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허다솜-
dc.creator허다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697-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로움이 주는 편리함과 안락함 속에서 삶 본연의 풍요로움을 잃어가고 있다. 현대인들의 물질에 대한 욕망이 날로 커져감에 따라 끝없이 채우려는 소유욕 또한 점점 높아지면서 삶은 메마르고 피폐해지고 있다. 이렇게 현대인들이 물질적 욕망으로 삶을 채우는 것은 비워냄으로써 얻는 행복이 가져다주는 삶의 충족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에게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보다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관조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무엇보다 마음을 비워내는 일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인의 정신적 빈곤과 결핍상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현대인들에게 물질적 채움이 아닌 ‘마음의 비움’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최근 이와 같은 맥락으로 주목받고 있는 의식의 개념인 ‘마음챙김’에서 제시하는 사유의 과정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비움』을 안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유의 과정인 무상ㆍ고ㆍ무아를 토대로 하여 본 작품의 주제 및 내용,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와 음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본 작품의 주제는 마음의 비움을 통해서 자신의 참모습을 관조할 수 있는 마음성찰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며, 작품은 내용에 따라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무상’의 과정으로 본래 무상한 존재인 마음에 대해 표현하였고, 2장은 ‘고’의 과정으로 혼란의 괴로움을 느끼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3장은 ‘무아’의 과정으로 비워진 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본 작품은 무상ㆍ고ㆍ무아의 각 장의 내용에 따라 변화하는 마음상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조명을 사용하여 무대의 공간을 구성하였다. 먼저,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는 공간은 초월적 자기를 상징하는 원을 사용하여 마음의 공간으로 설정하였고, 조명의 이미지를 다르게 사용하여 각 장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마음상태를 강조하였다. 1장 ‘무상’의 공간은 순수함을 상징하는 파란색 조명을 사용하여 무상함을 강조하였고, 2장 ‘고’의 공간은 혼란으로 분리된 원의 가장자리에 진한 파란색조명을 사용하여 괴로움의 감정이 고조되는 시점을 나타내었다. 3장 ‘무아’의 공간은 분리되어 있던 마음의 공간이 다시 하나로 합쳐지면서 파란색 고보조명을 사용하여 다시 순수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강조하였다. 셋째, 본 작품에서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은 원으로 구성된 마음의 공간 안으로 제한하였다. 이 공간은 마음성찰을 이루도록 수행해나가는 과정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가진다. 그러나 각 장은 내용에 따라 다른 느낌과 분위기로 움직이는데, 1장 ‘무상’의 과정에서는 45°의 일정한 각으로 이동하며 오브제 주위를 반시계방향을 돌아 흔들리지 않는 고요한 무상의 마음상태를 표현하였다. 2장 ‘고’의 과정은 원 조명의 경계선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원을 돌 때의 속도감과 높이 도약할 때 일어나는 높낮이의 변화를 통해 고조되는 고통의 감정과 극한 감정의 절정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3장 ‘무아’의 과정은 오브제를 적극적으로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마음을 비우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천천히 마음의 공간을 돌아보며 나를 돌아보는 마음성찰의 시간을 강조하였다. 넷째, 본 작품은 오브제, 음악을 사용하여 주제의 표현을 부각시켰다. 오브제는 코팅철사를 스프링처럼 말아서 사용하여 생각의 뿌리가 자라나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이는 마음의 동요와 마음의 비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보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추상적인 형태를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였다. 음악은 마음의 정화를 의미하는 호흡소리와 종소리로 각 장을 연결하여 끊어지는 각 장의 내용이 마음을 비우는 하나의 과정임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비움』은 마음의 비움을 통해서 자신의 참모습을 관조할 수 있는 마음성찰의 과정을 표현하였다. 이에 본 작품은 표현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형태의 마음을 시각ㆍ청각적으로 가시화하여 마음이 비워지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비움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Contemporary people are losing true abundance of life, living in convenience and comfortableness which materialistic abundance gives. As their needs for material are getting bigger, their possessive needs are also growing. Thus, their lives are becoming meager and exhausted. The reason why contemporary people are filling their lives with materialistic desires is that they do not feel gratification of life which happiness coming from emptiness brings. Accordingly, in order to enjoy mentally abundant life rather than materialistically abundant life, it is important for contemporary people to have placidity to contemplate their lives and more importantly to empty their mind. Beginning with a critical mind on mental poverty and deficiency of contemporary people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ir ‘emptiness of mind’ rather than filling with material, in this context I, the researcher, recently choreographed a creative work of dance, 『Emptiness』on the basis of the way of deliberation suggested by ‘Mind Taking’, a concept of consciousness attracting attention. Hereupon, on the basis of the process of ‘shapelessness, agony, and selflessness’, a method of