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9 Download: 0

내적 두려움에 대한 방어기제 표현

Title
내적 두려움에 대한 방어기제 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Defense Mechanism against Inner Fear
Authors
박유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구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xpression that sublimates fear being revealed by evasive personality to regression and humor, a defense mechanism, and a ground and process of responsive expression of fear being unconsciously conducted in the works would be observed in this study. Human being experiences numerous changes and relations in a process of one's life. In the life of successive changes full of unexpectedness, a sense of fear may be called as a natural in-born emotion of human being such as surprise, abhorrence, anger, happiness and sadness. A method of responding to fear is important as it may cause a disease depending on how to solve it. As a method of responding to fear, there are problem-focused, body-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among these, unconscious reaction of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is called as defense mechanism. Defense mechanism that recognizes reality in a distorted way so that anxious person could accommodate such fearful reality of his(her) own accord shows a transient evasive attitude (aspect). Type of defense mechanism being handled in psychology includes denial, suppression, inhibition, cancellation, repayment, regression, symbolization, rationalization and humor. I could understand the origin of fear and my disposition and habit being formed by such fear through a process of receiving inner healing. My first fear was a denial by others and a desire of wishing to receive an unconditional love from the people around me aggravated my fear against denial. Due to this, a personality of relationship avoidance disposition with other people was settled down in me and I was motivated to unconsciously control fear against criticism and denial by my own daydream. My attitude of trying to overcoming fear by childish or funny daydream has a relation with regression and humor, a defense mechanism. In terms of psychology, regression is defined as a defense mechanism of being regressed to immature stage of mental development when confronted with mentally difficult situation and it is like a mentality of longing for a situation where childish frank attitude is accepted. Humor is to use laughing and joke in order to escape from a difficult situation or shake off distressing and inconvenient mood under a specific situation and such emotion could be observed when inconsistency between perceived concept is taken place. Fear considerably affected my life in general and this experience is revealed in my work contents and such fear is expressed in a way of regression and humor as defense mechanism. The works comprising expressions coping with fear to be observed in this thesis represents rebirth of a new image through a scale (magnitude) change, cartoon style expression of existing object, strange combination of objects having opposite concept, harmony between actual object and produced form and a method of expressing an object that may be felt to be aggressive by a soft material. expressed maximized fear by magnifying fish hook and it was replotted as a lollipop so that it was made to look like a sweet stick lollipop that stimulates childlike innocence, not a fish hook that gives a feeling of sharp fear. , showed a new form inducing laughing by arousing inconsistency in an existing concept by combining poised and feminine wig, hair pin and denture that are strange objects opposite to each image of wild beat and snake. Harmony of mouth made of stand and cloth of and incongruity coming from mouth zipper also created strange form and in , aggressive crocodile and pink bed, a symbol of comfortableness, maintain harmony. In addition, in , , comfortableness of the works was induced by using material of soft cloth that