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6 Download: 0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 the cases of Quangos employees
Authors
이혜윤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근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Quangos employees’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motivation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recent years, Quangos play important roles in delivering public service to the public. But little is known how they are motivated when the compensation plan is not so good as that of the private sector. this priece of work tried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Quangos employees. Especially, using the sample of variety of Quangos, this study analyzed that causal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ts sub dimensions such as ‘attraction to the policy making (APM)’, ‘compassion (COM)’ and ‘self-sacrifice (SS)’ and job motivation such as accomplishment, work itself, pay, recognition on job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900 employees working in public enterprises and quasi public organizations(551) in Korea. The study conducted variety of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he validity test, reliability test,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multi group analysis for cross validit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s as follows. First, APM of employees in public enterprises is higher than quasi public organizations while SS and perception of equity in quasi public organization are higher than public enterprises. Secondly, in public enterprises CPI and accomplishment of employees positively and pay negatively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quasi public organization SS, accomplishment, perception of equity affec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Considering no mediate effects from types of organization, it means that employees' motivators can be vulnerable with their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hat the main motivation factors of Quangos’ employees are public service motivation. Moreover they would be precious meaning of work related to the public service. It can be said with some caution that Quango employees work for their accomplishment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not entirely for pay.;신공공관리론의 영향으로 공공과 민간의 영역이 모호해지면서 그 사이에 존재하는 준정부조직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준정부조직은 시장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공공서비스를 국민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업성(이윤추구)보다는 공공성을 실현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준정부조직의 종사자들도 공무원들과 같이 금전적 보상보다는 업무의 가치와 공익에 대한 봉사에 큰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대표적인 준정부조직 중 하나인 공공기관들에 대한 정부의 관리방식은 공공기관경영평가에 따른 성과급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높은 부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과급은 국민에게 반감을 사고 있으며, 정부의 재정적자의 측면에서도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성과급을 대신할 그들의 동기요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도래할 것이다. 본 연구는 주로 정부공무원의 주요한 동기요인으로 알려진 공공봉사동기(PSM)가 과연 준정부조직 종사자들에게도 동기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하여 공공봉사동기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주된 연구문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사이에 존재하는 준정부조직들은 어떠한 동기요인을 가지는가?’이다. 이를 위해 1) 조직의 재정자립도를 기준으로 한 기관의 공공성(Publicness)에 따라 동기요인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공기관 중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공공기관 전체에서도 알아보았다. 2)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공공정책호감도(APM), 공익몰입(CPI), 동정(COM), 자기희생(SS))이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하였다. 3)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과 주요 직무동기요인인 성취감, 업무자체의 즐거움, 보수의 가치인식, 인정에 대한 기대와의 경쟁관계를 통해 이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밖에도 개인특성(성별, 나이, 교육수준), 조직경험특성(직위등급, 담당부서, 고용형태, 근무기간)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공기업 종사자들(349명)과 준정부기관 종사자들(551명)을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특히 공공봉사동기의 측정모형의 경우 2차 요인모형보다는 1차 요인모형이 보다 좋은 적합도를 보여 공공봉사동기 측정모형을 1차 요인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다른 집단에서도 적용가능한 지(교차타당도)를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에 적용해 본 결과, 측정동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화한 측정척도는 신뢰도 계수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모형이 조직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립도에 따라 공공성을 살펴본 결과, 준정부기관이 정부의 재정지원에 보다 의존하고 있어 공기업보다 상대적으로 공공성이 높은 기관으로 상정하고, 공기업 종사자들과 정부기관 종사자들의 비교해 보았다. 먼저 주요 영향요인들의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공공정책호감도(APM)는 공기업 종사자들이, 자기희생(SS)과 공정성 인식은 준정부기관 종사자들이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익몰입(CPI), 동정(COM), 성취감, 업무자체의 즐거움, 보수의 가치인식, 인정에 대한 기대, 직무만족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다음으로 각 기관유형별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면, 공기업의 경우에는 공익몰입(CPI), 성취감이 긍정적으로, 보수의 가치인식이 부정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정부기관에서는 자기희생(SS), 성취감,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모두에서 성취감이 가장 큰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업 종사자들은 공익몰입(CPI)이, 기금관리와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준정부기관 종사자들은 자기희생(SS)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고려할 때, 조직이 갖는 업무특성에 따라 종사자들의 동기요인 또한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공공기관 전체집단에서는 자기희생(SS), 성취감, 인정에 대한 기대,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수의 가치인식이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가장 큰 동기요인은 성취감, 공공봉사동기, 보수의 가치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있어서도 공공봉사동기가 주요한 동기요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업무수행이 보수에 대한 가치인식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봉사동기와 성취감을 위한 것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물질적 보상을 강조도 중요하지만, 그와 더불어 공공봉사동기와 성취감, 인정에 대한 기대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