delib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is work, the moving routes and movements of dancers, and the image of ‘Emptiness’ appearing in elements of expression. First, the subject of this work is to express the process of mind introspection that allows people to contemplate their true characters through emptiness of mind. This work consists of three scenes in total in accordance with its content. The first scene, as the process of shapelessness, expressed the mind that is the shapeless existence in nature. The second scene, as the process of agony, expressed the mind feeling agony of confusion. Lastly, the third scene, as the process of selflessness, expressed the empty mind.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status of mind changing according to content of each scene, that is, shapelessness, agony, and selflessness, I composed the space of stage, using the stage lighting. First of all, for the space which expresses the status of mind, I established the space of mind, using the circle which symbolizes transcendent oneself. Also, using differently the images of lighting, I tried to emphasize the status of mind intended to be expressed in each scene. For the space of shapeless mind in the first scene, I emphasized shapelessness, using the blue lighting symbolizing pureness. For the space of mind distressed because of confusion, I displayed a point of time at which emotion ran high, using dark blue lighting on the edge of the circle separated because of confusion. For the space of empty mind, I emphasized the process of changing again to the pure status by expressing the separated spaces of mind unifying into one and by using the blue lighting to which patterns were added. Third, moving routes and movements were restricted into the mind space composed of the circle. Signifying the process of fulfillment to reach the mind introspection, this space has the route moving counterclockwise. However, each scene has different feeling and atmosphere of its moving route according to its content. The first scene, in which dancers moved counterclockwise in the constant degree of 45° around the objet, expressed unshakable still mind status of shapeless. In the second scene, I intended to emphasize the emotion of agony running high and the culmination of extreme emotion through the sensation of speed felt when dancers moving counterclockwise around the boundary of circle lighting and the changes in heights occurring when dancers leaped high. In the third scene, I presented the strong will to empty the mind by making dancers move counterclockwise around the objet and aggressively lift up it and emphasized the time of mind introspection in which audience slowly looked back themselves and the space of mind. Fourth, this work used the expression elements, such as the objet, music, and so on, to emphasize the image of ‘emptiness’. Embodying the growing root of thought, the objet, which was made of coating wire rolled up like a spring, symbolically expressed the agitation of mind and the emptiness of mind and visualized the abstract form of invisible mind. Connecting the scenes with breathing sound and bell sound meaning the purification of mind, the music emphasized that the intermissions between scenes were a process to empty the mind. Therefore, the creative work of dance, 『Emptiness』expressed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of mind which allows people to contemplate true themselves through the emptiness of mind. Moreover, giving a shape to the abstract form of invisible mind visually and acoustically, this work intended to effectively convey the process of emptying the mind to the audience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empti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현대사회에서 비움의 필요성5 B. 마음챙김을 통한 비움 7 1. 마음챙김의 개념 8 2. 마음챙김의 명상방법 11 가. 몸ㆍ느낌ㆍ마음ㆍ법에 대한 마음챙김 12 나. 호흡을 통한 마음챙김 14 C. 마음챙김을 통한 비움의 사유과정 18 Ⅲ. 안무의도 21 A. 내용적 측면 21 B. 형식적 측면 24 Ⅳ. 무용창작작품『비움』에 관한 분석 26 A. 주제 및 작품내용 26 B.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30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5 D. 오브제와 음악 59 Ⅴ.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259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마음챙김의 사유를 통한 무용창작작품 『비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Emptiness』,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rough Deliberation Methods of Mindfulness-
dc.creator.othernameHuh, Da Som-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