, brings about the conversion of human thoughts. The researchers designated it as Digitalized Thinking, and have been in pursuit of integrating it into the system of comprehensive thinking o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 hereby, based on the system, classify the contents system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as a type of area-integrating thinking, and analyze the standard of the curriculum achievement based on the digitalized thinking, which establis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factors for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n the section Ⅲ,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books, by comparing with the printed ones, in perspective of multimedia and hypermedia, and then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with the trial version of the digital textbooks in practice, and confirm the differences and the problems. Afterward, by integrating with the discussion performed in the prior section I, I researc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and set up the 2 pillar for the development. In the section Ⅳ, based on the prior sections, I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draw primary principles and strategies by restructuring the contents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corging to the emphasis, and then carry out the expert validity analysis. By reflecting the expert grades and discussions, I set up the ultimate principles and strategies and suggest the detailed guidance accordingly.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s as below, which are based on the content system and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Firstly, a principle of diversity in the way of text presentation and conten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terpretive and critical accept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realistic thoughts and the critic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affluence, diversity, reality and totality in the digital textbook. Secondly, a principle of activeness in text production considering a variety of a text.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active production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inferenti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ynamism and manipulation. Thirdly, a principle of self-directed checkout and appreciation considering topics, objectives and counterpar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learners' self-directed arrangement. It intends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e-context and non-linear. Finally, a principle of authorizing the activ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dipendant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It intend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interactivity and sharability. At the moment,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 is nothing but applying the technical factors into the existing printed textbook.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researchers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n have kept making continuous progress. This study, therefore, has an implication on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in the digital textbooks by searching for the theoretic and practical connectivity, as well as setting up the guidance on developing the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rection,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개발 원리와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한 후, 각의 범주에서 요소를 도출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원리와 전략을 개발하였다. 2007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2013년에 개발하고, 2014년부터 상용화시키겠다는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였고, 디지털 교과서 개발 인력 구성원 중 70%가 교과 전공자여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는 곧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상용화가 더 이상 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교육과학기술부와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2008년부터 실시한 ‘디지털 교과서 효과성 연구’에 따르면 과학 디지털 교과서와 사회 디지털 교과서에 비해 국어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효과가 낮게 나왔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국어 전문가의 깊이 있는 연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알 수 있다. Ⅰ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각각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시적·공시적으로 분석하여 학계의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은 있어왔으나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나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물은 없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의 동향에 대한 탐색은 현재 연구의 상태를 점검하고, 진일보한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별·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의 현 상태를 점검하고, 후속 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과의 성격과 목표에 기반하여 디지털 사회(정보화 사회)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커뮤니케이션학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텍스트의 개념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텍스트학 측면에서 논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인간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연구자는 이를 디지털적 사고라 명명하고 이해·표현의 통합적 사고 기능 체계와 접합하고자 하였다. 그것을 기준으로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영역 통합적 사고 유형으로 분류하고 디지털적 사고에 기반한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교육학적 요소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서책형 교과서와 비교되는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멀티미디어적 측면과 하이퍼미디어적 측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분석된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이 시범 개발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개발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 후 Ⅱ장의 논의와 종합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 기저를 탐색하고 개발의 두 축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앞 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였고, 중점을 기준으로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재구조화하여 1차적으로 원리 및 전략을 도출한 뒤, 전문가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의 평점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원리 및 전략을 설정하고 그에 따르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는 다음과 같고, 모든 원리는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첫째, ‘텍스트 제시 방식과 내용의 다양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해석적 수용과 비판적 수용’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사실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풍부성, 다양성, 실제성, 총체성’이라는 특성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텍스트의 종류를 고려한 텍스트 생산의 능동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능동적 생산’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추론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역동성, 조작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 목적, 상대를 고려한 자기 점검 활동의 원리’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조정’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초인지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비선형성, 탈맥락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넷째, ‘학습자 상호작용 활동 부여의 원리’이다. 이것은 ‘세상과의 주체적 소통’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소통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쌍방향성성, 공유 가능성’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개발되고 있는 수준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어 교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어 교과와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실제적 연관성을 탐색하여 디지털 교과서에서 국어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는 점,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 전략을 제시하여 국어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지침을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