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reat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030-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과학과 더불어 발전한 산업 사회와 현대 문명은 그로인한 결과로 또 다른 양상의 자연회귀 현상을 파생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자연에 대한 향수를 느끼며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대인들의 친환경적인 이러한 관심은 사회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 있다. 디자인분야에서는 친환경적인 경향의 예로 자연을 모티브로 응용한 작품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작품들은 자연에서 느껴지는 조형적 특징을 편안한 형태와 부드러운 감성으로 표현함으로써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디자인 발상에 모티브로 응용되어온 자연은 동물, 식물, 광물 등으로 나누워 볼 수 있는데 그 중 식물에 속한 나무는 인간에게 친숙하게 사용되어온 자연 중 하나이다. 또한 나무의 잘려진 단면의 나이테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조형적 특징으로 곡선적인 고유한 무늬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수종에 따라 달라지고 제재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나뭇결 형태로 나타나 그 조형적 가치와 다양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뭇결의 조형미를 연구 분석하고 나뭇결의 조형적 특징을 접목시킨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나뭇결을 모티브로 하여 핸드드로잉에 의한 모티브 전개를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계획에 있어서는 Ivory와 Black의 절제된 색상을 사용하였으며, 소재는 주로 울 리치, 캐시미어, 울 저지, 실크 타프타, 폴리 메쉬, 폴리 쉬폰, 폴리 오간자 등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원단을 바이어스 방향으로 사용하여 평면 패턴의 절개선에 테이핑 함으로써 부조적 입체감을 살려 나뭇결을 시각적으로 강조하였고, 한 개의 절개선에 두 개 이상의 테이핑 원단을 함께 봉제함으로써 디테일에서도 강약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나뭇결이 가진 조형적 특성을 연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생동감 있게 변화하는 나뭇결의 곡선적 율동미를 표현한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 나아가 패션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대함에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각종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통해 나뭇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테이핑 기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나뭇결에 관한 고찰에서는 나뭇결의 개념과 정의, 종류와 특징 및 나뭇결의 조형미를 연구, 분석하고 나뭇결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표현기법에 있어 테이핑 기법에 관한 고찰은 테이핑의 개념과 정의 및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테이핑 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나뭇결의 조형적 특징 즉,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곡선의 특징을 응용하여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다양한 아이템으로 구성된 총 8벌의 작품제작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나뭇결에 나타난 곡선적 율동미는 테이핑 기법을 응용함으로써 부조적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절개선에 테이프를 삽입하는 테이핑 기법은 입체로 튀어나온 테이프로 선을 효과적으로 강조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Ivory 한 가지 색상만 사용된 작품에서 부조적 입체감에 따른 효과가 극대화 되었다. 둘째, 나뭇결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을 강조하고자 Black과 Ivory의 강한 명도대비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곡선을 확실하게 강조할 수 있었다. 셋째, 나뭇결을 디자인에 응용함에 있어서 곡선의 곡률과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다양한 조형적 형태로 나뭇결의 곡선적 율동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테이핑 기법에 사용되는 테이프의 길이와 소재, 겹에 차이를 주어 테이프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결과 테이프 자체에서 율동미를 강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생략되어질 다트분량과 지퍼를 절개선의 위치와 일치시켜 곡선적 율동미를 방해하는 시각적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여섯째, 아이템간의 레이어링을 통해 새롭고 다양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였다. 특히 뚫린 공간 사이로 안에 입은 옷이 겹쳐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적 공간감을 표현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뭇결의 조형적 특징을 표현하기위해 반복적 점진성에 의해 변화하는 곡선적 율동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을 실물 제작하였고, 이를 통하여 디자인 발상에 있어서 자연을 모티브로 응용함으로써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표현방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뭇결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패션디자인 있어서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확인했던 곡선의 곡률과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 변형을 응용한 활발한 연구도 기대해 보고자 하였다.;People in the infinite competition age of 21st century love things made in the course of nature and are highly interested in nature. Modern people’s interest in eco-friendly things has an effect throughout the society. There are many design works with a motive of nature following the tendency, which highly appeals to people who like comfortable and soft nature. Examples from nature and applied as a design motive include animals, plants and minerals, among which trees are one of the friendly natural things which have been used the most around humans. The section of trees shows patterns specific to trees, which depend on tree species and vary with the direction of sawing even in the same tree. They have been thu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and been recognized with respect to their formative value.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ve beauty of wood grains and suggests fashion design which integrates the formative features of wood grains. The works in this study are based on wood grains as a motive and deployed by hand drawing for the motive. Color contrast of ivory and black was used and the key material was wool rich and various materials were used including cashmere, wool jersey, silk taffeta, poly mesh, poly chiffon, poly organza, etc. The fabric was tailored in the bias direction, to tape it with the cut line of the planar pattern in order to emphasize the wood grains through the cubic effect by relief. At least two taping fabrics were inserted into one sewing line to vary strong and weak deta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beauty of wood grains to suggest fashion design which renders rhythmical beauty of curved wood grains livelily chang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and to expand the rendering domain of fashion desig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consideration to wood grains and consideration to the tap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from the Internet. The consideration to wood grains examines and analyz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wood grains, types, features and the beauty of wood grains, and looks into fashion designs to which the formative beauty of wood grains is applied. The consideration to the taping method examines the concept, definition and types of taping, and looks into fashion designs to which taping is applied. On the basis of this, I produced a fashion design work to which the formative features of wood grains, that is, the features of curved lines, repetition and gradual progres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total eight pieces of costume work composed of various items. First, taping was applied to effectively render the cubic effect by relief for the rhythmic beauty of curves shown in wood grains. The taping method of inserting tape into cut lines effectively emphasized the lines of projected tapes. In particular, the cubic effect by relief was maximized in the work for which one ivory color was used. Second, I used strong brightness contrast of black and ivory to emphasize curves shown in wood grains, and thus successfully emphasized the curves. Third, I derived changes in the formative shapes by changing shapes shown by means of varied curvature and intervals of curves. The work rendered lively curved rhythmic beauty of wood grains with mobile and affluent shapes. Fourth, the length, material and ply of the used tape was differentiated to vary the tape in order to emphasize the rhythmic beauty of the tape. Fifth, I arranged the zipper and darts on the cut lines to minimize visual factors which hinder the emphasized curves in the work. Sixth, I displayed new and various images through inter-item layering. In particular, in Work 2 and Work 6, the inner clothes are visible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works to harmonize the tapes expressed as curves in the outer and inner clothes for dynamic expression of curves. I produced a real fashion design object with changing curves through repetitive progressiveness in order to render the formative features of wood grains in this study, to see that various rendering is enabled in fashion design with the motive of nature. I suggest another possibility in fashion design by studying fashion design to which wood grains are applied. I expect that future studies can find various fashion design approaches to create new images with different motives not limited to defined imag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can find methods of applying shape modification shown by changing curvatures and intervals of curves which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Ⅱ. 이론적 배경 3 A. 나뭇결의 이론적 고찰 3 1. 나뭇결의 개념과 정의 3 2. 나뭇결의 종류와 조형적 특징 5 3. 나뭇결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 11 B. 테이핑 기법에 관한 고찰 21 1. 테이핑의 개념과 정의 21 2. 테이핑 기법의 종류 22 3. 테이핑 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 25 Ⅲ. 작품 제작 및 해설 33 A.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33 B. 작품 및 해설 36 Ⅳ. 결론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08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919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나뭇결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테이핑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Fashion Design with Formative Beauty of Wood Grains-
dc.creator.othernameKim, Eun-kyung-
dc.format.pagex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