is opposite to threatening feeling of mouth and crocodile being compared to fearfulness. induced emotional variation by magnitude change in a way of reducing head shape being expressed as a symbol of fear to a size of nail and stimulated curiosity by using cartoon style expression that seems to be just protruded out of the wall. In , daydream that tries to respond to fear was allowed to be directly used and it was presented together with mouthpiece being manufactured by incongruously combining objects that could be frequently seen in the actual surroundings. Inconsistency that is a condition of daydream and humor as a characteristics of regression shown in the works changes fearful situation into its opposite condition and arouses a momentary emotion that triggers laughing. Emotion being aroused by this situation makes me to get over fear and it is also something like pleasure, enjoyment and peaceful mind, as an emotion opposite to fear, that may be felt even by the audience who watch the works. Like this, total 7 pieces of the works play a role of rest for the serious reality by sublimating fear being concentrated as an agony in reality to familiar or warm image being contrasted with such fear.;본 논문은 회피적 성격으로 드러나는 두려움을 방어기제인 퇴행과 유머로 승화시키는 표현에 관한 작품연구로 작품 속에 무의식으로 행해지는 두려움의 대처 표현에 대한 근거와 과정을 살펴본다. 인간은 삶의 과정에서 수많은 변화와 관계들을 경험한다. 예상치 못한 일로 가득한 변화의 연속인 인생에서 두려움은 놀라움, 혐오, 화냄, 행복, 슬픔과 같이 인간이 타고난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두려움은 그것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두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두려움의 대처방법에는 문제중심적, 신체중심적, 정서중심적 대처방법이 있는데, 이 중 정서중심적 대처방법의 무의식적인 반응을 방어기제라고 한다. 방어기제는 스스로가 두려운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현실을 왜곡하여 인지하는 것으로 일시적인 회피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부정, 억압, 억제, 취소, 상환, 부정, 퇴행, 상징화, 합리화, 유머 등이 있다. 나는 내적치유를 받는 과정을 통해 두려움의 시초와 그로인해서 이루어졌던 나의 성향과 습관들을 알 수 있었다. 나의 첫 두려움은 타인으로부터 거절되는 것이었으며, 주변인들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고자 하는 욕망은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가중시켰다. 그로 인해 나에게는 사람들과의 관계회피성향의 성격이 정착되어 무의식적으로 비판과 거부에 대한 두려움을 나만의 공상으로 조절하게 되었다. 유치하거나 우스운 공상으로 인해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나의 태도는 방어기제인 퇴행과 유머와 연관된다. 심리학에서 퇴행은 정신적으로 곤란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정신발달의 미숙한 단계로 역행하는 심리기제라 정의되고 유아기적인 솔직한 모습이 용납되는 것에 대한 갈망이다. 유머는 곤란한 상황에서 빠져나오거나, 특정 상황에서 괴롭고 불편한 기분을 소멸시키기 위해 웃음과 농담을 사용하는 것으로, 원래 지각되는 개념들 사이에 불일치가 일어날 때 볼 수 있다. 두려움은 나의 삶에 전반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이것은 본인의 작업내용에 드러나고, 방어기제로서의 퇴행과 유머의 표현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 살펴볼 두려움의 대처 표현들로 이루어진 작품들은 기존사물의 크기변화, 만화적 표현, 반대되는 개념을 가진 사물들의 엉뚱한 조합, 실제오브제와 제작된 형태의 조화,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대상을 부드러운 재료로 표현하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의 재탄생을 보여 준다. <낚싯바늘>은 낚싯바늘을 확대하여 극대화된 두려움을 표현하고 그것이 날카로운 두려움이 느껴지는 낚싯바늘이 아닌 동심을 자극하는 달콤한 지팡이 막대사탕으로 보이고자 막대사탕과 같이 채색하였다. <맹수와 소녀>, <뱀과 틀니>는 맹수와 뱀 각각의 이미지와는 반대되는 엉뚱한 오브제인 차분하고 여성스러운 가발과 머리핀, 틀니를 조합하여 원래 알고 있던 개념에 불일치를 일으켜 웃음을 유발하는 새로운 형태를 보여주었다. <입과 지퍼>의 스탠드와 천으로 만든 입의 조화와 입의 지퍼에서 오는 부조화 또한 기묘한 형상을 만들어내며, <악어와 핑크침대>에서는 공격적인 악어와 편안함의 상징인 핑크침대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입과 지퍼>, <악어와 핑크침대>는 두려움으로 비유되는 입과 악어를 그의 위협적인 느낌과 반대되는 부드러운 천을 재료로 사용하여 작품에서 오는 편안함을 유도하였다. <와글와글>은 두려움의 상징으로 표현한 두상을 손톱만한 크기로 축소하여 크기변화로 인한 감정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벽에서 튀어나오는 듯한 만화적 표현을 사용하여 호기심을 유발하였다. 는 두려움을 대처하고자 하는 공상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고 실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들을 엉뚱하게 조합하여 제작된 mouthpiece와 함께 제시하였다. 작품에서 보인 퇴행의 특징인 공상과 유머의 조건인 불일치성은 두려운 상황을 그와 반대의 상태로 변화시키고 웃음이 유발되는 순간의 감정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감정은 나를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작품을 보는 사람들도 느낄 수 있는 두려움과 상반되는 감정인 즐거움, 쾌락, 평안과 같다. 이와 같이 총 일곱 점의 작품들은 현실 속에 고통으로 집중되는 두려움을 그것에 대비되는 익숙하거나 따뜻한 이미지로 바꾸어 승화시켜 심각한 현실에 대한 쉼표역할을 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