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1 Download: 0

Abraham H. Maslow의 인간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One Step Beyond』에 관한 연구

Title
Abraham H. Maslow의 인간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One Step Beyond』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One Step Beyond』Based on The Hierarchy of Needs by Abraham H. Maslow
Authors
김유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오늘날 인간이 지향하는 삶의 목표와 이상이 부와 귀, 명예 등 물질적 조건에 치중하게 되면서 그 가치만을 높게 인정하려는 왜곡된 인식으로 인간은 점차 정서적으로 결핍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정서적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외적인 충족만이 아닌 인간내면에 내재된 욕구를 제대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인간의 욕구를 단계적으로 정의하고 욕구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시발점을 만든 마슬로우의 인간욕구 이론에 주목하였다. 이 이론은 크게 외부의 것으로부터 욕구를 충족하게 되는 저차원의 ‘결핍의 욕구단계’와 인간 내면의 것을 외부로 표출하여 충족하게 되는 고차원의 ‘성장의 욕구단계’로 분류하여 설명되어진다. 그래서 인간은 저차원의 ‘결핍욕구’에서 점차 고차원의 ‘성장욕구’로 지향하는 과정을 겪으며 삶의 경험이 확대되고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하는 본연의 자아실현에 도달 할 수 있다고 강조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마슬로우의 인간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상위욕구를 지향하는 인간의 욕구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현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과 접목시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본연의 자아실현을 통해 진정한 삶의 방향을 찾아 성장해 나아가는 모습을 작품화하였다. 이러한 주제적 내용에 따라 무용창작작품 『One Step Beyond』는 총 3장으로 구성하였고, 첫째는 각각의 장마다 나타나는 장면별 구성, 둘째는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셋째는 의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총 3장으로 구성한 각각의 장면으로는 1장, 인간이 저차원에서 점차 고차원의 상위욕구를 지향하게 되는 내재된 욕구적 특성을 함축적으로 다루어 이어지는 2장과 3장의 이해를 돕는 서막의 역할을 하였다. 2장에서는 현대의 물질만능사회에서 저차원의 ‘결핍욕구’를 채우며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욕구적 삶의 과정을 담았다. 점차 획일화 되고 매일 반복적인 삶에 허무함을 느끼는 정서적으로 결핍되어 혼란스러운 상태를 이미지화하였다. 3장에서는 정서적 결핍에서 벗어나 고차원의 ‘성장욕구’를 향하여 내면의 자아실현을 표출함으로써 주체적인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희망적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둘째, 이동경로와 움직임에서는 크게 ‘결핍’과 ‘성장’으로 나뉜 상반되는 지향점에 따른 대비되는 이동경로를 설정하여 무대 공간을 사용하였고, 이에 맞는 조명을 활용하였다. 1장에서는 하수 뒤의 공간에서 탑 조명을 사용하여 낮은 자세에서 서있는 높은 자세로 변화되는 움직임으로 결핍에 따른 위축된 모습에서 점차 고차원의 상위욕구를 갈망하는 인간의 욕구를 함축적으로 나타내었다. 2장에서는 무대 중앙의 교차되는 가로와 세로의 막혀있는 제한된 조명 안에서 각각의 네 개의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빠르게 반복되는 이동경로와 신체를 앞, 뒤로 회전하며 뒤척거리는 움직임을 통해 만족하지 못하는 욕구로 점차 정서적으로 결핍되어가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제한을 두지 않은 상수 뒤에서 하수 앞으로의 길게 뻗은 길 조명을 사용하여 사선적인 이동경로를 따라 상체의 높낮이를 최대한 활용하고 속도와 범위를 확장시킨 움직임을 통해 자아실현에 이르는 강한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하였다. 셋째, 겉에 입고 있는 의상은 현실에서 나를 둘러싼 외적인 조건과 삶을 억누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그래서 작품 중반부에 겉에 걸치고 있던 의상을 벗어냄으로써 욕구적 삶의 한계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표출하고 고차원의 욕구로 향하는 주된 심리의 전환을 알리고자 하였다. 벗어놓은 의상은 무대공간에서 오브제로써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다시금 무용수가 의상을 들어 올리고 내려놓는 소품으로 활용함으로써 자아실현을 통한 진정한 삶의 방향을 찾아가려는 주제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One Step Beyond』를 통해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미래를 지향하는 인간 본연의 욕구를 올바르게 자각할 것을 제안하고 고차원의 자아실현을 통해 현대사회의 정서적인 결핍에서 벗어나 진정한 삶의 의미와 행복을 찾아가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Today, as goals and ideals people are pursuing in their lives concentrate on materialistic conditions such as wealth, prestige, honor, and the like, human beings get to have emotional weakness due to distorted perception of recognizing the material value highly. In order to relieve this emotional weaknes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operly needs inherent in human beings as well as their external satisfaction. Accordingly, Maslow’s The Hierarchy of Needs, which defines human needs by stages and emphasizes self-realization of the highest level, attracted my attention. This theory classifies human needs into ‘deficiency needs’of the lower level, which means human beings find satisfaction of their needs from the outside, and ‘growth