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Osteocalcin Levels and Insulin Sensitivity in Young Women

Title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Osteocalcin Levels and Insulin Sensitivity in Young Women
Authors
송도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연아
Abstract
Vitamin D and osteocalcin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osteocalcin levels and insulin sensitivity in young women. One hundred sixty healthy women (16-38 yr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obese (BMI≥25 kg/㎡) and non-obese (BMI<25 kg/㎡) group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The serum 25(OH)D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and osteocalcin by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and carboxylated (Gla) osteocalcin by enzyme immunoassay. Standard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performed and metabolic clearance rate (MCR = 18.8 - 0.271 × BMI – 0.0052 × Insulin120 - 0.27 × Glucose90) was calculated as an index of insulin sensitivity. Obese women had higher serum 25(OH)D (P<0.01) levels and lower osteocalcin (P<0.01) levels compared with non-obese women, but Gla osteocalcin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P>0.05).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25(OH)D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MCR after adjustment for age, fasting glucose, 2-hour post-load glucose, osteocalcin, and Gla osteocalcin (β=-0.258, P<0.01). Higher 25(OH)D wa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suggesting that serum 25(OH)D might have different effects on insulin sensitivity in young women. Further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 different effects of skeletal hormone on insuli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age.;연구배경: 비타민 D와 오스테오칼신은 인슐린 분비와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젊은 여성의 혈청 25-수산화비타민 D, 오스테오칼신과 인슐린 감수성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건강한 여성 (16-38세, 1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체질량지수에 따라 비만한 그룹 (BMI≥25 kg/㎡)과 비만하지 않은 그룹 (BMI<25 kg/㎡)으로 나누었다. 혈청 25-수산화비타민 D는 방사면역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오스테오칼신은 전기화학발광면역 측정법에 의해, 카르복실화 오스테오칼신은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75 그램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인슐린 감수성의 지표로 포도당 대사 청소율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비만한 여성은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혈청 25-수산화비타민 D가 의미 있게 높았고 (P<0.01) 오스테오칼신은 의미 있게 낮았다 (P<0.01). 카르복실화 오스테오칼신은 두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다중 선형 회귀 분석에서 25-수산화비타민 D는 연령, 공복 혈당, 당 부하 2시간 혈당, 오스테오칼신, 카르복실화 오스테오칼신을 보정했을 때 포도당 대사 청소율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였다 (β=-0.258, P<0.01). 결론: 25-수산화비타민 D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되어 있었고 이는 25-수산화비타민 D가 젊은 여성에서는 인슐린 감수성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연령에 따라 골격 호르몬이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달리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더 많은 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