needs’ of the higher level, which means human beings find satisfaction of their needs by expressing what they get inside to the outside. Then, this theory emphasizes that human beings are able to expand their life experience and to reach true self-realization, which enriches further their lives, as getting through the process that human beings pursue to ‘growth needs’ of the higher level from ‘deficiency needs’ of the lower level . Therefore,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needs of human beings who pursue needs of the higher level on Maslow’s The Hierarchy of Needs and grafting the characteristics onto characters of contemporary people, I created a work expressing people who get developing to find the true direction of life through self-realization instead of being complacent. According to these subjects,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of dance, 『One Step Beyond』, consists of three scenes. I analyzed this work in three categories, such as each scene’s composition which was shown in each scene, the moving paths and movements of dancers, and the images of clothes. First, the first scene dealt implicitly with characteristics of inherent needs of human beings who pursue needs of higher level from needs of lower level and took a role of the prelude that helped understand the second and third scene upcoming. The second scene showed the process of need-pursuing life of contemporary people busy in satisfying the ‘deficiency needs’ of lower level in the age of materialism. It pictured people who were in chaos as feeling futility of life and emotional weakness in the unified and repetitive life. The third scene expressed the hopeful life in which people were finding the direction of autonomous life by getting out of emotional weakness and expressing their inherent self-realization toward ‘growth needs’ of higher level. Second, for the moving paths and movements, this work set up the range of moving paths and limited the stage lighting to their moving paths. Using the tower lighting behind the drooping and presenting the movement changing from the low posture to the standing high posture, the first scene expressed implicitly needs of human beings who long for the needs of higher level from the daunted look caused by deficiency. With the moving path which dancers fast repetitively followed in the straight line in the four directions to each corner and the movements of stretching bodies forward and backward and of tossing and turning, the second scene expressed the confused situation in which people were getting emotionally weaker because of unsatisfied needs. Using the stretch road lighting from behind the top to the front of the drooping and the change in heights of upper bodies following oblique moving paths and presenting the movements expanding speed and range, the third scene conveyed the strong energy reaching self-realization. Third, the image of clothes means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me and limitation suppressing life in reality. Therefore, showing that dancers took off clothes in the mid-part of the work, it tried to express the people’s volition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needs of life and their psychological conversion toward needs of higher level. The clothes taken off increased the visual effect as an objet in the stage, and the clothes lifted up again by dancers and used as stage props symbolized the subject that people tried to find the direction of true life through self-realization. Therefore, through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One Step Beyond』, I, the researcher, suggest that the inherent needs of human beings who are pursuing the better future rather than being complacent should be recognized. Also, I want to give the message that people should get out of the emotional weakness and find the tru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through self-realization directly linked to ‘growth needs’of the high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